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브라질 무역통계 분석
- 경제·무역
- 브라질
- 상파울루무역관 곽영서
- 2025-02-17
- 출처 : KOTRA
-
브라질의 무역의존도는 낮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브라질 무역통계를 주목할 필요가 있음
2024년 브라질은 수출 3370억 달러, 수입 2625억 달러, 무역수지 746억 달러를 기록함
주요 수출품은 원유 등의 원자재이며, 주요 수입품은 터보제트, 비료, 화물차 등 생산에 필요한 중간재임
브라질에게 한국은 12위 교역국이며, 한국에게 브라질은 23위 교역국임
브라질 무역 개요
브라질은 큰 내수시장과 과거 수입대체산업화 전략으로 인해 경제에서 수출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낮다. 세계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브라질의 GDP 대비 수출입 비율은 34%로 한국의 88%와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브라질의 교역 비중은 장기적으로 증가 추세로 브라질의 수출입 동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국, 브라질 무역의존도(GDP 대비 수출입 비율)>
(단위 : %)
[자료 : World Bank, 2025.2]
2024년 브라질의 수출액은 약 3370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3년 중국의 완전한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회복, 글로벌 주요 농산물 생산국들의 가뭄 등으로 브라질의 곡물 및 광물 등의 원자재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역대 최대 수출액을 달성한 것과 비교하여 2024년 수출액은 소폭 감소하였다.
수입액은 약 2625억 달러를 기록했다. 브라질은 정제유, 기계, 전자기기(반도체 등), 자동차, 비료, 석유화학제품, 의약품 등을 수입해 자국 내에서 가공해 수출하거나 소비한다. 2023년 말부터 시작된 금리 인하 기조가 2024년 9월까지 이어져 내수소비 및 투자가 촉진되어 2024년 총 수입액은 전년 대비 9% 증가하였다.
<브라질 무역통계(5개년)>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금액
증감율
(전년대비)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수출
209,180
-5.4
280,815
34.2
334,136
19.0
339,696
1.7
337,036
-0.8
수입
158,787
-14.6
219,408
38.2
272,611
24.2
240,793
-11.7
262,484
9.0
교역액
367,967
-9.6
500,223
35.9
606,747
21.3
580,489
-4.3
599,520
3.3
무역수지
50,393
43.2
61,407
21.9
61,525
0.2
98,903
60.8
74,552
-24.6
[자료 : Comexstat, 2025.1]
(품목별 수출입 동향)
(수출) 2024년 브라질 주요 수출품은 원유, 대두, 철광석, 설탕, 소고기 등 농산물 및 광물 등의 원자재다. 2024년에는 브라질 원유 생산량 및 수출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였으며, 역사상 최초로 원유가 수출 1위 품목이 되었다. 커피는 수출액이 전년 대비 54.9% 증가하여 10대 수출품목 중 가장 큰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이는 세계 2위 커피 생산국인 베트남이 2024년 10년 만의 최악의 가뭄으로 생산량이 감소하여 대체재로 브라질 커피 수요가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옥수수는 수출액이 전년 대비 40.2% 감소하여 수출품목 중 가장 큰 감소율을 기록하였다. 