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캄보디아의 천연고무 산업 현황
  • 트렌드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오승준
  • 2024-11-20
  • 출처 : KOTRA

캄보디아 천연고무 시장, 꾸준한 수입수요 및 타이어 제조 증가로 지속 성장 전망

천연고무, 스모크드 시트 등 한국의 원자재 공급망 안정성에 주요

HS Code : 4001 (천연고무), 4001.21 (스모크드 시트)


보디아의 주요 생산품 : 천연고무

캄보디아에서 농업은 2023년 기준 캄보디아 GDP의 22.1%를 차지하고, 총 고용의 38.9%를 창출하는 등 경제의 주요 부문으로 자리잡고 있다. 1990년대부터 정부는 전통적인 자급형 농업에서 상업용 농업으로의 전환을 위해 심혈을 기울였고, 농업의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 냈다. 이 과정에서 쌀이 주요 농산품으로 부상했다. 쌀의 생산량은 2014년 932만 톤에서 2022년 1,162만 톤으로 지속 증가했고, 동 기간 쌀의 잉여 생산량 역시 470만 톤에서 679만 톤으로 증가했다.


한편, 쌀과 함께 캄보디아의 주요 농산품으로 천연고무가 급부상했다. 천연고무 산업은 2023년 약 4억 9천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하며 캄보디아 GDP의 약 1.3%에 기여했다. 더 나아가 캄보디아 내 타이어 제조공장 관련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천연고무에 대한 수요가 계속 확대되면서, 천연고무 생산이 캄보디아 경제에서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캄보디아 천연고무 생산 현황

캄보디아의 천연고무 농장은 국내외 투자자들이 운영하는 상업 농장과 소규모 가족 농장으로 구분된다. 농업산림수산부(MAFF)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천연고무 재배 면적은 약 405,671 헥타르에 달했으며, 이후 소폭 감소세를 보이다가 2023년 약 407,172 헥타르로 회복 및 증가했다. 주요 천연고무 생산지역으로는 깜뽕톰(15.4%), 몬돌끼리(8.4%), 스뚱뜨렝(4.2%) 등이 있으며, 이들 지역이 전체 고무 재배 면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천연고무 재배 면적 현황>
(단위: ha)

[자료: 캄보디아 농림수산부(MAFF)]


캄보디아 내 천연고무 공장 현황

캄보디아에서 운영중인 천연고무 가공 공장은 2023년 총 173개로 2018년 총 115개사 대비 50% 증가했다. 총 173개 공장 중 스모크드 시트 등을 생산하는 RS(Rubber Sheet)가 99개로 가장 많았으며, TSR(Technically Specified Rubber) 공장이 53개, RW(Rubber Wood) 공장이 20개, 그리고 CL(Concentrated Latex)이 1개로 그 뒤를 잇는다.


<연도별 캄보디아 천연고무 및 고무나무 가공공장 운영 현황>
(단위: 개)


[자료: 캄보디아 농림수산부(MAFF)]


캄보디아 천연고무 수출 현황

최근 천연고무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해 2019년 287,638톤, 2022년 382,000톤, 그리고 2023년에는 391,800톤을 기록했다. 천연고무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한동안 수출량 또한 증가세를 보였다. 캄보디아산 천연고무 수출량이 2019년 282,071톤에서 2022년 372,900톤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하지만 캄보디아 내 신규 타이어 제조공장이 설립 및 운영되면서 천연고무에 대한 대내 수요가 확대되어 2023년에는 전년 대비 1.3% 감소한 368,048톤의 수출량을 기록했다.

한편, 캄보디아의 천연고무 판매는 주로 수출에 의존하고 있으며, 천연고무 수출액은 2019년 3억 7700만 달러에서 2021년 6억 1100만 달러로 급증했다. 캄보디아의 천연고무는 주로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중국 등에 수출되고 있다.


