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년 두바이 부동산 하향 안정화
- 투자진출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정현
- 2011-01-09
- 출처 : KOTRA
-
2011년 두바이 부동산 하향 안정화
- 부동산 수요가 점차 살아나고 있지만, 공급초과로 시세 하락 -
- 저가 임차/매매의 기회 살려야 -
□ 수요 상승과 동시에 사무용 부동산의 공급초과로 부동산 시세 하항 안정화
ㅇ UAE의 경제가 점차 회복되면서 사무용 부동산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나 신규 부동산 공급이 수요증가분보다 많아 2012년까지 임차료가 하향 안정화 될 전망임.
- 부동산 조사기관인 CBRE(CB Richard Ellis)사에 따르면 2010년 한 해 동안 두바이의 총 사무용 부동산 면적 474만sqm(2009년 말 기준)의 17.9%인 85만sqm가 사무용 부동산으로 공급되었으며 2012년 말까지 추가로 22만sqm의 면적이 공급될 전망임.
- 신규 사무용 부동산 공급은 주로 Jumeriah Lakes Tower, Business Bay, TECOM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동 지역에서 부동산 시세 하락이 두드러졌음.
- DIFC(Dubai International Financial Center)와 미디어 시티 등 중심업무지역의 수요가 점차 상승하고 있어 부동산 시세의 하락속도가 점차 둔화될 것으로 보임.
□ 사무실 이전 추세 속에 free-hold 지역 인기
ㅇ 가격하락으로 부동산 구매자와 임차인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며 기존 입주업체들은 보다 저렴한 가격에 좋은 시설을 갖춘 사무실로 이전하는 추세가 늘어나고 있음.
- 2010년에는 전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였지만 외국인의 부동산 소유가 가능한 free hold 지역인 DIFC와 Internet City, Media City는 일반 지역에 비해 높은 임차료를 유지하고 있음.
- Tecom지역의 경우 Free hold가 가능한 지역의 임차료는 1,322 AED/sqm이며 비 Free hold Tecom 지역의 임차료는 506 AED/sqm로 조사되었음.
- 금융기업들은 DIFC로, 비금융기업들은 미디어 시티, 인터넷 시티 등 Free hold 지역을 선호하고 있음.
[두바이 사무실 임차료 현황(2010년 3분기)]
(단위 : AED, 환율 USD 1 = 3.672 AED)
지역
평균 임차료
(AED/sqm)
전 분기 대비
증감율
DIFC
3172.0
0%
Sheikh Zayed Road
1720.4
-9%
Internet City
1451.6
-4%
Media City
1397.8
-4%
Bur Dubai
1236.6
0%
Tecom
914.0
1,322(free hold)
506(non-free hold)
-11%
Jumeirah Lakes Towers
806.5
0%
자료원 : Asteco
□ 주거용 부동산도 공급과잉으로 임차료, 매매가 하락세 지속
ㅇ 신규 부동산의 공급으로 스튜디오와 1 bed 아파트가 임차료 하락률을 주도하며 주거용 부동산 시세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
- 주로 단기 외국인 체류자를 대상으로 하는 스튜디오와 1 베드 아파트의 경우, 공급대비 수요가 저조하여 동 부동산 시세가 회복되려면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됨.
- 부동산 조사기관인 Jones Lan ㅇ Lasalle사에 따르면 2010년 말 기준 두바이 주거용 부동산의 규모는 29만7천 호이며 부동산 공급이 지속되어 2012년까지 16.2% 상승한 34만5천 호에 이를 예정임.
ㅇ Dubai Land Department는 2010년 3분기 주거용 부동산 매매 거래량이 전년 동기대비 51% 감소하였으나 임차거래는 매매거래 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혔음.
- 부동산 매매의 경우 두바이 주거용 부동산 매매가의 지속적인 하락으로 투자가들이 관망세를 보이고 있어 거래량이 줄었으나, 임차거래의 경우 샤자, 북부 에미레이트 등 타 지역에서 부동산 시세가 하락한 두바이로 인구유입이 늘어나 상승추세임.
[두바이 주요지역 아파트 임차료 현황(2010년 3분기)]
(단위 : AED, 환율 USD 1 = 3.672 AED)
구분
평균 임차료
전 분기 대비 증감율
스튜디오
1 베드
2 베드
3 베드
Palm Jumeirah
n/a
90,000
120,000
170,000
-11%
Downtown
50,000
75,000
100,000
150,000
-3%
Marina
42,500
62,500
92,500
125,000
-4%
Jumeirah Beach Residence
50,000
75,000
100,000
125,000
-9%
Sheikh Zayed Road
50,000
70,000
105,000
120,000
-9%
Jmeirah Lakes Towers
34,000
50,000
65,000
95,000
-2%
자료원 : Asteco
□ 세계 최고층 주거전용 빌딩과 비즈니스 베이 주거용 빌딩 건설 재개
ㅇ 세계 최고층 주거전용 빌딩으로 기록될 Princess Tower가 2011년에 완공될 예정이며 비즈니스 베이 주거용 빌딩 건설도 재개될 전망임.
