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네시아 알루미늄 제품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김대희
  • 2023-04-04
  • 출처 : KOTRA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 급증하는 수요에 비해 부족한 자국내 알루미늄 생산량

알루미늄은 건축 내외장재와 가구에서 사용되는 목재를 대체할 친환경 소재로 평가받으며, 성장이 유망한 분야로 꼽히기도 한다. 인도네시아에서도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사용처가 다양해 건축자재에서부터 식품 및 의약품 포장재, 그리고 전선 및 튜브 등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다운스트림 산업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올해 6월부터 알루미늄의 원광인 보크사이트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를 예고하기도 했다. 예정대로라면 보크사이트 원광 자체는 인도네시아에서 수출될 수 없고, 제련 과정을 통한 제품만 수출이 허용되어, 인도네시아 내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띄고 있다. 


이를 통해 인도네시아는 알루미늄를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알루미늄에 대한 예상 생산량은 인도네시아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Bina Nusantara 대학교의 2022년 9월 연구자료인 'Strategic Marketing Apporach of Indonesia Aluminium Mineral Industry' (저자 Abdinagoro 및  Hamsal)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에서는 자동차, 건설, 전력케이블 등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며, 현재 알루미늄 제련 시설로는 국내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공급 부족 현상을 예상하고 있다. 공급 부족으로 인해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수입은 지속될 것으로 설명했다.


알루미늄이 포함된 HS 코드 76은 다양한 제품을 포함한다. 본문에서는 광범위한 제품군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인도네시아에서의 주요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설명코자 한다.


HS 코드

해설

7601

알루미늄 괴

7606

알루미늄 판·시트, 스트립(두께 0.2mm 초과)

7607

알루미늄 포일(두께 0.2mm 이하, 보강재 두께 제외)

[자료: 인도네시아 재무부, 한국 관세청]



시장 동향


Euromonitor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알루미늄 생산은 2019년 전년 대비 94.7% 급증하며 30억2200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21억3300만 달러(-29.4%)까지 감소했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완화되자 생산은 다시 회복되어 2022년에는 31억4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인도네시아 알루미늄 생산 추세(2018-2022)>

(단위 : USD 백만)


[자료 : Euromonitor]


인도네시아는 산업부는 알루미늄에 대한 수요는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2025년에는 약 226만 톤의 알루미늄이 필요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인도네시아 알루미늄 수요 예측 (2014-2025)>

(단위 : 톤)

[자료 : 인도네시아 산업부]


현재 인도네시아에서는 알루미늄 주조(Casting), 압출성형(Extrusion)과 판·시트 제조를 위해 알루미늄 괴(Ingot)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인데 Bina Nusantara 대학교 연구자료에 따르면, 알루미늄 괴에 대한 수요는 약 80만 톤인 반면, 인도네시아 국내 생산량은 약 55만에서 75만 톤 가량이 부족하다고 보고 있다.


수입 동향


지난 5년간의 인도네시아의 주요 알루미늄 제품(HS 코드 7601, 7606, 7607) 수입 동향을 살펴보면 2019년 수입량이 다소 주춤했다. 2019년 당시 감소 원인은 원부자재 단가 하락과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또한 2019년에는 특정 알루미늄 제품(HS 코드 7607.11.00)에 대한 세이프 가드 조치가 시행되기도 했었다. 2020년에는 국내 수요 감소로 인해 코로나19로 인해 수입량이 급감했다. 그리고 2021년에는 다시 회복세에 접어들어 2022년에는 2018년 수준 이상으로 수입이 증가하였다. 2022년 전체 수입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제품은 알루미늄 괴(HS 코드 7601)로 전체 수입금액의 30.1%인 7억6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알루미늄 제품(HS 코드 7601, 7606, 7607) 인도네시아 전체 수입금액(2018-2022)>

(단위 : USD)

연도

수입금액

2018

1,558,883,803

2019

1,166,663,336

2020

900,486,861

2021

1,373,588,794

2022

1,641,613,098

[자료 : Global Trade Atlas]


인도네시아의 한국산 알루미늄 제품(HS 코드 7601, 7606, 7607)의 수입 동향도 비슷한 추세를 보인다. 2020년 5535만 달러를 기록했던 한국산 수입금액은 2021년에 들어 2배 가량 증가했고, 2022년에도 1억2098만 달러를 수입하며 수입국가 3위를 기록했다. 


