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대만 IT의 핵심, 반도체 산업 현황
  • 트렌드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유기자
  • 2011-07-08
  • 출처 : KOTRA

 

대만 IT의 핵심, 반도체 산업 현황

- 소폭 성장 가운데 파운드리는 두자릿수 증가 -

 

 

 

□ 대만 ‘반도체의 나라’

 

 ○ 대만 기업의 해외 생산을 포함한 2010년 대만의 세계 시장점유율 상위 3대 품목 중 반도체 산업은 모든 분야가 세계 상위 3순위를 석권함.

  - 특히 파운드리, 패키징, 테스트, 마스크 롬은 과반수를 크게 웃도는 세계 시장점유율로 수년 연속 세계 1위를 놓치지 않음.

  - 세계 시장에서 대만 반도체의 위상을 높이는 업체로는 팹리스 분야의 Mediatek(세계 랭킹 5위)와 파운드리 분야의 TSMC(세계 랭킹 1위)와 UMC(세계 랭킹 2위), 패키징 및 테스트 분야의 ASE(세계 랭킹 1위)와 Spil(세계 랭킹 3위)가 있음.

 

 ○ 대만 반도체 산업은 나라 밖에서 위상이 높은 만큼 대만의 국가경제발전에 대한 이바지도 대단함.

  - 2010년 대만의 GDP 대비 반도체 산업의 기여도는 9.9%에 달하며 팹리스, 제조, 패키징·테스트 분야가 각각 3% 이상의 기여도를 차지함.

 

대만 반도체 산업의 위상(2010년)

(단위 : US$ 백만, %)

분야

생산액

세계 시장점유율

세계 랭킹

파운드리

18,042

67.2

1

패키징

9,399

51.3

1

테스트

4,199

75.8

1

마스크 롬

279

97.9

1

팹리스

14,394

24.1

2

D램

5,001

12.8

3

자료원: 공업기술연구원 IEK(2011년 4월)

 

□ 2011년 대만 반도체 산업 규모, 1조8000억 대만 달러 돌파 예상

 

 ○ 2010년 대만 반도체 산업 규모는 2009년 금융위기 불황 이후 세계 경기 회복세에 따라 전년대비 41.5% 급증,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능가하는 1조7686억 대만 달러에 달함.

 

 ○ 2011년 대만 반도체 산업은 2010년 기저효과로 전년대비 큰 폭의 성장세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나 전년대비 소폭 성장은 가능할 전망

  - 대만 반도체 산업의 최대 비중을 차지하는 파운드리는 종합반도체기업의 외주 생산 비중 확대 추세에 따라 올해도 두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

  - 또한, 패키징과 테스트도 종합반도체기업과 팹리스의 외주 비중 확대에 힘입어 전년대비 소폭 성장세를 보일 전망

  - 한편, 스마트 모바일 기기용 반도체 칩은 선전이 예상되나 중국 팹리스 업체의 급성장이 대만 업체를 위협하고 있으며 노트북 및 일반 PC용 반도체 칩의 성장세가 한풀 꺾이면서 IC 설계 분야의 생산액은 전년대비 소폭 감소 예상

  - 또한, D램으로 대표되는 자사 브랜드 제품 제조업은 D램의 주요 응용제품인 PC 수요가 침체하고 업계의 생산공정 업그레이드 가속화로 과잉공급현상을 야기시켜 단가 하락세가 예상되므로 전년대비 생산액이 급감할 전망

 

대만 반도체 산업 규모

(단위 : NT$ 억, %)

분야

2007

2008

2009

2010

2011

업체명

현지 업계 내 비중주)

업체명

현지 업계 내 비중주)

1

ASE

34.0%

ASE

16.5%

2

SPIL

19.6%

KYEC

9.8%

3

Powertech

8.1%

Powertech

9.6%

4

Chipbond

3.8%

ChipMOS

4.4%

5

ChipMOS

3.5%

SPIL

4.0%

주: 1) 2010년 대만 IC 패키징업 매출총액(2970억 대만 달러)과 IC 테스팅업 매출총액(1327억 대만 달러) 대비 업체별 매출액 비중

주2: 대만 패키징 업체 수 총 29개사, 테스트 업체 수 총 37개사

자료원: 공업기술연구원(2011년 4월)

 

□ 대만 반도체 산업, 저력의 원천은 ‘파운드리’

 

대만 반도체 산업 구성과 해당 분야 최대 기업의 역할비중

(단위 : NT$ 억)

주: 2010년 매출액 기준

자료원: 공업기술연구원(2011년 4월)

 

 ○ 우리나라는 종합반도체기업 형태를 위주로 발전한 반면, 대만은 파운드리가 반도체 산업 발전의 동력이 됨.

  - 대만 종합반도체기업의 매출액 비중은 제조업 매출총액의 6.7%에 불과하며, D램은 세계 시장점유율은 높다고 하나 기술자생력 없이 거액의 로열티를 지급하며 외국 기술을 도입하는 탓에 실질적 시장주도 역량은 미흡한 편임.

 

 ○ 반도체 업계의 매출액 기준, 대만 반도체 산업은 제조업 비중이 절반을 차지하며, 제조업에서는 파운드리가 65%를 차지

  - 그중 특히 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 TSMC가 대만 전체 반도체 산업의 1/4에 육박하는 역할비중을 담당함.

 

 ○ 결과적으로 대만의 파운드리 산업은 전체 반도체 산업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도맡고 있으며, 대만이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낼 수 있게 한 결정적 요소임.

  - 대만 팹리스는 세계 1위를 고수하는 파운드리를 등에 업고 도약을 이룩할 수 있었으며 패키징과 테스트는 팹리스의 성장을 바탕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

 

 

자료원: 2010년 반도체 연감, KOTRA 타이베이 KBC 자체 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대만 IT의 핵심, 반도체 산업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