이는 2022, 2023년 옥수수 최대 생산국인 미국이 가뭄으로 10년 만에 최저 수확량을 기록하여 브라질 옥수수 수요가 증가하였다가 2024년 미국 옥수수 생산량 회복으로 브라질 옥수수 수요가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브라질의 10대 수출 품목은 모두 원자재이며, 전체 수출액 중 10대 품목의 비중은 54.6%로 전년 55.6% 대비 소폭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원자재가 수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브라질 10대 수출품목>
(단위: 백만 달러)
2020
2021
2022
2023
2024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원유
19,614
-18.9
30,609
56.1
42,554
39.0
42,611
0.1
44,842
5.2
대두
28,561
9.5
38,629
35.3
46,553
20.5
53,239
14.4
42,934
-19.4
철광석
24,259
19.9
40,716
67.8
25,734
-36.8
27,298
6.1
26,550
-2.7
설탕
7,379
64.6
7,955
7.8
9,529
19.8
13,346
40.1
15,933
19.4
커피
4,971
8.7
5,804
16.8
8,512
46.7
7,315
-14.1
11,331
54.9
소고기
(냉동)
6,663
18.2
6,956
4.4
10,917
56.9
8,497
-22.2
10,047
18.2
펄프
5,571
-20.5
6,229
11.8
7,678
23.3
6,993
-8.9
9,588
37.1
옥수수
5,783
-19.8
4,097
-29.2
12,072
194.7
13,460
11.5
8,049
-40.2
석유·역청유 조제품
(원유 제외)
3,696
18.7
5,477
48.2
10,320
88.4
7,555
-26.8
7,418
-1.8
대두박
4,700
4.7
5,922
26.0
7,538
27.3
8,547
13.4
7,235
-15.4
[자료 : Comexstat, 2025.1]
(수입) 2024년 브라질 주요 수입품은 원유, 디젤유, 터보제트, 면역물품, 화물차, 비료 등이다. 브라질은 산유국이지만 자국 원유는 중질유로 품질이 낮아 해외에서 원유를 수입하여 자국산과 혼합하여 사용해야 해서 원유 및 디젤유가 수입품 1,2위를 기록하였다. 이외에 터보제트 및 부품이 10대 품목에 포함되었는데 세계 3위 항공기 제조사인 브라질 Embraer사가 역대 최대 수주를 기록하여 생산이 증가하자 이에 따라 관련 품목의 수입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면역물품 및 화물차는 작년 3분기까지 지속되던 금리 인하 기조로 내수시장이 활성화되어 소비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염화칼륨 및 질소비료 수입액은 브라질 농업 생산량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전년 대비 감소하였는데 이는 충분한 재고량이 확보되어 수입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 전체 수입액 중 10대 품목의 비중은 16.6%로 전년 18.2%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브라질 10대 수입품목>
(단위: 백만 달러)
2020
2021
2022
2023
2024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원유
2,614
-43.8
3,995
52.9
9,915
148.2
9,058
-8.6
8,691
-4.1
디젤유
4,027
-39.8
7,071
75.6
13,957
97.4
9,691
-30.6
8,353
-13.8
터보 제트·프로펠러 부품
2,454
-25.7
2,438
-0.6
3,074
26.1
3,515
14.4
4,838
37.6
염화칼륨 비료
2,504
-25.3
4,090
63.3
8,336
103.8
4,845
-41.9
3,609
-25.5
