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코트디부아르 교역 현황
- 경제·무역
- 코트디부아르
- 아비장무역관 윤하림
- 2024-04-16
- 출처 : KOTRA
-
2023년 코트디부아르의 총 교역액은 392억 달러로 2022년 대비 14.16% 증가
최대 수출국은 말리(총 수출의 14.77%), 최대 수입국은 중국(총 수입의 14.81%)으로 나타나
2023년 한-코트디부아르 교역액은 224백만 달러, 전년 대비 19.14% 증가
2023년 코트디부아르의 교역 개요
2023년 코트디부아르 충 교역은 392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16%로 증가했다. 코트디부아르 세관 자료에 따르면, 코트디부아르의 교역 증가의 주된 요인은 코코아 및 파생 제품, 석유 제품, 금광석, 천연고무 등 주요 수출품에 힘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대표 수출 품목들은 코트디부아르 전체 수출액의 84.37%를 차지했다.
특히, Global Trade Atlas 통계에 따르면 코트디부아르의 무역수지는 2023년 13.8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2022년 15.1억 달러의 적자 기록 대비 크게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코트디부아르 3개년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21
2022
2023
증감률
(2023/2022)
교역액
293,382
343,794
392,480
14.16
수출
153,322
164,337
202,642
23.31
수입
140,060
179,457
188,838
5.23
무역수지
13,262
-15,120
13,804
191.30
[자료: Global Trade Atlas]
수출 현황
2023년 코트디부아르 총 수출액은 202.6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31%로 증가했다. 수출 증가의 주요 원동력은 코코아 빈 및 파생 제품, 석유 제품, 금광석, 천연고무였으며, 상기 품목들은 전체 수출액의 84.37%인 160억 달러를 차지했다. 한편, 팜유와 그 분획물* 및 면류의 수출액은 크게 감소했으나 석유와 역청유, 금, 코코넛, 캐슈넛, 선박과 수상 구조물의 경우 상승세를 기록했다.
*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분획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결과물
<코트디부아르 3개년 상위 10개 주요 수출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HS코드
(2단위)
품목명
2021
2022
2023
증감률
(2023/2022)
1
18
코코아 및 그 제품
5,961
5,034
5,800
15.21
2
27
광물성연료, 에너지
1,718
3,000
4,641
54.70
3
71
귀금속
1,710
1,913
2,354
23.05
4
40
고무와 그 제품
1,533
1,856
2,053
10.62
5
08
식용의 과실과 견과류 등
1,349
1,224
1,664
35.97
6
89
선박과 수상 구조물
315
361
1,010
179.53
7
15
지방 및 기름 등
394
565
337
-40.36
8
33
정유, 화장품·화장용품
261
263
286
8.80
9
52
면
454
404
223
-44.60
10
39
플라스틱
149
169
175
4.09
[자료: Global Trade Atlas]2023년 코트디부아르의 최대 수출국은 말리였으며, 수출금액은 2,993백만 달러에 달했다. 말리는 코트디부아르 2023년 총수출의 14.77%를 자치했으며 전년 대비 107.46%의 큰 증가폭을 보여주었다. 네덜란드와 스위스는 각각 2,108 백만 달러, 1,947 백만 달러로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코트디부아르 3개년 상위 10개 주요 수출국>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21
2022
2023
증감률
(2023/2022)
1
말리
874
1,443
2,993
107.46
2
네덜란드
1,322
1,439
2,108
46.51
3
스위스
832
1,312
1,947
48.46
4
부르키나파소
601
847
1,146
35.17
5
베트남
926
565
915
62.01
6
말레이시아
799
723
913
26.26
7
중국
552
684
775
13.32
8
미국
1,241
887
767
-13.51
9
프랑스
764
744
672
-9.74
10
독일
556
577
649
12.42
[자료: Global Trade Atlas]
수입 현황
2023년 코트디부아르 총 수입액은 188.8억 달러로 전년 대비 5.23%의 소폭 증가했다. 코트디부아르 세관에 따르면, 수입 품목으로는 주로 원유, 석유제품, 기계 장치, 철, 쌀 등이 있으며, 코트디부아르 총 수입의 41.3%를 차지했다. 선박과 수상 구조물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66.74%의 대폭 상승세를 기록했으나 곡물, 플라스틱의 수입은 각각 13.93%, 10.13%로 감소했다.
<코트디부아르 3개년 상위 10개 주요 수입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HS코드
(2단위)
품목명
2021
2022
2023
증감률
(2023/2022)
1
27
광물성연료, 광물유
2,414
4,820
4,840
0.40
2
84
기계류 및 그 제품 등
1,270
1,473
1,573
6.79
3
89
선박과 수상 구조물
280
889
1,483
66.74
4
87
차량 및 그 부분품 · 부속품
1,135
1,085
1,211
11.67
5
10
곡물
1,014
1,166
1,003
-13.93
6
85
전기기기와 그 부분품 등
702
815
855
4.81
7
03
어류, 갑각류, 연체동물 등
748
739
839
13.48
8
39
플라스틱
659
782
702
-10.13
9
73
철강의 제품
326
515
569
10.48
10
30
의료용품
505
498
477
-4.22
[자료: Global Trade Atlas]중국은 27.9억 달러의 수입규모로 코트디부아르의 최대 수입국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2위는 나이지리아(26.3억 달러), 3위는 프랑스(12억 달러)로 나타났다. 한편, 프랑스, 벨기에, 미국에서의 수입액이 감소했으나 크로아티아, 러시아 및 모로코 경우 대폭 상승세를 기록했다.
