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美, 보트산업의 유통업 전망 `낙관적`
  • 경제·무역
  • 미국
  • 마이애미무역관 연승환
  • 2012-02-17
  • 출처 : KOTRA

 

美, 보트산업의 유통망 동향

- 2012~2016년 연 성장률 4.2%로 전망 -

- 신제품 구매 부담감으로 수리선호, 대리점 인기 -

 

 

 

□ 보트산업의 개요

     

 ○ 경제불황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소비심리 위축

  -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연 평균 성장률 6.9% 감소

  - 흔히 보트를 ‘귀족스포츠’ 또는 사치품으로 생각하고 자유재량에 의한 구입이라 인식

     

 ○ 보트의 평균수명 상승, 기름값 폭등, 소비자들의 여유 감소, 수리선호 현상 증가 등이 보트산업의 침체요소로 작용

 

 ○ 포화기에 접어든 보트산업

  -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가구당 가처분소득의 감소로 급격한 시장성 감소

  - 보트산업이 포화기에 접어들었음에도 주 소비 연령층인 40대가 보트 수요를 신장시킬 것으로 예상돼 향후 5년간 보트산업 호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

 

가구당 가처분소득

자료원: IBISWORLD

     

□ 수입 감소와 긴축 신용상태로 새 보트 구매 부담

     

 ○ 보트산업 수익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새 보트는 2002년도 57.8%에서 2011년도 56.3%의 하락세를 보였으며, 중고보트 또한 11.7%에서 10.7% 하락세를 보임.

 

 ○ 보트 수리 및 관리산업은 지난 5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보임.

 

자료원: IBISWORLD

 

□ 보트 유통업의 전망은 낙관적

 

 ○ 2012부터 2016년까지 연 평균 4.2%(169억 달러)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소비자의 소비심리는 경제상황과 직접적으로 비례하므로 경기 회복세와 함께 보트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임.

  - 대출에 따른 이자금리 하락세, 가구당 가처분소득 인상, 주 소비층 연령대 등이 호재로 작용될 예상

     

 ○ 해양 레저산업의 관심 증가

  - 경기 불황에도 크루저 산업계는 빠른 대처능력으로 비용관리에 신경을 쓰고 가격대비 효용을 높여 2009년 4분기를 기점으로 호황, 이로 인한 해양 레저산업의 관심 증가

  - 해양 레저산업은 날씨와도 밀접하며 일년 내내 온화기후인 플로리다(17.8%)에서 보트 유통업이 활성화

 

□ 시사점

 

 ○ 해양레저산업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보트 유통업체는 철저한 고객관리와 마케팅이 필요

 

 ○ 앞으로 향후 5년간의 보트 유통업의 호황이 예상되지만 소비자들의 여가 감소로 다른 레저스포츠와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

 

 ○ 보트 유통업의 호황 전망에 해양레저산업의 해양레저 SOC와 장비 제조, 생산, 해양레저 서비스 등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

 

 

자료원 : ISIBWORLD, 마이애미 해럴드, KOTRA 마이애미 무역관 자체 자료 통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美, 보트산업의 유통업 전망 `낙관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