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공급망에서 멀어지는 이집트 천연가스
- 트렌드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문숙미
- 2024-12-27
- 출처 : KOTRA
-
2018년 이후 천연가스 수입국으로 글로벌 공급망 진입
2023년 국내 소비가 생산량을 초과하며 수출량 급감
HS Code : 2709 (석유와 역청유(원유)), 2710 (경질유, 석유, 역청유), 2711 (석유가스, 탄화수소)
’23년 전세계 14위 천연가스 생산국으로 기록되고 있다. 이집트는 ’18년 9월까지 천연가스 순 수입국에서 ’15년 이집트 북부 지중해 연안에서 조흐르(Zohr) 가스전이 발견되면서 수출국으로 전환되면서 글로벌 공급망에 진입했다. 특히 ’22년 이후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에서 천연가스 공급에 어려움을 겪는 유럽으로의 수출을 확대하였다. 조흐르는 지중해에서 가장 큰 가스전 중 하나로, 이집트 국내 에너지 수급 안정은 물론 수출에도 기여하면서 이집트 경제에 버팀목이 되어왔다.
<’23년 국별 천연가스 생산량>
(단위 : 억 입방미터)
[자료: Statista]
최근에는 이집트의 천연가스 생산량 감소 및 국내 수요 증가로 수출량이 줄어들면서 글로벌 공급망에서 입지 변화가 생기고 있다. 이집트의 천연가스 생산량은 꾸준히 다소의 등락은 있었으나 ’21년까지 증가세를 보여왔다. ’21년 67.8억 입방미터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조호로 가스전에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면서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다. 가스전에 물이 유입되는 현상은 노후화된 수명이 다한 가스전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11~’23년 이집트의 천연가스 생산량>
(단위 : 억 입방미터)
[자료: Statista]
이집트의 천연가스 수요 변화
이와 더불어 이집트의 가스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다. Statista에 따르면, 이집트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23년에 600억 입방미터에 도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22년의 606억 입방미터에서 감소한 수치이다. 전반적으로, 국가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11년에 비해 증가했으며, ’13년~’15년, ’19년~’20년 사이에 감소했다. ’15년~’18년 사이에 이집트는 생산량보다 더 많은 천연가스를 소비했다. 반대로, ’21년부터 추세가 뒤바뀌어 이집트는 국제 시장에 초과분을 수출하였으나 ’23년에는 소비량이 생산량 초과하기 시작했다.
<’11-’23년 이집트의 천연가스 소비량>
[자료: Statista]
이집트의 전력시장에 있어 천연가스는 비중은 막중하다. 이집트 전력 지주회사의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천연가스 비중은 총 연료의 98.2%를 차지하며, 이집트의 전력 피크 부하량이 ’13/14년의 26,140메가와트에서 ’22/23년 34,200 메가와트로 약 30.8%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산업발전 및 인구증가로 천연가스 소비가 증가한 데 기인한다. 특히 ’23~’24년은 여름철 이상 기온으로 인한 극심한 무더위로 인해 전력 수요가 급증했다. 정부는 수출물량 유지하기 위해 국내 순환 단전을 시행했다가 국민들의 극심한 불만에 직면하면서 ’23.7월 국내 수요 충족을 우선으로 하고 천연가스 수출을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더해 이집트는 이스라엘에서 가스 수입을 늘리고, 동시에 미국 및 외국 기업들과 장기 LNG 구매 계약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집트의 총 에너지 중 천연가스 비중>
[자료: 이집트 전력 지주회사]
천연가스 수출 동향
이집트 천연가스 수출은 생산량에 감소에 비해 더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22년 천연가스 수출량은 101억 달러로 수출 순위 1위 품목이며 총 수출의 19.4%를 차지했다. ’23년 27억 달러로 급감하며 6.5%를 기록했다가 ’24년에는 수출 순위 14위로 급락하며 그 비중이 1.3%로 감소했다. 이외 경질류 및 역청유(2710) 및 원유(2709)도 수출액이 감소하고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21~2024년 이집트의 전세계 수출 현황>
(억 달러, %, %)
No.