<코트디부아르 3개년 상위 10개 주요 수입국>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2021
2022
2023
증감률
(2023/2022)
1
중국
2,157
2,578
2,797
8.51
2
나이지리아
1,258
2,170
2,636
21.48
3
프랑스
1,313
1,207
1,052
-12.84
4
인도
856
930
980
5.45
5
미국
673
840
781
-7.08
6
벨기에
485
817
646
-21.02
7
독일
427
371
579
55.89
8
크로아티아
5
7.8
564
7,074.58
9
러시아
225
281
498
77.05
10
모로코
325
288
425
47.18
[자료: Global Trade Atlas]
한국과의 교역 동향
2023년 한-코트디부아르 교역액은 전년 대비 19.14% 증가한 224백만 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대코트디부아르 수출이 27.1% 증가에 따른 결과로, 수출액은 217백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대코트디부아르 수입은 62.4% 감소한 7백만 달러로 나타났다.
<한-코트디부아르 3개년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21
2022
2023
증감률
(2023/2022)
교역액
198
188
224
19.14
수출
183
170
217
27.10
수입
15
18
7
-62.40
무역수지
167
152
210
38.15
[자료: Global Trade Atlas]
한국의 대코트디부아르 수출 상위 10개 품목 중 기타건설중장비, 기타 어류, 고밀도에틸렌 및 어망은 대폭 성장세를 기록했으나 의약품, 기타화물자동차, 불꽃점화식 1,500시시 초과의 수출액은 감소하였다.
<한국의 대코트디부아르 수출 상위 10개 품목 >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MTI코드
(6단위)
품목명
2022년
수출금액
2023년(12월 기준)
수출금액
증감률
(2023/2022)
총계
170
217
27.1
1
725190
기타건설중장비
33
49
49.9
2
041900
기타어류
10
36
266.1
3
228900
기타정밀화학원료
26
27
2.3
4
214002
고밀도에틸렌
6
21
240.6
5
214004
폴리프로필렌
21
19
-7.4
6
741160
불꽃점화식 1,500시시초과
12
10
-15.9
7
226200
의약품
8
6
-18.4
8
741290
기타화물자동차
7
4
-33.8
9
449006
어망
0
4
654.0
10
511610
표면활성제
3
4
16.9
[자료: 한국무역협회 ]
한국의 대코트디부아르 수입 품목으로는 동스크랩, 알루미늄스크랩, 기타식물성재료, 식물성액즙 천연고무 등이 있으며, 알루미늄스크랩, 기체펌프, 천연고무는 수입이 대폭 상승했다. 한편, 동스크랩, 기타식물성재료, 식물성액즙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하락세를 기록했다.
<한국의 대코트디부아르 수입 상위 10개 품목 >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MTI코드
(6단위)
품목명
2022년
수입금액
2023년(12월 기준)
수입금액
증감률
(2023/2022)
총계
18
7
-62.4
1
622130
동스크랩
7
4
-46.1
2
621120
알루미늄스크랩
1
2
85.8
3
014900
기타식물성재료
0
0
-42.4
4
013400
식물성액즙
0
0
-91.6
5
511310
직물제가방
0
0
0.0
6
033200
천연고무
0
0
30,779.1
7
921000
그림
0
0
0
8
711220
기체펌프
0
0
42.3
9
711130
불꽃점화식 내연기관
0
0
0
10
711230
펌프부품
0
0
0
[자료: 한국무역협회 ]
시사점
코트디부아르는 2022년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였으나, 2023년 다시 흑자로 전환했다. 코코아, 석유제품, 귀금속, 고무 등이 여전히 코트디부아르의 주요 수출품목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들은 2024년 코코아 생산량 감소 예상에도 불구하고 석유 및 가스 유전을 발굴하고 금 생산량이 증가한 덕분에 코트디부아르의 무역수지 흑자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한국의 대코트디부아르 수입은 대폭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코트디부아르 수출은 27.1%의 증가세를 기록하여 한국의 대코트디부아르 교역액은 전년 대비 19.14%로 상승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코트디부아르 기업들의 무역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2023년 한국의 대코트디부아르 교역액도 대폭 상승함에 따라 한-코트디부아르 교역활동은 점진적으로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코트디부아르 세관, 코트디부아르 통계청, economie-ivoirienne.ci, 한국무역협회, Jeune Afrique 및 코트라 아비장 무역관 자료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3년 코트디부아르 교역 현황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민주주의 재도약이 기대되는 2024년 남아공 총선
남아프리카공화국 2024-04-15
-
2
2024년 크로아티아 국회의원 선거 전망 및 주요 경제 동향
크로아티아 2024-04-16
-
3
일본 해상풍력 발전 시장의 현주소
일본 2024-04-16
-
4
2024년 페루 APEC 개최
페루 2024-04-16
-
5
일본 자율주행 상용화, 어디까지 왔을까?
일본 2024-04-16
-
6
일본 내 사이버 보안 관련 수요 증가
일본 2024-04-16
-
1
2024년 코트디부아르 산업 개관
코트디부아르 2024-08-07
-
2
코트디부아르 기타 산업_제조업 동향
코트디부아르 2021-06-01
-
3
코트디부아르 금융 산업동향
코트디부아르 2021-06-01
-
4
코트디부아르 농업 등 1차 산업동향
코트디부아르 2021-05-31
-
5
코트디부아르 소매유통산업 정보
코트디부아르 2021-05-28
-
6
코트디부아르 신재생에너지산업 현황 및 시사점
코트디부아르 2020-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