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코트디부아르 쌀시장 동향
  • 상품DB
  • 코트디부아르
  • 아비장무역관 정현철
  • 2023-11-09
  • 출처 : KOTRA
Keyword #쌀 #K-Rice Belt

코트디부아르의 쌀 연간 소비량은 240만 톤, 연간 생산량은 100~150만 톤

코트디부아르는 약 8억 달러 상당의 쌀을 수입, 쌀을 수입하는 국가 중 세계 5위

K-Rice Belt 10번째 회원국이 된 코트디부아르는 최근 인도 쌀수출 금지로 한국 기업에게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임

상품명


HS CODE

상품명

100630

정미 (연마ㆍ광택 여부에 상관없다)

100640

쇄미 (broken rice)

 

코트디부아르 쌀 생산 동향

 

코트디부아르는 2023년 정미/쇄미 쌀 생산량이 2022110만 톤 보다 증가한 14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해당 기간 동안 동 곡물 생산량은 2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수립한 국가 쌀 개발 전략 (SDNR 2020-2030)에 의해 지원되는 지역 산업의 가공 능력 향상으로 가능하게 된 수치이다.


<최근 4년 코트디부아르 쌀 (정미/쇄미) 생산 현황>

(단위: )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0,000

1,000,000

1,100,000

1,400,000

[자료: MINAGRI, ADERIZ]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2025년까지 자급자족, 2030년까지 지역 수출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쌀 생산에 대한 야심찬 목표를 세우며 정부는 새로운 국가 쌀 개발 전략(SNDR)을 시행하고 있다이 프로젝트는 통합 쌀 프로젝트, 관개 쌀 재배, 다수확 종자 및 기계화에 중점을 둔다. SNDR에는 댐과 논을 재건하려는 계획도 포함되어 있다.

 

SNDR의 구체적 목표:

- 연간 쌀 생산 증가율을 2025년까지 50%에서 90%로 증대

- 수확 후 손실을 2025년까지 20%에서 5%로 줄이기

- 55,000헥타르에 달하는 64개의 논 복구사업 등

 

전반적으로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아프리카의 주요 쌀 수출국이 되는 것을 목표로 쌀 생산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한편, 202310, 아비장에서 코트디부아르 농림부 장관 코베낭 쿠아시 아주마니 (Kobenan Kouassi ADJOUMANI)와 한국 농림축산식품부 정황근 장관은 코트디부아르를 K-RICE BELT라는 쌀 생산 지원 프로젝트의 수혜국으로 만드는 MOU 체결했다.

 

코트디부아르 쌀 시장 동향

 

코트디부아르 정부에 따르면, 코트디부아르의 쌀 소비량은 연간 240만 톤에 달하지만 연간 생산량은 100만~150만톤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국가 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코트디부아르 시장에서 판매되는 쌀은 99% 정미/쇄미이며 60% 이상이 해외에서 수입된다코트디부아르는 2022년 기준 8억 달러 이상의 쌀을 수입하며, 쌀을 수입하는 국가 가운데 세계 5, 아프리카에서는 나이지리아 다음으로 2위에 자리하고 있다.

 

- 코트디부아르 쌀 수입 동향

 

<최근 3년 코트디부아르 쌀 수입 동향>

(단위: US$, %)

순위

제품

(HS코드)

금액

점유율

증감율 (2021/2022)

2020

2021

2022

2022

1006

559,806,222

725,936,416

804,918,678

100.0

10.8

1

100630

439,110,197

539,935,634

636,426,331

79.0

17.8

2

100640

119,253,614

185,702,040

168,147,263

20.8

-9.4

3

100610

280,686

190,793

301,064

0.04

57.8

4

100620

1,161,726

107,948

44,020

0.01

-59.2

[자료: Global Trade Atlas]

 

주요 공급국은 베트남, 인도 및 파키스탄이며 코트디부아르 정미/쇄미 총수입의 94%를 차지한다. 한국산 쌀 수입은 거의 없다.

