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세계은행, 지속 성장 위해 에티오피아에 민간부문·산업 육성 권고
  • 경제·무역
  • 에티오피아
  • 아디스아바바무역관 이두영
  • 2013-06-28
  • 출처 : KOTRA

 

세계은행, 지속 성장 위해 에티오피아에 민간부문·산업 육성 권고

- 농업이 GDP의 50% 차지, 공공부문 투자 확대 및 민간부문 투자 위축 추세 -

 

 

 

 ○ 세계은행 에티오피아 사무소는 에티오피아가 지난 10년간 이룬 연평균 경제성장률 7~8%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국가 주도 경제, 농업에 의존한 성장에서 탈피해 민간부분 강화와 산업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힘.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인프라 개발사업의 축소, 조정을 통해 민간산업과 비즈니스의 금융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음을 권고함.

 

 ○ 에티오피아는 지난 10여 년간 강력한 국가 주도의 경제발전 정책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성장을 이룬 국가 가운데 하나로 자리매김한 바 있음. 에티오피아 정부는 올해 7월에 종료되는 2012-13년 회계연도도 농업 생산 증가를 기반으로 연 경제성장률 10% 달성을 기대하고 있음.

 

 ○ 그러나 에티오피아의 성장은 서비스산업과 농업에 의존해 왔음. 수출도 커피·화훼·가축 등 농축산물에 집중돼 있고, 산업은 GDP의 약 10% 정도만을 점하고 있음.

 

 ○ 세계은행의 에티오피아 사무소장 Mr. Guang Z. Chen은 “에티오피아가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국가경제에서 산업의 비중을 확대해야만 한다. 소수의 자원 부국을 제외하고는 에티오피와 같이 농업 등 1차 산업이 GDP의 50% 이상을 점한 국가가 중간소득국가의 지위에 도달한 사례가 없다. 에티오피아의 산업은 GDP에서의 비중이 10% 정도에서 정체돼 왔다”며 산업 발전의 중요성을 지적함.

 

 ○ 세계은행 추산에 따르면 에티오피아는 국가 주도로 추진하는 전력산업과 철도·도로 등의 운송분야에 2011/12 회계연도 에티오피아 GDP인 330억 달러의 19%를 투자하면서 과도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음. 반면에 민간부분에 대한 금융은 GDP의 14%에 불과해 동부아프리카 국가 평균 23%에 크게 미달하는 실정으로, 민간부문이 크게 위축됨.

 

 ○ 에티오피아에서 2012년 7월 이전 5년간 민간소비는 GDP의 85%에서 77%로 감소했고, 1987년부터 2011년 중 총투자는 16.4%에서 25.5%로 증가했음. 그러나 총투자 가운데 공공부분의 투자 비중은 증가한 반면,  민간부문의 비중은 감소함.

 

 ○ 아프리카에서 나이지리아 다음의 인구 대국 에티오피아는 2010년 총연장 5만㎞의 도로를 2015년까지 13만6000㎞로 확대하고 2020년까지 5000㎞의 철도 건설을 목표로 투자를 진행함. 에티오피아에서는 현재 운행 중인 철도가 없음. 국제적인 원조 수혜국 에티오피아는 부족한 인프라 투자비용 조달을 위해 BRICS 국가에 접근을 강화함.

 

 ○ 한편, 에티오피아는 철도·전력·통신·금융산업의 대부분을 정부 또는 국영기업이 독점 운영하고, 외국기업에 개방하지 않음. 항공, 해운 등 운송 및 물류분야도 정부기업이 독과점하는 경우가 많아 극히 제한적인 경쟁이 이뤄지고 있음. 금융 및 외환이 정부사업에 우선 배정됨에 따라 에티오피아 민간기업은 금융조달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수입업체는 수입을 위한 외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자료원: 에티오피아 Fortune 2013.6.23. 자,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세계은행, 지속 성장 위해 에티오피아에 민간부문·산업 육성 권고)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