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상반기 한국-캄보디아 수출입 동향
- 경제·무역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오승준
- 2023-08-29
- 출처 : KOTRA
-
2023년 상반기 전년대비 對캄보디아 수출 0.8% 증가, 수입 22.9%감소
한국의 주요 수출품은 소비재 및 원부자재, 수입품은 완성품 등 최종재
캄보디아 경제 현황
캄보디아의 실질 경제성장률이 2022년 5.2%를 기록하며 제조업 수출과 서비스 및 농업분야의 성장에 힘입어 확고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새로 비준된 무역 협정에 따른 역내 시장 접근성 향상으로 경제 회복이 가속화되어 2023년 경제성장률은 5.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 : 2023년 상반기 캄보디아 수출 11,464 백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0.8% 증가
다만, 최근 글로벌 및 주요 교역 상대국의 수요 둔화가 장기화될 경우 OEM 위주의 캄보디아 제조업이 약화되고 캄보디아 내부 수요 역시 둔화될 우려가 있으며, 글로벌 금융 긴축이 지속되면 레버리지가 높은 금융 부문이 위험에 노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1-2023년 캄보디아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수출
수입
수출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2021년
19,296
5.2
28,687
50.2
2022년
22,483
16.4
29,942
4.3
2023년(1~6월)
11,464
0.8
12,229
-22.9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
한국-캄보디아 상반기 수출입 개요
한국은 캄보디아의 주요 교역국으로 한국의 對캄보디아 수출입 모두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고, 2023년 상반기 기준 수출은 15위, 수입은 9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총선에 따른 소비시장의 관망세로 캄보디아의 수입 수요가 감소하고,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의류·가방 등 봉제품의 주문이 감소하여 한국의 對캄보디아 주요 수출품인 편직물과 면직물 등 원부자재의 수요가 감소하면서 2023년 상반기 기준 수출이 16.1% 감소했다.
<2021-2023년 한국의 對캄보디아 교역 동향>
(단위: 천 달러, %)
구분
수출
수입
무역수지
수출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2021년
623,848
10.0
341,516
7.4
282,332
2022년
641,675
2.9
408,879
19.7
232,796
2023년(1~6월)
303,395
-16.1
257,060
32.9
46,335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한국의 對캄보디아 품목별 수출입 분석
[수출]
2023년 상반기 기준 음료, 편직물, 기타가죽, 승용차, 화장품, 화물자동차, 기타 섬유제품, 전선, 의약품, 기타 의직물이 한국의 對캄보디아 10대 수출 품목이며, 對캄보디아 전체 수출의 약 66.1%를 차지한다. 주요 10대 품목 중 승용차(3.9%), 화장품(59.2%), 전선(111.4%) 등 5개 품목의 수출이 전년 동기대비 증가했다. 승용차의 경우 경제성장과 도로환경이 개선으로 캄보디아의 승용차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반도체 수급 문제가 해결되면서 한국 신차 수출이 증가했다. 화장품은 최근 캄보디아의 사회활동 여성층이 활발해지면서 화장품 수요가 증가하는 와중에 한국산 화장품의 가격대비 고품질, 다양성 등 장점이 널리 알려지며 수출이 증가했다. 더불어 펜데믹 이후 IT 분야 산업이 발달하고, 프로젝트 재개 및 ODA 등 우리기업의 수주가 확대됨에 따라 전력선과 통신케이블 대규모 납품이 증가하면서 전선품목의 수출이 급증했다.
한편, 對캄보디아 주요 수출품이었던 편직물(-26.2%), 기타가죽(-16.7%), 기타의직물(-21.8%) 등 원부자재의 경우 글로벌 수요 둔화에 따라 글로벌 봉제기업의 주문이 감소하면서 2023년 상반기 전년대비 수출 실적이 급감했다. 2022년 하반기부터 계속 감소한 캄보디아의 봉제품 수출실적과
한국의 對캄보디아 봉제품 원부자재 수출이 전체 수출의 약 29.2% 차지하는 것을 감안했을 때, 한국의 對캄보디아 수출품의 다변화 노력이 필요하다.