터보제트
(25kN 초과)
695
-11.9
1,545
122.3
2,428
57.1
2,852
17.5
3,418
19.8
면역물품
1,421
24.2
1,399
-1.5
1,766
26.2
2,369
34.1
3,321
40.2
화물차
(5톤미만)
1,645
-39.3
2,488
51.3
2,663
7.0
2,607
-2.1
3,265
25.2
유연탄
1,513
-44.4
2,609
72.4
4,983
91.0
3,630
-27.2
2,809
-22.6
질소비료
1,725
12.8
3,041
76.3
4,460
46.6
2,624
-41.2
2,693
2.6
석유화학용 나프타
1,142
-60.8
3,119
173.1
3,790
21.5
2,650
-30.1
2,625
-0.9
[자료 : Comexstat, 2025.1]
(국가별 수출입 동향)
(주요 수출 대상국) 브라질의 주요 수출 대상국은 중국, 미국, 아르헨티나, 네덜란드, 멕시코, 칠레 등이다. 특히 브라질의 총수출액 중 중국 비중은 2017년부터 매년 20%대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2023년에 대중국 수출이 최초로 1000억 달러를 넘으며 30.7%를 기록했다. 브라질은 중국으로 곡물(대두·옥수수), 광물(철광석·구리·니켈), 펄프, 육류(소고기·닭고기) 등 1차 제품을 대량으로 수출한다. 미-중 경쟁이 지속되면서 중국의 브라질 원자재 의존도는 점점 커지고 있다. 아르헨티나·칠레·멕시코 등 라틴아메리카 역내 국가들은 낮은 관세 덕에 자동차, 기계, 화학 등 소비재·중간재 교역이 활발하다. 브라질과 멕시코는 2019년 '자동차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했으며, 양국 자동차·자동차부품에 적용되는 관세 감면율 및 대상품목이 서서히 확대되고 있다. 아시아 국가 중에는 싱가포르, 일본, 대한민국이 주요 수출 대상국이다. 싱가포르의 경우 2023년 12월 메르코수르와 FTA가 체결돼 교역액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브라질 상위 10개 수출상대국(5개년)>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금액
증감율
(전년대비)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중국
67,788
7.0
87,908
29.7
89,428
1.7
104,325
16.7
94,411
-9.5
미국
21,471
-27.7
31,145
45.1
37,438
20.2
36,915
-1.4
40,330
9.2
아르헨티나
8,789
-13.3
11,878
39.9
15,345
29.2
16,712
8.9
13,778
-17.6
네덜란드
6,705
-6.3
9,316
38.9
11,928
28.0
12,148
1.8
11,764
-3.2
스페인
4,057
0.4
5,433
33.9
9,748
79.4
7,859
-19.4
9,967
26.4
싱가포르
3,671
27.4
5,821
58.6
8,396
44.2
7,459
-11.2
7,902
5.9
멕시코
3,829
-21.8
5,560
45.2
7,051
26.8
8,572
21.6
7,802
-9.0
칠레
3,850
-25.4
7,019
82.3
9,094
29.6
7,945
-12.6
6,658
-16.2
캐나다
4,230
25.1
4,922
16.4
5,397
9.6
5,772
7.0
6,317
9.4
독일
4,124
-12.8
5,043
22.3
6,269
24.3
5,647
-9.9
5,852
3.6
일본
4,127
-24.0
5,540
34.2
6,620
19.5
6,620
0.0
5,578
-15.7
한국
3,762
9.1
5,671
50.7
6,206
9.4
5,641
-9.1
5,508
-2.3
[자료 : Comexstat, 2025.1]
(주요 수입 대상국) 브라질의 주요 수입 대상국으로는 중국, 미국, 독일, 아르헨티나, 러시아 등을 꼽을 수 있다. 수출과 마찬가지로 수입에서도 중국과의 교역이 가장 많다. 2017년 이후 총 수입액 중 중국 비중은 매년 증가했으며 2024년에는 24%로 역대 최대 비중을 기록했다.