HS CODE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1~3월
수출액
성장률
점유율
수출액
성장률
점유율
수출액
성장률
점유율
수출액
성장률
점유율
-
-
합계
436
48.8
100.0
521
19.5
100.0
421
-19.3
100.0
250
0.1
100.0
1
7108
금
11
-62.6
2.6
16
46.0
3.1
18
12.6
4.3
15
118.2
6.1
2
2710
경질유, 석유, 역청유
63
50.2
14.5
51
-19.0
9.8
18
-64.1
4.4
15
36.2
6.0
3
0805
감귤류
9
7.2
2.0
9
0.9
1.7
10
12.9
2.4
10
17.6
4.0
4
3102
질소비료(광물성 및 화학비료)
17
44.5
3.8
28
65.0
5.3
19
-32.5
4.4
9
-26.5
3.5
5
8544
절연, 전선·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8
47.0
1.8
10
25.3
1.9
12
19.8
2.8
8
32.9
3.2
6
2709
석유와 역청유(원유)
32
168.3
7.3
32
0.4
6.1
26
-20.3
6.1
7
-43.7
2.7
7
8528
모니터와 프로젝터 등
11
51.1
2.5
9
-14.7
1.8
8
-16.8
1.8
5
20.6
2.1
8
7408
구리선
4
188.5
0.9
4
10.2
0.8
7
51.8
1.6
5
41.6
2.1
9
2523
시멘트·알루미나,
시멘트·슬래그,
시멘트·슈퍼설페이트
5
151.3
1.0
7
48.5
1.3
8
14.1
1.8
5
0.6
2.1
10
7208
철이나 평판압연제품
11
206.9
2.4
6
-41.7
1.2
10
65.8
2.4
4
-26.2
1.8
14
2711
석유가스, 탄화수소
40
710.7
9.2
101
151.4
19.4
27
-73.0
6.5
3
-86.0
1.3
* 2024년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수치임.
[자료: IHS Markit]
국가별로도 ’23년 수출은 ’22년 대비 73.9% 감소하였고, ’24년 1~7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87.6%를 기록하며 급감하고 있다. 이집트의 대한국 수출은 ’22년에 8억 4800만 달러로 수출국 순위 2위를 기록했다가 ’23년에 2억 8200만 달러를 기록하며 급감했고, ’24년 1~7월 기준으로는 1백만 달러 이하를 기록하고 있다.
<이집트의 국가별 액화천연가스(HSCODE 271111) 수출 동향>
(백만 달러, %, %)
No.
국가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1~7월
수출액
성장률
점유율
수출액
성장률
점유율
수출액
성장률
점유율
수출액
성장률
점유율
총액
3,876
786.0
100.0
9,861
154.4
100.0
2,574
-73.9
100.0
287
-87.6
00.0
1
요르단
98
38.7
2.5
130
32.3
1.3
81
-37.9
3.1
69
45.1
23.9
2
영국
0
-100.0
0.0
353
-
3.6
118
-66.4
4.6
60
-41.7
20.8
3
터키
873
5335.0
22.5
1,668
91.1
16.9
824
-50.6
32.0
46
-94.2
16.0
4
미국
0
-
0.0
0
-
0.0
0
-
0.0
34
-
11.9
5
프랑스
314
-
8.1
616
96.3
6.2
52
-91.5
2.0
34
-35.9
11.7
6
이탈리아
408
-
10.5
282
-30.9
2.9
137
-51.5
5.3
25
-79.3
8.7
7
폴란드
0
-
0.0
52
-
0.5
0
-100.0
0.0
20
-
6.9
21
대한민국
48
1.2
848
1673.9
8.6
282
-66.8
10.9
0
-100.0
0.0
이집트의 원유•천연가스 주요 기업 및 추진 현황
천연가스 생산량은 ’16년부터 증가했는데, 이는 ’17년 Eni(이탈리아)가 조호르(Zohr)에, ’18년 BP(영국)가 West Nile Delta(WND)에 신규 가스전을 개발한 덕분이다. 생산량은 ’21년 678억 입방미터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23년에는 571억 입방미터로 급락했다.
