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이제는 다 외국 국적?
  • 트렌드
  • 이탈리아
  • 밀라노무역관 김태형
  • 2013-07-11
  • 출처 : KOTRA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이제는 다 외국 국적?

- 명품 캐시미어업체 로로피아나, 프랑스 LVMH에 넘어가 -

- 이탈리아 대표 명품 브랜드 대부분 외국기업에 매각 -

 

 

 

□ 이탈리아 명품 캐시미어 브랜드, 프랑스로 넘어가

 

 ㅇ 이탈리아 명품 캐시미어의 대명사 로로 피아나(Loro Piana)도 결국 프랑스 명품기업인 LVMH에 넘어가면서 Made in Italy 산업 전체가 긴장하고 있음.

 

 ㅇ 전 세계 명품 브랜드의 25%를 보유한 세계 1위 명품업체 LVMH는 로로 피아나의 지분 80%를 20억 유로(한화 약 3조 원)라는 거금을 들여 인수하는 데 성공

  - 이는 LVMH가 2011년 불가리를 인수한 이후 최대 규모로 평가됨.

 

 ㅇ 로로 피아나는 2012년 매출액 6억2700만 유로, EBITDA(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 1억2300만 유로, 당기순이익 660만 유로의 성과를 올렸음. 이번 인수합병은 로로 피아나 EBITDA의 22배에 해당하는 금액임.

 

 ㅇ 이 M &A에서 로로 피아나 공동 경영자인 피에르 루이지와 세르지오 형제는 지분 20%와 경영권을 계속 유지하기로 함.

 

 ㅇ LVMH 회장 베르나르 아르노는 6세대에 걸쳐 캐시미어 제품으로 특화한 로로 피아나의 기업가치를 높게 평가하며, 꾸준한 매출 신장과 브랜드 인지도를 통해 큰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전망함.

 

LVMH 그룹 수익구조

자료원: Corriere della Sera

 

□ 이탈리아 패션업계 반응

 

 ㅇ 로로 피아나의 매각 소식이 전해지자 현지 패션의류 업계는 긴장하는 분위기

 

 ㅇ 자칫 힘들게 키워놓은 알짜배기 이탈리아 브랜드를 외국에 다 뺏기는 것이 아니냐는 위기감뿐만 아니라 로로 피아나의 최고 경영진이 이탈리아 섬유·패션 산업계에서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에 현지 패션업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

  - 로로 피아나의 공동 CEO 중 한 명인 피에르 루이지는 이탈리아 최대 섬유전시회인 밀라노 우니카의 회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 이 전시위원회의 상임위원으로 활동할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 모직산업 전시회인 이데아벨라(Ideabella) 회장임.

  - 또 다른 CEO인 세르지오는 이탈리아 국립 패션회의(Camera Nazionale della Moda Italiana)의 이사회에 막 진출한 상태이며, 세계 패션산업의 글로벌 경쟁 속에서 이탈리아의 역할 강화와 산업보호를 위해 정치적 중책을 맡고 있음.

 

로로 피아나 공동 CEO 형제

자료원: 구글이미지

 

 ㅇ 국립 패션회의(CNML) 회장 마리오 보셀리(Mario Boselli)는 이 M &A 소식에 매우 놀랐고, 그간 주요 이탈리아 브랜드를 인수한 프랑스기업이 이탈리아 브랜드의 정체성을 존중해오고 지켜왔다는 사실에 위안을 받고 싶다면서 우려감을 우회적으로 언급

 

 ㅇ 섬유패션협회(SMI) 회장 클라우디오 마렌지(Claudio Marenzi)는 로로 피아나의 매각은 자국 제조업의 미래를 걱정하는 모든 사람이 깊이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라고 전함. 독보적 노하우가 이탈리아에 남아 있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전략적 제휴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증대시켜줄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진단

 

□ Made in Italy 명품 브랜드, 이제는 다 외국 국적?

 

 ㅇ LVMH는 지난 6월 말 밀라노의 유서 깊은 제과점인 코바를 1500만 유로에 인수했는데, 이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또 다른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인 로로 피아나를 인수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공격적인 확장 행보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

  - LVMH는 2011년에도 이탈리아 명품 보석업체인 불가리를 인수한 바 있음. 그뿐만 아니라 펜디, 에밀리오 푸치, 아쿠아 디 파르마 등 보석에서 가방, 향수, 캐시미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이탈리아 브랜드를 사들이고 있음.

 

 ㅇ LVMH 이외에도 같은 프랑스 국적의 명품기업인 Kering(전 PPR 그룹)은 구찌, 보테가 베테타, 브리오니, 포멜라토, 리처드 지노리 등을 다양하게 확보

 

 ㅇ 최근 발렌티노가 럭셔리 호텔 발리오니(Hotel Baglioni), 리조트 코스타 스메랄다(Costa Smeralda), 밀라노 건설 프로젝트 포르타 누오바(Porta Nuova)의 지분을 소유한 카타르 왕실에 인수된 바 있음.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매각 현황

인수기업

국적

피인수 브랜드

업종

LVMH

프랑스

베를루티(Berluti)

남성화

펜디(Fendi)

패션잡화

에밀리오 푸치(Emilio Pucci)

패션잡화

로씨모다(Rossimoda)

수제화

불가리(Bulgari)

보석

코바(Cova)

제과

로로 피아나(Loro Piana)

캐시미어

Kering (전 Ppr)

프랑스

구찌(Gucci)

패션잡화

보테가 베네타(Bottega Veneta)

패션잡화

브리오니(Brioni)

남성복

포멜라토(Pomellato)

보석

리처드 지노리(Richard Ginori)

도자기

Qatar 왕실

카타르

발렌티노(Valentino)

패션잡화

호텔 발리오니(Hotel Baglioni)

관광

코스타 스메랄다(Costa Smeralda)

관광

포르타 누오바(Porta Nuova)

부동산

M 미소니(M Missoni)

패션잡화

자료원: Corriere Della Sera

 

□ 시사점

 

 ㅇ 로로 피아나는 매년 매출이 17%씩 성장하며 해외 매출의 30%를 아시아에서 거둬들임에도 그간의 영업력은 소극적 행보를 보여 온 것이 사실

  - 지난 2년간 이탈리아 경기침체와 글로벌 명품시장의 판도 변화 속에서 지분 매각을 시도하고 있었는데, 이를 명품계의 공룡기업인 LVMH가 넘겨받았다는 점에서 앞으로 한국 시장에서도 무서운 속도로 영업 확대를 꾀할 것으로 전망함.

 

 ㅇ 해외로 팔려나가는 이탈리아의 자존심

  - 이탈리아를 상징하는 유명 브랜드들이 하나하나 해외로 매각됨에 따라 이를 지켜보는 현지업계는 당혹감과 우려를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

  - 특히, 오랜 역사와 명성으로 과거의 영광을 상징하는 브랜드가 최대 경쟁국인 프랑스에 넘어가는 것은 이탈리아인들의 자존심에 상처를 주는 것임.

  - 탈출구가 보이지 않는 경제위기와 침체 속에서 이탈리아 브랜드의 해외 매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알짜배기 이탈리아 기업에 대한 M &A 시도 역시 더욱 치열해질 전망

 

 

자료원: Corriere della Sera, Il Sole 24 Ore, KOTRA 밀라노 무역관 자체 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이제는 다 외국 국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