<브라질 상위 10개 수입상대국(5개년)>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금액
증감율
(전년대비)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중국
34,778
-3.5
47,651
37.0
60,744
27.5
53,176
-12.5
63,579
19.6
미국
27,876
-19.8
39,385
41.3
51,304
30.3
37,959
-26.0
40,583
6.9
독일
9,369
-13.5
11,346
21.1
12,808
12.9
13,147
2.7
13,732
4.4
아르헨티나
7,897
-25.9
11,949
51.3
13,100
9.6
11,998
-8.4
13,578
13.2
러시아
2,747
-26.1
5,699
107.4
7,853
37.8
10,013
27.5
10,964
9.5
인도
4,167
-8.1
6,728
61.5
8,850
31.5
6,873
-22.3
6,836
-0.5
이탈리아
4,077
-13.0
5,479
34.4
5,569
1.6
5,853
5.1
6,377
8.9
프랑스
4,151
-14.6
4,813
15.9
4,961
3.1
5,505
10.9
6,170
12.1
멕시코
3,862
-24.4
4,561
18.1
5,283
15.8
5,541
4.9
5,761
4.0
일본
4,191
-11.6
5,146
22.8
5,300
3.0
5,129
-3.2
5,429
5.9
한국
4,497
-10.9
5,108
13.6
5,463
6.9
4,827
-11.6
5,153
6.8
[자료 : Comexstat, 2025.1]
대한민국과의 교역 동향
2024년 교역액(수출·수입액 합) 기준 브라질은 대한민국의 23번째 교역국이었다. 대한민국은 브라질에 약 53억 달러를 수출하고 약 73억 달러를 수입하여 무역수지 약 20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2024년 대한민국 주요 교역국 순위(교역액 기준)>
(단위: 백만 달러)
순위
국가명
수출액
수입액
무역수지
교역액
1
중국
133,036
139,868
-6,832
272,904
2
미국
127,786
72,121
55,665
199,907
3
베트남
58,321
28,441
29,880
86,762
4
일본
29,607
47,899
-18,292
77,506
5
대만
33,961
30,222
3,739
64,183
6
호주
15,593
29,956
-14,363
45,549
7
홍콩
35,023
2,256
32,767
37,279
8
사우디아라비아
5,236
31,502
-26,266
36,738
9
독일
9,038
22,301
-13,263
31,339
10
싱가포르
18,216
10,561
7,655
28,777
:
23
브라질
5,255
7,298
-2,043
12,553
[자료 : 한국무역협회, 2025.1]
(대한민국 대브라질 주요 수출품) 2024년 대한민국의 대브라질 수출액은 53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대비 23% 증가한 수치이다. 주요 수출품은 전기기기(HS 85), 보일러·기계류(HS 84), 차량 및 부품(HS 87)이다. 항공기부품은 전년 대비 수출액이 46.4%를 기록하여 10대 수출품 중 가장 큰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이는 한국 방위사업청이 브라질 Embraer사의 수송기를 구입하는 계약에 포함된 절충교역 조건으로 Embraer의 한국 항공기 부품 구매가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대브라질 주요 수출품별 수출액>
(단위: 백만 달러)
품목명
(HS코드)
2020
2021
2022
2023
2024
수출액
증감율
(전년대비)
수출액
증감율
수출액
증감율
수출액
증감율
수출액
증감율
전기기기
(85)
1,339
-17.2
1,326
-1.0
1,306
-1.6
1,201
-8.0
1,679
39.8
보일러·기계류
(84)
550
-20.1
720
30.7
717
-0.3
582
-18.9
742
27.6
차량 및 부품
(87)
522
-42.4
637
22.1
707
10.9
628
-11.1
697
10.9
플라스틱
(39)
313
-15.3
449
43.6
556
23.8
430
-22.8
452
5.1
철강
(72)
180
-3.7
251
38.9
279
11.3
275
-1.5
295
7.6
의료용품
(30)
203
46.3
192
-5.3
244
26.7
206
-15.5
256
24.3
의료용기기 및 부품
(90)
147
-19.7
191
30.2
200
4.6
223
11.5
236
6.1
화학공업생산품
(38)
153
230.3
254
65.9
215
-15.2
179
-16.8
230
28.3
유기화학품
(29)
144
1.4
166
15.4
239
44.2
162
-32.2
190
17.0
항공기부품
(88)
35
31.2
25
-29.5
45
80.5
48
8.5
71
46.4
[자료 : 한국무역협회, 2025.1]
(대한민국 대브라질 주요 수입품) 2024년 대한민국은 브라질로부터 약 73억 달러를 수입했다. 2022년 역사상 최대치인 79억 달러에 비하면 감소한 수치지만 전년 대비 8.9% 증가율을 기록하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이 불안정해진 2020년 이후 수입액이 크게 증가했다. 주요 수입품은 원유, 철광석, 농산물(곡물·사료·육류·채유용 종자·커피·펄프) 등 원자재이다. 2024년 대브라질 수입품 중 특이한 점은 구조용강재가 10위 수입품으로 기록되었는데 이는 브라질 국영 석유기업 Petrobras사가 발주한 FPSO를 한국기업이 건조하며, 선박 일부 모듈을 브라질 기업으로부터 구매하여 이와 같은 통계가 나온 것으로 파악된다.