<2023년 상반기 한국의 對캄보디아 20대 수출 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품목
수출액
증감률
순위
품목
수출액
증감률
1
음료
29,391
-31.7
11
평판디스플레이
6,820
87.2
2
편직물
29,270
-26.2
12
제어용케이블
6,521
473.4
3
기타가죽
28,655
-16.7
13
낙농품
4,926
25.6
4
승용차
27,042
3.9
14
폴리에스터직물
4,668
27.7
5
화장품
21,914
59.2
15
기타플라스틱제품
3,932
-12.4
6
화물자동차
17,450
-3.9
16
자동차부품
3,749
-39.2
7
기타섬유제품
12,590
31.2
17
연결부품
2,777
29.2
8
전선
12,075
111.4
18
나일론직물
2,731
-34.4
9
의약품
11,467
22.1
19
신발
2,646
-18.3
10
기타의직물
10,608
-21.8
20
문구
2,310
36.3
[주: 특이치(변압기) 제외]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수입]
2023년 상반기 기준 편직제의류, 신발, 제어용케이블, 직물제의류, 천연고무, 가방, 자전거,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의류 악세서리, 취미 오락기구가 한국의 10대 수입 품목이며, 對캄보디아 전체 수입의 약 94.4%를 차지한다. 주요 10대 품목 중 제어용케이블(+56.8%), 자전거(+137.1%) 등 7개 품목의 수입이 증가한 반면, 직물제의류(-8.6%), 가방(-5.3%) 등 3개 품목의 수입은 감소했다. 제어용케이블의 경우 와이어링하네스를 캄보디아에서 제조하여 한국에서 수입하는 실적이 주요한데, 최근 우리기업인 유라코퍼레이션이 캄보디아로 진출하여 설립한 유라하네스의 신규 와이어링하네스 제조공장이 가동하면서 한국의 수입실적이 증가했다. 캄보디아산 자전거의 경우 EU 시장이 가장 큰 구매처였지만, 최근 캄보디아의 다자·양자 무역협정 체결 등 수출국 다변화 노력과 함께 한국에서 여가활동으로 자전거 수요가 증가하면서 한국에서의 對캄보디아 자전거 수입이 급증했다.
<2023년 상반기 한국의 對캄보디아 20대 수입 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품목
수입액
증감률
순위
품목
수입액
증감률
1
편직제의류
88,753
52.8
11
변성기
1,926
77.1
2
신발
43,095
32.3
12
우산 및 양산
1,798
58.1
3
제어용케이블
39,100
56.8
13
펌프
1,613
61.3
4
직물제의류
29,607
-8.6
14
기타의료위생용품
1,380
113.4
5
천연고무
13,589
45.8
15
분석시험기
1,205
372.0
6
가방
11,006
-5.3
16
기타플라스틱제품
827
-0.3
7
자전거
7,243
137.1
17
전동기
798
-26.3
8
알루미늄괴및스크랩
5,721
-15.7
18
과실류
478
-26.7
9
의류 악세서리
2,278
42.3
19
위생용품
432
22.8
10
취미오락기구
2,163
27.4
20
전원장치
374
-15.3
[주: 특이치(기타산동물) 제외]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시사점
캄보디아는 도로, 공항, 항만 등의 인프라 개선, 총선 종료에 따른 내수시장 활성화, 정부의 대외 무역협정 체결 노력 등으로 약 5~6%의 높은 경제성장률이 전망되는 국가이다. 지리적 위치도 동남아시아 소재 여러 국가와의 접근도 용이하여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테스트베드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은 캄보디아의 주요 교역 및 투자국이며 한국에 대한 캄보디아의 신뢰와 선호가 높은 상황으로 캄보디아 진출에 유리하고, 향후 양국간 교역이 더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단, 캄보디아의 산업 트렌드가 점차 변화하고 있어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춰 교역품목의 고부가가치화가 요구된다. 한국-캄보디아 주요 수출품은 소비재 및 원부자재이며, 수입품은 의류, 신발, 자전거 등의 최종 소비재로 저부가가치 품목을 기준으로 한국-캄보디아 간 교역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캄보디아의 주요 산업인 봉제업의 글로벌 수요 둔화로 2022년 하반기부터 수출실적이 감소하고, 캄보디아 정부의 수출품목 다변화 노력으로 봉제품 무역의존도가 낮아지고 있다. 최근 저임금 노동집약형 제조업에서 고부가가치 제조업 육성을 추진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와 인센티브를 마련하는 정부의 기조를 토대로 소비재 및 원부자재 등 한국의 주요 교역품목도 고부가가치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료: 세계은행, 캄보디아 관세청, 한국무역협회 수출입통계, 프놈펜무역관 자료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3년 상반기 한국-캄보디아 수출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캄보디아 신정부 출범 및 내각 구성 동향
캄보디아 2023-08-29
-
2
2022년 캄보디아 대외교역 동향 및 한-캄 교역 분석
캄보디아 2023-02-06
-
3
2023년 캄보디아 경제 동향 및 2024년 전망
캄보디아 2024-03-04
-
4
포스트코로나 캄보디아 경제 회복 중간 성적은?
캄보디아 2023-06-05
-
5
2023 캄보디아 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
캄보디아 2023-02-06
-
6
캄보디아 최신 투자 동향
캄보디아 2023-10-23
-
1
2024 캄보디아 제조업 정보
캄보디아 2024-09-11
-
2
2021년 캄보디아 농업 정보
캄보디아 2021-12-27
-
3
2021년 캄보디아 건설 산업 정보
캄보디아 2021-12-27
-
4
2021년 캄보디아 산업 개관
캄보디아 2021-12-15
-
5
2021년 캄보디아 금융산업 정보
캄보디아 2021-10-18
-
6
2021년 캄보디아 관광산업 정보
캄보디아 2021-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