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中 2・3선 도시 푸저우 시, 경제성장 남달라
  • 경제·무역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10-12-30
  • 출처 : KOTRA

 

中 2, 3선 도시, 푸저우 시(福州市), 경제성장 남달라

- 푸저우 시 제1산업인 전자제조산업, 꾸준히 발전 중 -

- 지리적 우세이용, 대만과의 협력 증대 중 -

 

 

 

□ 푸저우 시 소개

 

 ○ 주요 현황

  ① 세계 최대 LCD, 자동차 유리, 스테인리스스틸의 생산 및 수출기지임. 또한 장어 가공이나 방적사기지, 대만합작 자동차 생산기지로도 유명함.

  ② 인구 : 687만 명

  ③ 면적 : 11,968㎢

  ④ 경제규모(생산총액) : 2524억2800만 위앤('09)

  ⑤ 도시 1인당 가처분 소득 : 20289 위앤

  ⑥ 농촌 1인당 가처분 소득 : 7669 위앤

  ⑦ 주요산업 : 통신설비 및 컴퓨터, 기타 전자설비제조업, 방직업, 교통운수 설비제조

  ➇ 1, 2, 3차 산업의 비중은 작년 10.347.442.3에서 올해 9.647.443.0로 변화하는 등 3차 산업의 비중이 커짐.

  ➈ 수출입총액은 샤먼시에 이어 2번째임. 2010년 1~3분기 대외무역 수출입총액은 176억7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0.2% 증가함.

 

자료원 : KOTRA 광저우KBC

 

 ○ 푸젠성의 성도(省都), 푸저우 시(福州市)의 산업경제

  - “11.5계획”기간 동안 푸저우 시는 대외개방 추진과 함께 해협서안경제구 건설에 힘입어 대외무역에서 좋은 결과를 거둠.

  - 기존에는 대부분 홍콩, 마카오, 대만, 유럽, 미국 등지와 함께 프로젝트를 추진했으나, 이제는 57개국으로 확대돼, 엑손모빌, 오라클, 시스코, 테스코 등 푸저우 시의 세계 500대 기업은 86개로 증가해, 지난 5년 간 63.5% 늘어남.

 

2009~10년 푸저우 시 일정규모 이상 총 공업생산액 월별 누계 성장속도 비교(%)

 

자료원 : 푸저우시인민정부

 

  - 대만은 푸저우 시의 가장 중요한 무역파트너인 통시에 투자의 원천지임. 푸저우시는 대만의 타이페이, 지룽(基隆), 네이후(湖) 등 지역과 지역협력 및 도시 간 교류협력 등 협의를 체결하는 등 지역 간 경제활성화가 꾸준히 이뤄짐.

  - 한편, 대만의 대 푸저우 투자는 점차 증가해 지난 5년 간 156개의 대만 프로젝트가 유치되는 등 해협서안경제구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음.

  - 투자 프로젝트는 초기에는 노동집약형 산업이었지만, 점차 기술 및 자금 밀집형 산업, 전·후방산업까지 다양하게 발전하는 추세를 보임.

  - 핵심산업으로는 전자정보, 자동차 및 부품 등 2개 산업으로, 이들의 공업생산액은 100억 위안을 넘어섬. 또한 TPV, CPT, 둥난자동차(南汽) 등 대만기업은 푸저우시 선두업체로 인정받으며, 이들의 공업총생산액은 전체의 약 30%를 차지함.

 

□ 푸저우 시 제1산업 '전자제조업'

 

 ○ 푸저우 시의 “잘 나가는 산업”

  - 2007년, 푸저우시는 푸젠성의 최초 정보산업국가 하이테크 산업기지로 인정받았으며, 국가횃불계획 소프트산업기지를 보유함.

  - 푸저우 시의 제1 산업은 전자제조산업으로, 2010년 1~11월 공업생산액이 515억3500만 위앤에 달함.

 

2010년 1~8월 푸저우시 유망산업

순위

산업명

공업생산액

전년대비 증가율

1

통신설비 및 컴퓨터, 기타 전자설비 제조업

515.35억 위앤

24.4%

2

방직업

267.71억 위앤

18.8%

3

교통운수설비제조

246.78억 위앤

61%

4

철화합물금속제련 및 압연가공업

235.7억 위앤

33.1%

5

농산가공업

219.53억 위앤

22.4%

6

화학섬유제조

132.35억 위앤

12.3%

자료원 : 푸저우시인민정부

 

  - 한편, 기업 규모로는 그룹기업들의 성장이 크게 두드러짐. 일정 규모이상의 그룹기업들의 총 공업생산량은 43억5100만 위앤으로 50.9% 증가함.

 

 ○ 규모 점차 커지면서 기업들도 점차 진입하는 중

  - 모니터 생산을 위주로 한 푸저우의 전자정보산업은 점차 그 규모가 커짐. LCD와 CRT모니터, 신형전자부품, 집적회로, 컴퓨터, 인터넷통신, 응용 소프트웨어, 애니메이션 창의 등 산업을 주로 함.