- 프린세스 타워가 완성되면 높이 414meter, 107층 규모의 건물로 호주에 있는 기존 세계 최고기록 보유 빌딩인 323미터, 78층 규모의 Q1 Tower를 제치고 세계 최고 주거전용 빌딩이 될 예정임.
- 두바이의 신도심지인 비즈니스 베이의 주 개발사인 Dubai Property는 모기업인 Dubai Holdin ㅇ의 재무상황 악화로 건설에 난항을 겪고 있으나 비즈니스 베이의 인프라와 주거용 빌딩의 건설을 2011년에 재개할 예정임.
□ 경색된 부동산 대출시장 활성화에 나선 두바이 정부
ㅇ 두바이 부동산부(Land Department)는 건설업계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Tayseer(아랍어로 ‘쉽게 하다.’ 의미) 제도를 도입하여 우선 두바이에서 건설 중인 40개 프로젝트에 대해 자금을 지원할 것이라고 2010년 7월에 발표하였음.
- 동 체제 하에서 두바이 정부가 보증한 우수 건설 프로젝트는 금융기관으로부터 저리로 대출지원을 받을 수 있음.
- 은행권에서도 점차 대출금리를 낮추고 있어 HSBC와 Standard Chartered, Barclays 등 의 현지 진출은행들은 3년 동안 5.99%의 확정금리로 대출을 해 주고 있음.
- 이 외에도 두바이 정부는 각종 부동산 관련 요금과 불필요한 규제를 철폐하여 부동산 관련 대출시장의 활성화에 나서고 있음.
ㅇ UAE의 대표적인 민간 모기지 회사인 Tamweel사는 금융위기 이후 2년 동안 중단됐던 주택자금 대출업무를 2010년 11월부터 재개하였음.
- 두바이정부 소유 두바이투자공사(Investment Corporation of Dubai: ICD)의 자회사인 Dubai Islamic Bank는 UAE 최대 모기지 회사인 Tamweel사의 지분을 기존 21%에서 57.33%로 늘려 대출업무를 재개토록 함으로써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해 줄 것으로 기대됨.
- Tamweel사는 두바이와 아부다비에서 완공된 주거용 건물을 시장가치 기준 80%를 한도로 대출 서비스를 제공해 주고 있음.
□ 시사점
ㅇ 2010년 두바이 부동산 시장에서는 경제회복으로 중단되었던 건설 프로젝트가 재개되어 공급이 늘어나면서 매매가/임차료가 하락하였음.
ㅇ 두바이 부동산 시세의 하락으로 아부다비, 샤자 등 주변 에미레이트에서 유입이 증가하고 있고, 저가거래 기회를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자가 늘어나고 있음.
-현지 부동산 중개업자에 따르면 경제위기 이전에는 실수요자의 비율이 30%에 그쳤으나 최근에는 70%로 크게 상승하여 두바이 부동산 시장에서 수요가 살아나고 있음.
ㅇ 두바이는 여전히 중동지역의 비즈니스 허브로서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지역본부를 두바이에 두고 있으며, 향후 경제가 회복되면 우수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부동산 수요가 다시 살아날 것으로 전망됨.
- 수요가 살아나고 공급과잉이 해소되면 부동산 시세 하락률이 완만하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므로 중동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는 우리기업들은 2011년을 사무실 개설의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 자료원 : ㅇulfnews, The National, CBRE, Asteco, Landmark Advisory, Jones Lan ㅇ Lasalle, Dubai Land Department, KBC 자체조사 등. 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11년 두바이 부동산 하향 안정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M&A 2011년에도 지속
말레이시아 2011-01-10
-
2
인도 소비성향 변화로 산업 전망 순풍
인도 2011-01-09
-
3
토・일요일은 평일, 절전이 바꾸는 일본의 휴일
일본 2011-05-27
-
4
중국 소비시장,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이 新성장동력
중국 2021-03-25
-
5
인플레이션이 미국 소비자들에게 미친 영향은?
미국 2022-10-05
-
6
美 LA시 재개발 프로젝트는 현재진행형
미국 2010-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