<알루미늄 제품(HS 코드 7601, 7606, 7607) 인도네시아 주요 수입국가 및 수입금액(2020-2022)>

(단위 : USD)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1

중국

355,070,451

467,209,502

697,061,332

2

아랍에미리트

52,512,262

114,869,032

153,491,909

3

한국

55,354,109

113,431,256

120,976,852

4

말레이시아

59,879,266

130,236,220

110,200,457

5

호주

65,282,885

113,479,464

108,663,104

[자료 : Global Trade Atlas]


그리고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인도네시아가 주로 수입하는 한국산 제품은 알루미늄 판·시트 (HS 코드 7606)이며 2022년 기준 6350만 달러로 한국산 알루미늄 제품 전체 수입의 46.8%를 차지했다. 그 뒤로 알루미늄 괴(HS 코드 7601)는 4160만 달러(30.8%), 알루미늄 포일(HS 코드 7607)은 1600만 달러(11.8%)를 기록했다.



경쟁 동향


인도네시아에서 알루미늄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다수 존재하며 이중에는 국영기업과 외국인투자기업도 포함된다.


<인도네시아 알루미늄 제품 생산 주요 기업>

종류

기업명

회사로고

내용

국영기업

PT Inalum

설립연도 : 1976

제품 : 알루미늄괴, 알루미늄 빌릿, 알루미늄 합금

웹사이트 : www.inalum.id/id

PT Indonesia Aluminium Alloy

설립연도 : 2020 (PT Inalum 자회사)

제품 : 알루미늄 빌릿, 알루미늄 스크랩

웹사이트 : https://iaa.co.id/

민간기업

PT Alumindo Light Metal Industry

external_image

설립연도 : 1978

제품 : 알루미늄 시트, 알루미늄 루핑, 알루미늄 포일

웹사이트 :  www.alumindo.com

PT Well Harvest Winning Alumina Refinary

설립연도 : 2020 (중국 투자기업)

제품 : 알루미나 제련

웹사이트 :  www.whwalumina.com/

PT Daiki Aluminium Industry Indonesia

설립연도 : 2010 (일본 투자기업)

제품 : 알루미늄 합금, 알루미늄 주조

웹사이트 : dik-id.co.id/id/

[자료 : 각 업체 홈페이지]


유통 구조


알루미늄 제품은 제조사가 유통업체에 판매하고, 유통업체가 이를 소매업체 또는 최종 사용자인 건설 프로젝트 계약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구조다. 제품에 따라 소매업체는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가 가능하며, 건설 프로젝트 계약자는 용도에 따라 건축 또는 건물 내장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 알루미늄 제품 유통 구조>


[자료 :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체 정리]


관세율 및 인증


알루미늄 괴(7601), 알루미늄 판·시트(7606), 알루미늄 포일(7607)의 AK-FTA, IK-CEPA를 통해 통관할 경우 0%의 관세율을 적용 받을 수 있으며, RCEP-Korea를 통해서 통관 시에는 0~10%의 관세율을 적용받으므로 유리한 협정을 사용하여야 한다.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인도네시아 관세율>

(단위 : %)

HS 코드

AK-FTA

IK-CEPA

RCEP-Korea

MFN

76011000

0

0

0

0

76061110

0

0

0

10

76061190

0

0

9

10

76061220

0

0

0

10

76061232

0

0

10

10

76061233

0

0

5

5

76061235

0

0

5

5

76061234

0

0

0

0

76061239

0

0

5

5

76061290

0

0

8.58

10

76069100

0

0

9

10

76069200

0

0

9

10

76071100

0

0

20

20

76071900

0

0

10

10

76072010

0

0

9

10

76072091

0

0

9

10

76072099

0

0

9

10

[자료 : (AK-FTA) PMK 45/PMK.010/2022, (RCEP) PMK 223/PMK.010/2022, (IK-CEPA) PMK 227/PMK.010/2022, (MFN) PMK 26/PMK.010/2022]


알루미늄 제품의 경우 수입 시 적용되는 규제는 없다.


시사점


인도네시아에서 알루미늄 제품 시장은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다른 제품에 비해 관세 또는 비관세 장벽이 엄격하지 않은 편이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만큼 수요도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이 높지 않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정부에서는 2019년 사례와 같이 특정 제품에 대한 이프가드 또는 반덤핑 등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 제품을 수출하고자 한다면 현지 시장 동향 등에 대한 면밀한 사전 조사가 필수적이다. 또한 앞으로 다수의 건설 프로젝트가 예정되어 있는바 건설 프로젝트 관계자들과 긴밀하게 관계 구축을 하여 제품 인지도를 고려하는 방안도 진출 시 고려해볼 수 있다.


자료원 : 인도네시아 재무부, 인도네시아 관세청, Euromonitor, 인도네시아 산업부, 각 기업 웹사이트, 한국 관세청, Bina Nusantara University, KOTRA 자카르타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알루미늄 제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