Eni(이탈리아)는 ’20년 후반에 조호르(Zohr)의 생산량을 일일 32억 입방피트까지 신속히 늘렸지만, ’24.6월 가스전에 물이 유입되면서 주력 가스전의 생산량이 일일 18억 5천만 입방미터로 급감했다. Eni는 ’24.7월에 생산량 감소에 대처하기 위해 ’25년 하반기에 해당 가스전에서 두 개의 신규 가스정을 시추할 것이라고 밝혔다.
’21년 4월 BP(영국)는 West Nile Delta(WN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일일 8억 입방피트 규모의 ‘레이븐(Raven)’ 가스전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두 개의 해상광구(offshore block)에서 5조 입방피트를 개발하여 일일 총 14억 입방피트 생산을 목표로 한다. 이 프로젝트에 포함된 다른 가스전은 급격한 생산량 감소를 겪었지만 레이븐(’24.10월 기준)은 일일 약 4억 5천만 입방피트로 생산하고 있다.
’23.5월 정부는 BP(영국)와 2개의 추가 시추(infill drilling)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는 ’25년에 생산량을 일일 2억 입방피트로 늘릴 예정이다. ’22.12월, Chevron(미국)과 Eni(이탈리아)는 지중해 동부의 나르기스(Nargis) 해양 채굴권 지역에서 3.5조 입방피트(조흐르 이후 가장 큰 발견) 규모의 가스전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집트에는 지중해 연안에 있는 Damietta(Eni 소유)와 Idku (Shell 소유, 영국/네덜란드)에 두 개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터미널이 있다. 터미널에서의 수출(주로 EU 국가로)은 ’22년 730만 톤(높은 가격으로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특별 조치가 취해졌을 때)에서 ’23년에는 350만 톤으로 급감했으며, 이는 높은 국내 수요와 이스라엘 가스 수입의 잠시 중단 때문이다. 그런 다음 ’24.5월에 현지 시장을 우선으로 하여 중단되었으며, 재개 시점은 불확실하다. ’24.9월에 정부는 10월~12월까지 20개의 LNG 카고(Cargo)를 수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집트 석유•천연가스 프로젝트 추진 내역
정부는 조호르(Zohr) 가스전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과 이집트의 생산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강화된 관리 방안 및 새로운 유전 발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석유 및 광물 자원부 장관인 카림 바다위(Karim Badawi)에 따르면, 이집트는 석유 및 가스 탐사와 생산이 가속화되고 있다. 올해 11.17일 제49회 국가 석유의 날 기념식에서 바다위 장관은 이 성장을 투자 유치를 위한 이 부문의 인센티브 패키지 덕분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젝트 전문지인 Meed에 따르면, 석유• 가스 분야에서 현재 약 21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28개 프로젝트가 예정되어 있다.
<현재 추진 중인 상위 10개 석유•천연가스 프로젝트>
No.
프로젝트명
발주처
예산(안)
(백만 달러)
수주 연도
완료 연도
1
[ASORC] Assuit Oil Refinery Upgrade
Egypt’s Assiut Oil Refining Company
5,000
2015
2027
2
[ASORC] Assuit Oil Refinery Upgrade: Hydrocracking Complex
Egypt’s Assiut Oil Refining Company
2,000
2020
2025
3
[GASCO] EGAS Energy Efficiency Project
Egyptian Natural Gas Co
905
2019
2025
4
[Agiba/EGPC] Natural Gas Processing Plant in Western Desert
Egyptian General Petroleum Corp, AGIBA
560
2022
2025
5
[WEBP] West El-Brulus Offshore Gas Concession
West el Burullus Petroleum Co
498
2023
2026
6
[ASORC] Assuit Oil Refinery Upgrade: Atmospheric Distillation Unit
Egypt’s Assiut Oil Refining Company
382
2023
2025
7
[Burullus] West Deep Delta Concession Development Phase 10
Burullus Gas Company
340
2023
2025
8
[Ministry of Petroleum] Al-Hamra Petroleum Port Expansion
Ministry of Petroleum, Egypt
320
2022
2026
9
[GASCO] EGAS Energy Efficiency Project: Lot 1
Egyptian Natural Gas Co
300
2019
2025
10
[GASCO] Western Desert Gas Complex: Train D
Egyptian Natural Gas Co
295
2020
2025
[자료: Meed Projects, '24.12.2일 기준]
<향후 추진 예정 중인 상위 10개 석유•천연가스 프로젝트>
No.
