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수소차량의 패자부활인가?
- 경제·무역
- 독일
- 뮌헨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08-21
- 출처 : KOTRA
-
독일, 수소차량의 패자부활인가?
□ 수소차량의 가능성 재발견
○ 독일 정부가 2010년까지 전기차 100만 대를 보급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한동안 잠잠했던 수소차량에 대한 관심이 다시 부상함.
- 수소차량은 전기차량과 같이 소음이나 이산화탄소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모터의 회전수(RPM)에 상관 없이 최대 마력을 낼 수가 있음.
- 전기차량이 아직 최대 이동거리 100㎞밖에 안되는 반면, 수소차량은 이동거리가 600㎞에 달하며 주유시간도 3분으로 짧은 편임.
○ 그에 따라 Daimler, Toyota, BMW VW, Ford, Total, Shell 등 13개 업체는 수소차량의 가능성을 높이 사고 Clean-Energy-Partnership을 결성해 개발에 힘씀. 주 목표는 2015년까지 총 17억 유로를 투자해 합리적인 가격의 수소차량의 생산과 현재 27개인 수소주유소를 최소 1000개로 늘리는 것임.
○ 수소주유소의 보급화가 관건
- 생산효율성이 아직 57%로 낮아 제조공정에 친환경 전력이 투입돼야 경쟁력을 가지며 수소주유소 설치비용이 일반 주유소의 두배인 200만 유로로 상대적으로 높은것도 보금화에 걸림돌로 작용함.
- 그러나 베를린 국제공항에서는 2011년에 세계최초의 이산화탄소 발생량 없는 수소주유소가 가동될 예정이며 수소생산을 위한 전력은 근방에 설치된 풍력발전소가 제공하게 됨.
□ 독일 정부, 보조금 지급으로 개발 지원
○ 독일 연방 교통부는 수소 및 연료전지 기술개발프로그램인“Nationale Organisation Wasserstoff- und Brennstoffzellentechnologie”을 가동해 2013년까지 총 14억 유로를 제공하기도 함.
○ 그에 따라 베를린에 세워진 수소주유소 설치비용에 동 프로그램을 통해 400만 유로의 지원금이 투입되기도 했으며 General Motors사의 독일 자매사인 Opel사도 연료전지차량 개발에 400만 유로의 지원금을 받았음.
□ 업체별 수소차량 모델
모델명
사진
스펙
Mercedes F800 Style
모듈형 제조방식, 프로토타입
136PS (연료전지모터)
최대속도 180㎞/h
이동거리 600㎞
Mercedes F-Cell
200대 소량생산 중
136PS
최대속도 170㎞/h
이동거리 385㎞
Honda FCX Clarity
200대 소량생산 중
136PS
최대속도 160㎞/h
이동거리 460㎞
Opel Hydrogen 4
Chevrolet Equinox 모델구조 이어감
126PS
최대속도 160㎞/h
이동거리 320㎞
Toyota FCHV-adv
Toyota Highlander 모델구조 이어감
122PS
최대속도 155㎞/h
이동거리 600㎞
자료원 : 경제전문지 Wirtschaftswoche
□ 시장전망
○ 수소차량은 독일 산업에 큰 가능성을 안겨줌. 전기차량은 전지가 주요 부품인 것과 마찬가지로 수소차량에서는 연료전지의 기술이 관건임. 전자의 경우 Toyota, Honda 등의 제조사가 기술력에서 세계정상에 있으며 후자의 경우 독일 Daimler사가 핵심기술을 보유하기 때문임.
○ 수소생산의 경우에서도 독일 뮌헨에 소재한 Linde 그룹이 세계 선도기업으로 수소의 생산, 액체화 및 저장 외에도 유통 및 주유 전반에 걸쳐 기술과 노하우를 보유해 시장성이 높아짐.
○ 수소차량의 생산가격도 2005년 이후로 90%가량 떨어져 보급화에 한발 다가선 것으로 평가됨. 그러나 2005년의 생산비용이 무려 100만 유로에 달한 것을 감안할 경우 다시 50% 이상의 가격하락이 이뤄져야만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업계에서 전망함.
- Toyota 및 Mercedes사는 생산비용절감을 위해 모듈형 제조방식을 택했음. 예로 Toyota사의 FCHV-adv 모델에 RX 450h의 전기모터를 이용하며 Mercedes사의 경우 E-Class 후속모델로 F800을 개발해 연료전지외에 전기모터의 장착이 가능함.
○ 2015년까지 수소차량의 보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고급금속인 플래티넘이 마지막 허들로 남음. 2005년에 사용량이 80g에 달했던 반면, 현재의 30g으로 반 이상 줄었으나 여전히 전지당 3000유로로 매우 가격이 높은 편임. 그에 따라 업체들은 사용량을 10g 이하로 절감하는 방식을 개발하는데 힘을 다함.
자료원 : Wirtschaftswoche, Spiegel 기사, Clean-Energy-Partnership, KOTRA 뮌헨KBC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독일, 수소차량의 패자부활인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필리핀 新정부, 밀수와의 전쟁 선포
필리핀 2010-08-10
-
2
네덜란드 경제, 1분기 0.6% 성장
네덜란드 2010-06-28
-
3
상반기 對네덜란드 수출입 크게 증가
네덜란드 2010-07-23
-
4
[신성장경영마케팅] 헝가리, 개인병원이 의료관광객 유치 선도
헝가리 2010-07-15
-
5
2분기 중국 GDP, 일본 제쳐
중국 2010-08-17
-
6
아르헨, 신재생에너지사업 본격 추진
아르헨티나 2010-07-24
-
1
2025년 독일 철강산업 정보
독일 2025-04-01
-
2
2024년 독일 바이오헬스 산업 정보
독일 2024-12-20
-
3
2024년 독일 반도체 산업 정보
독일 2024-12-11
-
4
2024년 독일 IT 산업 정보
독일 2024-08-14
-
5
2024 독일 항공 우주 산업 정보
독일 2024-07-14
-
6
2021 독일 수소산업 정보
독일 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