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신성장산업] 스웨덴, 지하철역 내 형광등 LED로 교체
  • 트렌드
  • 스웨덴
  • 스톡홀름무역관 이수정
  • 2012-01-16
  • 출처 : KOTRA

 

스웨덴, 지하철역 내 형광등 LED로 교체

- 지하철역 한 곳 지정, LED 형광등으로 교체 후 적합성 여부 테스트 중 -

- 향후 스톡홀름 지하철 전 구간으로 확대 가능 -

 

 

 

□ SL사, 지하철역 형광등 교체 프로젝트

 

 ○ 스톡홀름 로컬트래픽 SL사, 지하철 역내 LED 형광등 적합여부 테스트

  - 스톡홀름 시내교통(지하철, 버스)을 담당하는 SL사가 환경사업의 일환으로 스톡홀름 지하철역 내 전구를 LED램프로 교체하기 위한 테스트 프로젝트 실시

  - LED 형광등의 지하철 역내 설치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와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스톡홀름시의 한 전철역 내 형광등 200개를 LED형광등으로 교체

  - ‘테스트 장소는 스톡홀름 남부 Mariatorget역으로 LED램프가 전철역 환경에 적정한지를 테스트하고 있다’고 SL사의 전략테크닉 전문가인 Kari Uuosku씨가 밝힘.

  - LED램프는 일반 전구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적기 때문에 다량의 램프가 필요한 스톡홀름 전철역 구내에 설치할 경우 에너지 절감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

 

□ LED

 

 ○ LED는 Light Emitting Diode의 줄임말로 1920년대에 처음 발명됐으나, 1960년대에 들어서야 NASA에 의해 관련 기술의 개발이 이뤄지기 시작함.

  - 처음에는 우주선의 계기램프로 개발됐지만 오늘날에는 TV와 컴퓨터 등에도 LED를 다양하게 사용함.

 

 ○ SL사 프로젝트

  - 전구교체 인건비를 감안하더라도 지하철역 내 형광등을 LED 형광등으로 교체하는 것이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환경적, 비용적으로 훨씬 효율적일 것으로 기대

  - 현재 Mariatorget 지하철역 내에 설치된 200여 개 형광등을 LED형광등으로 교체해 테스트에 돌입

  - SL사는 전철역별로 LED 형광등 200개씩을 교체한다고 추산할 경우, 스톡홀름 전철역 100여 군데의 형광등을 LED 형광등으로 교체하게 되면 연간 약 360만kWh의 에너지를 절감할 것이라고 밝힘. 이는 전기로 난방하는 1800여 가구의 연간 전력소모량과 같은 수준이어서 에너지 절감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됨.

  - 이번 SL사의 LED 형광등 교체를 위한 테스트 프로젝트는 친환경사업으로 평가됨.

 

□ 스웨덴 LED 램프시장

 

 ○ EU집행위의 백열전구 규제로 LED 수요 증가

  - EU집행위의 백열전구 규제에 따라 스웨덴 시장에서 로우에너지 전구와 LED 전구의 수요가 크게 증가함. 그러나 스웨덴 소비자들은 백열등과는 달리 점등 후 서서히 밝아지는 로우에너지 전구에 익숙해 하지 않는 특성을 보여 로우에너지 전구보다는 LED전구 시장의 확대 가능성이 높은 편임.

  - 현재 스웨덴 시장에서 유통되는 LED램프 브랜드로는 Osram, Phillips, Mark Slojd Sweden, Forma e Funzione, aaxus, Ledgiganten 등이 있으며, 이 중 Osram과 Phillips사가 전체시장의 약 60% 이상을 점유한 것으로 나타남.

  - 스웨덴의 LED램프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2010년 기준 총 수입액은 1억6400만 달러이고 전년대비 9.7% 증가했으며, 주요 수입시장으로는 중국(39.3%), 독일(16%) 등임.

  - 대한국 총 수입액은 2010년 기준 26만8000달러로 수입 23위 국가임.

 

□ 시사점

 

 ○ 수요증대 예상

  - 스웨덴 내 LED 램프 생산은 없으며, 수요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함. 전체 시장규모는 약 1억7000만 달러 내외로 최근 3년간 매년 5〜10%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이와 같은 성장세는 백열등 규제로 2012년에는 더욱 늘어날 전망임.

  - 한편 최근 들어 가로등을 LED 램프로 교체하는 프로젝트를 계획하거나 진행하는 지방정부가 늘어나 향후 수요 증가가 예상됨.

 

 ○ 현지 시장진출 전략

  - FTA 관세양허로 종전 4.7%의 관세가 철폐된 만큼 앞으로 FTA 효과는 매우 큰 상황임. 따라서 관련전시회 참여와 광고 등을 통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끌어올리는 한편, 품질과 가격경쟁력 우위를 기반으로 활발한 시장개척활동이 요구됨.

  - CE 인증이 요구되는 시장인 만큼 인증획득이 우선돼야 함.

  - 가정용 LED 전구는 주로 일반 유통업체를 통해 유통되며, 가로등과 같은 공공지역이나 방산업 분야에서 사용하는 제품은 공개입찰을 통해 구매하는 시장특성상 현지 시장에 밝은 에이전트를 활용하는 것이 시장진출에 유리함.

 

 

자료원: Stockholm Lokaltrafik(SL사/Mr.Kari Uuosku), 스웨덴 통계청, ICA등 관련바이어, KOTRA 스톡홀름무역관 의견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신성장산업] 스웨덴, 지하철역 내 형광등 LED로 교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