<천연고무 생산량과 수출량 현황>
(단위: 톤)

[자료: 캄보디아 농림수산부(MAFF)]


캄보디아산 고무의 對한국 수출 현황

한국에서 한국타이어, 금호타이어, 넥센타이어 등 타이어 제조공장이 운영되고 있지만, 타이어 제조에 필요한 고무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한국의 고무 주요 수입국은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등이 있다. 특히, 캄보디아는 한국에 고무를 2019년 474.9만 달러에서 2023년 2,783.1만 달러로 수출량을 늘리며 한국의 주요 천연고무 공급처로 자리잡았다.


<2019-2023년 한국의 국가별 고무 수입 동향>
(단위: US$ 천)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태국

159,333

140,373

219,478

404,934

168,515

인도네시아

254,256

202,965

260,397

171,814

131,094

베트남

70,264

50,930

83,049

76,440

51,169

캄보디아

4,749

4,848

18,447

26,128

27,831

필리핀

9,453

4,692

11,646

25,446

19,623

[자료: 한국무역협회]


한편, 천연고무를 훈연한 스모크드 시트(Smoked Sheet, HS Code 4001.21)는 한국의 주요 공급망 안전 품목 중 하나이다.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탄성체의 주요 원료로 한국에서는 자체 생산이 불가하여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3개국에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태국산 고무가 한국 총 고무 수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스모크드 시트 역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태국산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하지만 2022년, 2023년 캄보디아산 스모크드 시트 수입액이 약 860만 달러 수준을 기록, 한국의 전체 스모크드 시트 수입액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한국의 공급망 안정 품목으로 부상했다.


<2019-2023년 한국의 국가별 고무 수입 동향>
(단위: 1,000 USD)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캄보디아

0

429

8,967

8,660

8,660

태국

16,674

16,407

12,370

8,048

8,048

베트남

2,400

1,882

2,587

957

957

[자료: 한국무역협회]


천연고무 산업 추세 및 전망

캄보디아는 천연고무 시장의 주요한 플레이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천연고무 생산 환경의 지속적인 개선과 시장 접근성 제고, 그리고 정부의 지원 및 관련 산업 홍보 노력을 토대로 천연고무 관련 산업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특히, 캄보디아 천연고무 총 판매수익이 2024년 상반기 기준 2억 1,33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판매수익인 1억 9,630만 달러 대비 8.6% 증가하는 등 캄보디아 천연고무 산업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한편, 최근 캄보디아 내 신규 타이어 제조공장이 증가하면서 천연고무 산업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비록 초기단계이지만 이전에는 대부분 수출에 의존한 천연고무 판매가 타이어 제조업체들이 캄보디아 농민들로부터 고무를 직접 조달하면서 캄보디아 내 수요 역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운송 비용 절감, 거래 속도 개선 등의 효과를 토대로 캄보디아 내 타이어 제조가 활성화되면서, 캄보디아가 단순한 원료 공급처를 넘어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처로 발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캄보디아 개발 위원회(CDC)에 따르면, 다수의 타이어 제조 프로젝트가 승인되었으며, 대표적인 타이어 공장으로는 연간 850만 본을 생산하는 Newbustar Tire와 590만 본을 생산하는 General Tires Technology가 있다.


시사점

캄보디아의 천연고무 산업은 꾸준한 대외 수요와 함께 신규 타이어 제조 공장 설립 및 가동에 따른 대내 수요 활성화로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물론 천연고무 산업이 지속하여 성장하기 위해서는 열악한 천연고무 생산 기술, 인프라 부족, 품질인증제 운영 부실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하지만, 정부에서도 천연고무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생산 방식 개선 및 관리 체계 확립, 친환경 농업 기술 도입 등과 같은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캄보디아의 천연고무 시장은 한국기업에 공급망 다변화 및 안정성 강화의 기회를 제공한다. 최근 주요 원자재의 안정적인 조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스모크드 시트 등 필수 원자재에 대한 자체 조달이 어려운 한국에게 캄보디아는 전략적 파트너로 역할할 수 있다. 더불어 캄보디아 내 타이어 제조업 확장, 가공 및 생산 역량이 향상되는 상황에서 천연고무 가공 관련 우리기업들에게 현지 협력 및 투자 기회로 이어질 수 있어, 캄보디아 천연고무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자료: 캄보디아 농림수산부, 한국무역협회, Khmer Times, Phnom Penh Post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캄보디아의 천연고무 산업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