  - 푸저우 시의 전자기업으로는 ?지에(冠捷)를 선두기업으로, 이 밖에도 Strapdown Electronics, 화양광전(映光), 산시에징지(三精机), 히타치 디지털미디어, Furistock, Star, 신따루(新大), 화커광전(科光), 푸젠푸스통(福建富士通) 등 기업이 포진해 있음.

 

□ 푸저우시 경제의 변화양상

 

 ○ 산업구조 고도화 중

  - “11.5계획”기간에 3차산업 외국인 투자(FDI)비중이 대폭 증가했고, 도소매, 비즈니스 서비스, 서비스아웃소싱 등이 빠르게 발전함.

  - 외국인 직접투자에서 3차 산업에 대한 투자비중은 2008년 2차 산업을 초과했으며, 2009년에도 성장률이 65.4%로, 크게 증가함.

 

 ○ 이제는 변화시대! 외자이용 시대에서 대형프로젝트 유치시대로!

  - 과거 푸저우시는 외자이용이 위주였지만, 최근부터 대형 프로젝트 유치를 위주로 하게 됨. “11.5계획”기간에 푸저우시가 비준한 외자 프로젝트는 1034개로, 계획기간 내 목표를 초과완성함.

  - 그 중, 올해 1~11월까지 푸저우시 중점프로젝트의 투자액은 807억1300만 위앤이며, 동기대비 329억4500만 위앤(69%) 증가해, 올해 계획된 투자의 104.79%를 이미 달성했음.

  - 최근 푸저우시 투자상담회에서 계약된 인도네시아 산린그룹의 석탄화학공업 종합단지 프로젝트는 총 투자액이 15억 달러로, 푸저우시의 올해 최대규모 외자프로젝트임.

  - 11월 중순에는 10억 달러 규모의 EF투자그룹과 8인치 웨이퍼 생산라인 건설을 위주로 한 프로젝트의 계약이 성사되기도 함.

 

 ○ 대만과의 협력, 푸저우 시 경제 중요한 역할

  - 대만은 푸저우 시의 가장 중요한 무역파트너인 통시에 투자의 원천지임. 푸저우시는 대만의 타이페이, 지룽(基隆), 네이후(湖) 등 지역과 지역협력 및 도시 간 교류협력 등 협의를 체결하는 등 지역 간 경제활성화가 꾸준히 이뤄짐.

  - 한편, 대만의 대 푸저우 투자는 점차 증가해 지난 5년 간 156개의 대만 프로젝트가 유치되는 등 해협서안경제구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음.

  - 투자 프로젝트는 초기에는 노동집약형 산업이었지만, 점차 기술 및 자금 밀집형산업, 전·후방산업까지 다양하게 발전하는 추세를 보임.

  - 핵심산업으로는 전자정보, 자동차 및 부품 등 2개 산업으로, 이들의 공업생산액은 100억 위안을 넘어섬. 또한 TPV, CPT, 둥난자동차(南汽)등 대만기업은 푸저우시 선두업체로 인정받으며, 이들의 공업총생산액은 전체의 약 30%를 차지함.

 

□ 전망

 

 ○ 푸저우 시의 향후 5년 계획

  - 푸저우는 현재 세계 최대 LCD 생산수출기지, 전국 최대 자동차 유리, 스테인리스스틸 생산수출기지, 전국 최대 장어구이 수출기지, 방적사 기지, 대만 협력 자동차 생산기지로 부상하는 등 크게 발전함.

  - 향후, “12,5계획”기간 5년간 푸저우시는 연해 항구에 근접한 지리적 우세를 이용해 서비스무역을 발전시켜 해협서안 수출입 종합시스템을 구축할 것임. 또한 산업구조 고도화 및 산업수준 향상을 통해 서비스무역 발전, 수입확대를 가속화할 것임.

 

○ 교통 개선으로 푸저우시 발전 촉진

  - 중국 정부는 향후 3년 내에 전국 주요 도시를 잇는 고속철도 42개 노선을 건설할 계획임.

  - 여기 항저우도 포함돼 모든 노선이 완공되는 2012년에는 중국 주요도시가 고속철도로 연결되 한나절 생활권에 접어들게 됨. 특히 베이징-항저우 구간은 4시간으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됨.

 

○ 푸저우시의 중점

  - 푸저우시는 외자유치를 중요시해, 이를 위해 경제성장방식의 꾸준한 전환, 혁신능력 향상 등 방면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임.

  - 2대 중점 해외진출 전략으로는, 대외수출과 해외자원개발이며, 이를 푸저우의 지리적 이점을 이용해 내수시장과 연결하고자 함. 또한 해외진출도 적극 계획하는 등 전체적인 대외무역발전에 힘씀.

 

 

자료원 : 푸저우인민정부, 푸?성통계국, 푸저우시통계국, 푸저우일보, 바이두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2・3선 도시 푸저우 시, 경제성장 남달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