프로젝트명
발주처
예산(안) (백만 달러)
수주 연도
완료 연도
진행 단계
1
[RSNRP] Crude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Complex in Ain Sokhna
Red Sea National Refining & Petrochemical Company
7,500
2025
2028
FEED
2
[Ajlan & Bros] Egypt Center for Petroleum and Petroleum Products Storage
Ajlan & Bros Company
3,000
2025
2028
Study
3
[SOPC] Coking & Diesel Complex in Suez Refinery
Suez Oil Processing Company
1,770
2025
2027
FEED
4
[Egypt Ministry of Petroleum] Tanin, Merit, Aten, Tarsa, and Salmon Gas Fields
Ministry of Petroleum, Egypt
1,620
2025
2028
Study
5
[AMOC] Mazut Refining and Distillation Complex
Alexandria Mineral Oil Company (Amoc)
1,500
2025
2028
Study
6
[ENI] Meleiha Field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Plant
ENI
1,275
2025
2028
Study
7
[Shell, Energean] Carbon Capture and Storage Project
Royal Dutch Shell, Energean Oil & Gas
1,000
2026
2028
Study
8
[EGAS] Cyprus Gas Pipeline
Egyptian Natural Gas Holding Company
1,000
2025
2027
입찰 평가
9
[Ministry Of Transport & Ministry of Petroleum & Mineral Wealth] Marine Facilities Station For Liquid & Gaseous bulk
Ministry of Petroleum, Egypt, Ministry Of Transport, Egypt
750
2026
2028
Study
10
[EGAS] Cyprus Gas Pipeline: Subsea Package
Egyptian Natural Gas Holding Company
500
2024
2027
입찰 평가
[자료: Meed Projects, '24.12.2일 기준]
시사점
이집트는 ’18년부터 ’22년까지 수출액을 늘려오다가 ’23년 이후 수출 감축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천연가스 글로벌 공급망에서 이집트의 입지가 축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3년 이후 한국으로의 수출도 급감하고 있다. 최근 이집트 정부에서는 해외기업들과 협력하여 지중해 등에서 신규 유전개발을 통한 생산량 확대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국내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글로벌 공급망으로의 재진입 여부는 불투명하다.
반면 다양한 민간 글로벌 기업들의 다양한 광구 개발 프로젝트가 예정되어 있어 한국 기업들은 현지 경험이 많은 파트너사와 협력한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한국석유공사가 지주회사인 다나페르톨리움의 자회사가 이집트에서 광구 개발하고 생산하고 있다.
출처 : Statista, Meed, IHK Markit, 이집트 전력청, 언론기사(Reuters, Ahram, Zawya)그 외 KOTRA 카이로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글로벌 공급망에서 멀어지는 이집트 천연가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인도 석유 공급망의 이해, 정부 수출 활성화 전략을 통해
인도 2025-01-07
-
2
셀럽 뷰티·젠지 공략…최신 미국 뷰티 트렌드
미국 2025-02-17
-
3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본 캐나다 구리 광석 산업 공급망의 미래
캐나다 2024-12-27
-
4
맥주의 성지 벨기에에서 무알코올이 인기?
벨기에 2025-02-05
-
5
반려동물도 ‘패밀리’가 된다! 호주 펫시장의 최신 트렌드
호주 2025-01-06
-
6
수입 의존도가 높은 몽골 기저귀 시장, 경쟁 속 기회
몽골 2025-02-19
-
1
2024년 이집트 자동차 산업 정보
이집트 2024-11-04
-
2
2024년 이집트 가전산업 정보
이집트 2024-10-14
-
3
2021 이집트 ICT 산업 정보
이집트 2022-01-21
-
4
2021년 이집트 자동차산업 정보
이집트 2022-01-20
-
5
이집트 프로젝트 산업 현황
이집트 2022-01-19
-
6
2021 이집트 철강산업 정보
이집트 202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