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출직결정보] 네덜란드 신발시장 공략법(1)
- 트렌드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무역관 임성아
- 2012-08-26
- 출처 : KOTRA
-
네덜란드 신발시장 공략법(1)
- 구매심리 위축된 가운데에서 ‘선전’ 평가 -
- 신발시장 최대의 화두는 ‘온라인 판매’ -
□ 시장 개요
ㅇ 2011년 매출 22억 유로(부가세 포함)로 전년대비 2% 증가
- 소폭이긴 하나 2006년 이후 처음으로 매출 증가
- 유로화 위기, 연정 해체, 부가세 인상(예정) 등의 악재를 맞아 2011년 대부분의 소매업계 매출이 하락했음에도 신발(+2%)과 슈퍼마켓(2.1%)은 매출 상승 기록하며 선전
네덜란드 소비자 연간 신발 구매 추이
자료원 : ABN-AMRO Sector Research
ㅇ 2011년 신발 수입 41억 달러로 전년대비 24% 증가
- HS 64(신발류 기준) 네덜란드는 세계 8대 신발수입국이며 대네덜란드 주 신발수출국은 중국, 벨기에, 독일, 이탈리아, 포르투갈, 베트남 등임.
- 네덜란드 내 판매되는 신발의 대부분이 수입제품이며, 특히 스포츠 신발은 전량 베트남, 중국, 인도 등에서 수입됨.
- van Bommel, van Liers, Durea, Verhulst 등 몇몇 현지 브랜드가 있으나 이나마 아웃소싱 비중이 늘어남.
ㅇ 봄·가을에 매출 증가하며 봄 시즌은 2~6월, 가을 시즌은 8~10월
2008~2009년 월별 신발 판매 추이
자료원 : 패션·생활용품·스포츠용품 협회 CBW-MITEX의 ‘Schoenmonitor’
□ 시장 트렌드
ㅇ 원료비와 중국의 임금상승에 따라 구매가 상승 추세
- 원료비 상승이 2011년 매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2011년 신발 소매업계 매출 중 원가 비중은 2009년 52%에서 2011년 54%로 증가
- 평균적으로 소매매장 매출 중 원가 비중 51%, 마진 비중 41%
ㅇ 온라인 판매 비중과 오프라인 매장의 온라인 매장 오픈 급속 확산 중
- 온라인 의류판매시장은 경기 위축을 견디지 못하고 매출 감소했으나 온라인 신발판매 시장은 꾸준히 매출 증가. 2012년 상반기 온라인 신발 판매도 전년대비 25% 증가
- 2011년 ING 경제연구소는 전반적인 구매심리 위축에도 신발 판매업 매출은 호조를 띤다고 밝히며 네덜란드 신발업계의 가장 큰 변화로는 ‘온라인 판매 증가세’를 꼽음.
- 2011년 전체 신발판매 중 온라인 판매 비중은 매출기준 11%, 켤레수 기준 9.6%이며, 이는 2015년 20%, 2020년 35%로 늘어날 전망
- 현지에서 인지도 높은 온라인 신발 매장으로는 Zalando(독일 본사), Brados(스웨덴 본사), Sjoez(네덜란드 본사) 등이 있으며, 기존 오프라인 매장의 온라인 진출 꾸준히 증가
- 온라인 신발구매 평균가는 50.84유로로 전체 신발 구매 평균가를 상회함.
네덜란드 신발시장 오프라인판매 vs 온라인판매 비중 변화 전망
자료원 : ING경제연구소 ‘Online schoenenjacht', 2011년 7월 (Google Insight 자료 근거)
‘Online schoenen’(온라인 신발) 검색어 등장 추이(최고치=100 기준)
자료원 : ING경제연구소 ‘Online schoenenjacht', 2011년 7월(Google Insight 자료 근거)
‘신발(Schoenen)’과 연관돼 검색된 단어 중 인기 검색어(브랜드/매장)
자료원 : ING경제연구소 ‘Online schoenenjacht', 2011년 7월(Google Insight 자료 근거)
ㅇ 시장 세분화·Identity 경쟁 시대
-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고유의 개성을 드러내지 못하는 브랜드들은 급속히 사장됨.
- 친환경 재질을 사용한 신발 혹은 정원에 심을 수 있는 신발 등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 신발들 출시
- 신발브랜드와 유명디자이너와의 콜라보레이션 증가하고 컬렉션 교체가 잦아짐.
- 일부 고소득층을 타깃으로 하는 틈새시장도 발달
ㅇ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역할 증대
- 브랜드의 개성 부여에 중요한 역할을 함.
- 특히 온라인 판매를 겸하는 브랜드나 매장일수록 페이스북, 트위터, 하이브스(Hyves), 유튜브 등 SNS를 통한 마케팅에 주력함.
출처 : 패션·생활용품·스포츠용품 협회 CBW-MITEX의 'Onderzoek Retail 2020', 'Kengetallenonderzoek schoenen', 시장조사기관 GfK, ABN-AMRO의 'Visie op retail, Sectorupdate 2012', 소매업계협회 HBD, 신발관련잡지 Schoenenvisie, ING 경제연구소 ‘Survival of the Fittest', 'Online op weg naar meer', 'Online schoenenjacht', 'Schoenenbranche Internationalisering', www.twinklemagazine.nl, World Footwear 2011 Yearbook, FEM Business & Finance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수출직결정보] 네덜란드 신발시장 공략법(1))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수출직결정보] 네덜란드 신발시장 공략법(2)
네덜란드 2012.08.26
-
2
뷰티・패션 전시회에서 살펴본 네덜란드의 오리엔탈리즘
네덜란드 2012.05.13
-
3
네덜란드 인터넷 쇼핑, 소비침체에도 성장
네덜란드 2012.04.26
-
4
네덜란드에서 소셜 미디어로 마케팅하기
네덜란드 2012.03.29
-
1
[수출직결정보] 네덜란드 신발시장 공략법(2)
네덜란드 2012-08-26
-
2
네덜란드에서 소셜 미디어로 마케팅하기
네덜란드 2012-03-29
-
3
중국 푸젠성, 신발 제조업 시장 현황
중국 2015-10-16
-
4
필리핀 수빅자유구역, 한중일 기업 투자기지로 각광
미국 2008-11-13
-
5
2025년 인도네시아 의료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5-03-04
-
6
광둥성 사물인터넷으로 스마트도시 건설
중국 2014-04-30
-
1
2024년 네덜란드 모빌리티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4-03-29
-
2
2023년 네덜란드 화학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3-10-20
-
3
2023년 네덜란드 물류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3-08-01
-
4
2021년 네덜란드 물류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2-01-03
-
5
2021년 네덜란드 반도체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1-12-31
-
6
2021년 네덜란드 화학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