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0년 캄보디아의 추수
  • 트렌드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11-30
  • 출처 : KOTRA

 

2010년 캄보디아의 추수

- 시작은 좋지만 여전히 잔재하는 자연재해의 위험 -

- 유럽시장 진출 위해 가격보다 품질과 시장정보 파악이 중요 -

 

 

 

□ 캄보디아의 벼농사

 

 ㅇ 캄보디아가 2011년 쌀 수출 국가순위를 올리고자 함. 이와 관련해 기술발전과 새로운 농법 도입 등 캄보디아의 경작시스템을 점진적으로 개선해 2011년 쌀 생산량 상승에 노력을 기울임.

 

 ㅇ 캄보디아의 추수철은 1월이며, 농기계의 보급과 함께 캄보디아의 쌀 생산량은 2009년 대비 20~30% 상승함. 특히 Battambang 지역의 쌀 생산량이 평균 이상의 강수량으로 크게 상승함. 또한 이 지역에서 새로운 쌀 품종의 재배가 성공하는 등(프까롬쩡 종) 쌀 생산의 양적·질적 발전이 이뤄짐.

 

 ㅇ 벼농사는 캄보디아가 중·장기적으로 지원하는 분야이며, 이는 캄보디아 국민에게 큰 영향을 미침. 하지만 모든 농사가 그러하듯 예상할 수 없는 날씨의 변화나 자연재해의 영향을 많이 받아 생산량 상승에 어려움이 있음. 특히 배수시설이나 여타 제반시설이 취약한 캄보디아는 날씨에 큰 영향을 받음.

 

□ 홍수, 가뭄 등에 취약한 캄보디아 재배환경

 

 ㅇ 농림수산자원부에 따르면 2009~10년에 4만5777ha가 홍수, 가뭄을 비롯한 다른 요소에 의해 피해를 입었음. 가장피해가 큰 지역은 Banteay Meanchey와 Kampong Thom으로, 피해면적은 각각 1만36ha, 1만1233ha로 집계됨. 그 이외에 Siem Reap과 Kampong Thom 등의 일부지역 에서도 홍수로 인한 피해를 봄.

 

지역별 홍수대비 취약성

 자료 : Cambodia-National Adaptation Program of Action

 

지역별 가뭄대비 취약성

 

자료 : Cambodia-National Adaptation Program of Action

 

 ㅇ 비영리기관 단체들과 정부기관 자료에 따르면, 캄보디아 우기에 생산되는 작물군이 많은 강수량과 홍수에 의한 피해가 크다고 함. 캄보디아는 홍수에 의한 피해를 자주 입는 나라로 National Committee for Disaster Management(NCDM)의 보고서에 의하면 1987년부터 2007년까지 12번의 홍수가 있었고 1125명 정도의 캄보디아 국민이 사망했으며, 철도, 도로 등 교통 인프라뿐만 아니라 농작물도 3억 달러 규모의 피해를 입음.

 

□ 캄보디아 정부 쌀 수확량 상승위해 노력

 

 ㅇ 캄보디아 정부는 2010~11년 쌀 생산량이 73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함. 그 중 314만 톤이 내수 수요를 위해 소비될 것이고 332만 톤의 잉여 생산량이 수출을 위해 가공될 것으로 전망하지만 2009년 쌀 수출량은 1만3000톤에 불과한 실정

 

 ㅇ 쌀 생산량을 늘려 캄보디아의 주요 산업인 봉제업과 마찬가지로 유통, 일자리 창출 등 부가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캄보디아의 잠재산업으로 간주해 투자 발전시킬 계획

 

 ㅇ 캄보디아는 유럽과 관세협정을 맺는 국가 중 하나로, 증가하는 유럽의 쌀 수요에 맞춰 수출량 증가를 위해 노력할 전망

 

 

자료원 : Cambodia`s Business Magazine, Cambodia-National Adaptation Program of Action, National Committee for Disaster Management, 프놈펜 KBC 자체조사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0년 캄보디아의 추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