<대한민국 대브라질 주요 수입품별 수입액>
(단위: 백만 달러)
품목명
(HS코드)
2020
2021
2022
2023
2024
수입액
증감율
(전년대비)
수입액
증감율
(전년대비)
수입액
증감율
(전년대비)
수입액
증감율
(전년대비)
수입액
증감율
(전년대비)
원유
(27)
674
25,820.4
1,678
149.0
2,486
48.2
1,578
-36.5
1,998
26.6
철광석
(26)
996
-17.8
1,675
68.3
1,494
-10.8
1,120
-25.1
1,334
19.1
옥수수
(10)
354
-52.6
436
23.1
697
59.8
1,074
54.3
822
-23.5
대두박
(23)
574
-10.0
721
25.6
743
3.0
623
-16.2
663
6.6
닭고기
(02)
223
-8.6
241
7.9
426
77.0
461
8.0
413
-10.4
합금철
(72)
246
-49.8
346
40.9
403
16.3
283
-29.7
381
34.5
커피
(09)
87
6.8
116
32.5
229
97.4
205
-10.1
263
28.0
대두
(12)
246
349.3
358
45.6
365
1.7
365
0.1
256
-29.9
목재펄프
(47)
188
-3.5
224
19.2
317
41.7
270
-14.7
255
-5.8
구조용강재
(73)
6
-29.7
7
29.9
7
-9.7
5
-31.9
173
3,697.4
2025년 전망
2025년 브라질은 2024년 3% 경제성장률보다는 감소하지만 원만한 2% 중반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브라질 무역협회(AEB)는 2025년 브라질 총 수출을 전년 대비 5.7% 증가한 3588억 달러, 수입은 전년 대비 0.6% 증가한 2658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930억 달러로 전망한다. 수출 측면에서 브라질은 중남미 최대 내수시장과 다른 중남미 국가 진출의 교두보라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수입측면에서 브라질은 대한민국에 농산물, 광물, 에탄올, 육류, 펄프 등 주요 원자재를 공급하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국가다. 실제로 글로벌 공급망 교란 이후 브라질 원자재 수입이 크게 증가해 대브라질 무역수지가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됐으며 그 폭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글로벌 불안정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브라질과의 협력을 강화하려고 하고 있다. 우리 기업들도 브라질과 경쟁국의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브라질과의 협력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자료 : Comexstat, 무역협회, 상파울루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브라질 무역통계 분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년 중남미 경제 및 정치 전망
멕시코 2025-02-17
-
2
2024년 베트남 수출입 동향
베트남 2025-02-17
-
3
K소비재 날개 달고 2024년 대캄보디아 수출 급증
캄보디아 2025-02-17
-
4
인도네시아 무료 영양식사 프로그램(MBG) 시행, 현황과 전망은?
인도네시아 2025-02-17
-
5
말레이시아, 2024년 에너지 효율 및 보전법(EECA) 본격 시행… 기업·산업 전반에 큰 변화
말레이시아 2025-02-17
-
6
2025년 이집트 경제의 향방은
이집트 2025-02-17
-
1
2024년 브라질 인프라산업 정보
브라질 2024-12-18
-
2
2024년 브라질 철강산업 정보
브라질 2024-11-05
-
3
2024년 브라질 자동차산업 정보
브라질 2024-09-27
-
4
2021년 브라질 화장품 산업 정보
브라질 2022-01-10
-
5
2021년 브라질 광물 산업 정보
브라질 2022-01-10
-
6
2021년 브라질 자동차 산업 정보
브라질 202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