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녹색정책] 핀란드의 바이오매스산업 성장세
  • 경제·무역
  • 핀란드
  • 헬싱키무역관 조재은
  • 2012-09-26
  • 출처 : KOTRA

 

유럽 재생에너지산업 침체에도 성장하는 핀란드의 바이오매스산업

- UPM Kymmene사 바이오 정제소 설립에 1억5000만 유로 투자 -

 

 

 

□ 핀란드의 바이오매스산업 현황

 

 ○ 핀란드 총 면적의 87%를 차지하는 풍부한 산림자원에서 생산되는 목재와 목재 부산물들이 바이오매스 전력 생산의 주원료가 되고 있음.

 

 ○ 2020년까지 재생에너지의 이용률을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38%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국가적인 노력이 바이오매스 산업 성장의 원동력이 되고 있음.

  - 핀란드 정부는 바이오매스 발전소에 투자금 지원, 소규모의 발전소에 낮은 부가가치세 부과 및 바이오매스를 포함한 재생에너지 사용 소비자에게 세금을 환불해 주는 등의 정책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 2007년 설립돼 산림산업 연구에 초점을 맞춰 왔던 산림부문 전략센터(Forestcluster Ltd)가 최근 바이오산업으로 연구 및 개발영역 확장을 추진하며 2012년 8월에 핀란드 바이오 경제센터(Finnish Bioeconomy Cluster FIBIC Oy)로 변경됨.

 

□ 바이오매스 전력시장 추이

 

 ○ 핀란드 정부는 2020년까지 전체 재생에너지(수력발전 포함) 발전량 중 바이오매스의 비중을 35~39% 수준으로 유지할 예정이고, 바이오매스의 전력 생산은 2020년까지 평균 4.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현재는 핀란드의 바이오매스 발전 대부분을 채소와 씨 오일에서 추출 가능한 액체 바이오에 의존하고 있으나, 향후 낮은 전력 공급 단가의 이점을 가지고 있는 바이오매스 고형물을 주요 공급원으로 사용할 예정임.

  - 바이오매스 고형물을 사용한 전력 생산은 2020년에 7860GWh에 다다를 것으로 예상됨.

 

재생에너지 전력 생산 추이

(단위: GWh)

 

 

바이오매스 전력 생산 추이
                                                                         (단위: GWh)

자료원: European Commission(유럽연합 집행위원회)

 

□ UPM 큄메네(UPM Kymmene)사 바이오 정제소 설립에 1억5000만 유로 투자

 

 ○ 산림 산업에서 나오는 목재 부산물을 이용해 바이오매스 발전기를 운영하는 회사 UPM은 목재 기반의 바이오 연료 생산을 위한 정제소 설립에 총 1억5000만 유로를 투자할 예정임. UPM의 바이오 정제소는 향후 100,000톤/년의 생산 처리 능력을 가질 예정이며, 이것은 1억2000만 리터 수준의 바이오 연료 양에 해당됨.

  - 2012년 여름에 공사를 시작해 2014년에 생산 시설을 가동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음.

 

바이오 정제소의 설립 예정 지역

자료원: UPM 홈페이지

 

□ 주요 발전 관련 부품 수입 현황

 

유압 터빈(8410)의 국별 수입 현황(2012년도 기준)

                                                                    (단위: 유로, %)

순위

국명

2010년

2011년

2012년(1~6월)

금액

비중

증가율

금액

비중

증가율

금액

비중

증가율

 

전체

4,589,454

100

28

2,304,176

100

-50

1,376,441 

100

14

1

오스트리아

-

-

-100

115,536

5

-

813,670

59.1

-

2

이탈리아

466,538

10.1

6

464,900

20.1

0

274,915

19.9

9

3

독일

497,659

10.8

88

609,738

26.4

23

122,814

8.9

-68

4

스페인

254,606

5.5

-66

138,643

6

-46

62,029

4.5

-55

5

네덜란드

50,553

1.1

-65

122,554

5.3

142

51,267

3.7

109

주: 2012년도 증가율은 2011년도 같은 기간 기준

자료: 핀란드 관세청(CN 4단위 기준)

 

액체용 펌프(8413)의 국별 수입 현황(2012년도 기준)

 (단위: 백만 유로, %)

순위

국명

2010년

2011년

2012년(1~6월)

금액

비중

증가율

금액

비중

증가율

금액

비중

증가율

 

전체

193

100

9

224

100

16

102

100

-9

1

독일

79,1

40.9

-6

97,5

43.4

23

41

40.1

-13

2

덴마크

18,7

9.6

13

19,1

8.5

2

9,1

8.9

0

3

스웨덴

19,3

10

11

18,6

8.3

-4

8,4

8.2

-10

4

이탈리아

14,6

7.5

15

16,6

7.4

14

7,9

7.7

-5

5

중국

7,5

3.9

60

9,9

4.4

32

7.1

7

19

20

한국

0.2

0.1

57

0.2

0.1

-1

0.28

0.3

188

주: 2012년도 증가율은 2011년도 같은 기간 기준

자료: 핀란드 관세청(CN 4단위 기준)

 

원심분리기(8421)의 국별 수입 현황(2012년도 기준)

 (단위: 백만 유로, %)

순위

국명

2010년

2011년

2012년(1~6월)

금액

비중

증가율

금액

비중

증가율

금액

비중

증가율

 

전 체

148

100

9

167

100

13

94

100

7

1

독일

43,8

29.5

-4

52,9

31.6

21

29,7

31.6

7

2

스웨덴

19,7

13.3

15

22,5

13.4

15

12,4

13.3

4

3

프랑스

11,1

7.5

11

15,2

9.1

38

8,1

8.6

-4

4

미국

13,1

8.6

21

13,5

8.1

3

6,6

7.1

-8

5

이탈리아

8,4

5.7

20

9,9

5.9

18

6,3

6.7

32

17

한국

1,6

1.1

-14

1,2

0.7

-28

0.6

0.6

7

주: 2012년도 증가율은 2011년도 같은 기간 기준

자료: 핀란드 관세청(CN 4단위 기준)

 

□ 시사점 및 전망

 

 ○ 풍부한 산림 자원과 기존의 발달된 산림산업을 활용해 바이오 기반의 경제발전을 이루기 위해 향후에도 산업적·국가적 노력이 총동원될 것으로 예상됨.

 

 ○ 스페인, 덴마크 등 여타 유럽의 재생에너지 사업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핀란드의 재생에너지 사업의 성공 여부에 관심이 집중됨. 현재 진행 중인 바이오 가스 발전소 및 정제 공장 설립의 성공 여부에 따라 유럽의 재생에너지 산업의 선두주자가 될 가능성이 있음.

 

 ○ 기존의 제지·펄프 회사들이 사업영역 확대 및 변화 노력을 꾀함에 따라 향후에도 다양한 응용 부산물들의 생산이 예상되며, 산림산업에 이용됐던 인프라들도 재생에너지산업으로 활용이 확대될 것으로 보임.

 

 ○ 전 세계적으로 탄소세를 부과하는 10개국 중 하나인 만큼 전통적으로 환경오염 및 기후 변화 등의 대중의 인식이 높은 것을 고려할 때 시장공급 측면과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 더해 소비자의 수요도 이에 부응할 것이며 지속적인 발전소 설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큼.

 

 

자료원: European Commission(유럽연합 집행위원회), Tekes, UPM 홈페이지, StoraEnso 홈페이지, 핀란드 고용경제부, www.oilprice.com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정책] 핀란드의 바이오매스산업 성장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