 

<최근 3년 코트디부아르 정미 및 쇄미 주요 수입 상대국 대한민국 포함>

(단위: US$, %)

순위

상대국

금액

점유율

2022/2021

2020

2021

2022


세계

558,363,810

725,637,674

804,573,594

100.0

10.8

1

베트남

273,475,635

212,837,728

383,560,045

47.6

80.2

2

인도

181,120,857

282,005,444

325,209,845

40.4

15.3

3

파키스탄

22,215,093

48,064,234

47,337,176

5.8

-1.5

4

태국

44,777,661

93,400,967

18,458,912

2.2

-80.2

5

미얀마

3,672,204

11,079,353

13,138,486

1.6

18.5

6

중국

29,242,035

56,388,359

12,873,311

1.6

-77.1

7

캄보디아

1,363,988

1,185,037

1,268,209

0.16

7.0

8

미국

2,108,081

20,232,320

1,231,165

0.15

-93.9

9

UAE

145

607

1,034,759

0.13

170494.5

10

싱가포르

168,688

178,663

370,243

0.05

107.2

27

대한민국

77


0.00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 동향

 

시장 점유율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기는 어렵지만 코트디부아르의 쌀 시장은 경쟁이 매우 치열하며 다양한 원산지의 쌀이 수십 개 브랜드로 구성되어 있다코트디부아르에서 대부분 포장되고 브랜드화되는 수입 쌀이 동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국내산 쌀 브랜드는 여전히 소수이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인기를 얻고 있다코트디부아르에서 쌀 가격은 브랜드, 품종, 품질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수입쌀은 국산 쌀보다 가격이 더 비싼 편이다. 정미/쇄미 1kg의 판매가격은 0.6~1달러 수준이다.

 

<코트디부아르에서 판매되는 쌀의 몇 브랜드들 및 생산국 >

브랜드

생산지

La Riziere

베트남

Uncle Sam

태국

Alyssa

베트남

Yasmina

베트남

Saelony

베트남

Crown

인도, 미얀마

Supreme

중국

Lido

인도

CIC

베트남, 인도, 태국

Bela Luna

인도, 중국

Savanah

중국

MOI

인도, 파키스탄

Maman

베트남

RIDISSI

코트디부아르

DANANE

코트디부아르

DELICE

코트디부아르

[자료: CIC, Carre D’Or]

 

유통구조

 

코트디부아르의 쌀 시장에는 대규모 수입 유통업체, 현지 쌀 유통업체, 도매업체, 반도매업체, 소매업체 등 여러 플레이어들이 존재한다국산 쌀 유통업체는 제분업자와 함께 생산품을 가공하는 가공업자 및 생산자로부터 직접 쌀을 산다. 현지 생산자들은 대부분 농업 협동조합으로 그룹화된다수입된 쌀 유통업체는 대규모 구매 및 유통 센터(PROSUMA, CDCI COTE D'IVOIRE )인 대규모 수입업체와 자체 브랜드를 보유한 그룹으로부터 쌀을 취득한다


주요 쌀 유통업체는 Groupe Carre d'Or, Cereal Investment Company, CIC 등이 있다대규모 수입유통업체와 국산 쌀 유통업체는 도매업체와 반도매업체에게 공급하며 도매업체와 반도매업체는 쌀을 소매업체에게 공급한다. 최종 소비자는 반도매업체와 소매업체로부터 쌀을 구매한다.

 

관세율 및 인증


상품명

관세율

부가가치세

100630

10%

0

100640

10%

0

[자료: GUCE]


쌀 및 기타 식물 제품 또는 식물 원산지 제품을 수입하는 경우, 수입 시 반출 허가서(AUTORISATION D'ENLEVEMENT)와 위생검역 증명서(ATTESTATION DE CONTROL PHYTOSANITAIRE)를 제출해야 한다이 증명서는 아비장 항구에서 농업부(MINAGRI) 산하 식물위생검사국(DPVCQ)의 식물위생검사 서비스에서 발급한다.

 

시사점

 

코트디부아르 쌀 부문은 국내 수요를 충족시키고 지역 식량 안보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크다. 그러나 열악한 유통구조, 생산 및 가공 인프라의 적자, 낮은 경쟁력 등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코트디부아르 정부의 2020~2030년 국가쌀개발전략(SNDR)은 쌀 산업을 주요 일자리 창출 및 발전 촉매제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K-Rice Belt 프로젝트에 코트디부아르를 포함함으로써 이 전략을 지지하는 중요한 단계를 밟았다또한, 코트디부아르 쌀 2위 공급국인 인도(40%)는 최근 쌀 수출 금지 결정을 발표했으며 이는 한국 쌀 생산자와 수출자들에게 코트디부아르 시장을 개척하고 진출할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료: ADERIZ, MINAGRI, CIC, Carre d’Or, www.commerce.gouv.ci, GUCE, https://sdtm.ci/, KOTRA 무역관 자료 종합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코트디부아르 쌀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