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中 유통업 유망주, 편의점 시장 생존전략
  • 트렌드
  • 중국
  • 청두무역관
  • 2016-10-14
  • 출처 : KOTRA

- 2016년 중국 편의점 시장 규모 약 1000억 위안으로 추산 -

- 향후 유망 유통업종 중 하나, 2020년까지 편의점 산업 연평균 성장률 6% 달할 것 –

 



자료원: 바이두

 

☐ 2016년 중국 편의점 시장 5대 특징


  ㅇ 각 도시간 편의점 발전 격차가 큼.

    - 통계에 따르면, 1선 도시들 중 상하이와 선전 지역의 편의점 발전수준은 비교적 높았으나 베이징, 광저우 지역의 발전수준은 일본과 대만에 비해 여전히 격차를 보이고 있음. 전국 각 도시들의 발전수준 간에도 차이가 있음. 남쪽 연안지역은 편의점 산업 발전수준이 비교적 높았고, 서북과 서남부 내륙은 산업 발전수준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남.


  ㅇ 그러나, 여전히 빠른 성장률 시현

    - 최근 몇 년간 중국 편의점 산업은 빠른 속도의 발전을 보여주었음. 소매유통채널 가운데 2위의 성장률을 보임. 중국 주요 36개 도시 중 편의점 산업 성장률이 20%를 넘은 도시는 47.5%였고, 하얼빈, 우한, 창사가 성장속도가 가장 빠른 3개 도시로 조사됐으며, 하얼빈의 성장률은 33.3%에 달함. 이 외에도 베이징시가 23.5%의 성장률을 보이는 등 편의점 산업의 샛별로 떠올랐고, 상하이는 시장경쟁 및 포화상태로 성장률이 정체되고 있음.


  ㅇ 시장경쟁 치열

    - 중국 신흥 편의점 브랜드가 우후죽순처럼 늘어나고 있음. 2015년 편의점 브랜드 수는262개에 달했고, 상하이, 선전, 난징의 편의점 브랜드는 기준보다 10개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편의점 산업이 빠른속도로 발전함과 동시에 편의점 간 경쟁도 치열해짐.


  ㅇ 남방지역의 영업시간이 북방지역보다 길어

    - 남방지역 도시의 24시간 편의점 비율이 북방지역보다 높게 나타남. 24시간 편의점 비율이 50%가 넘은 도시 중에서 남방지역이 76.9%를 차지하며 압도적 우위를 보임. 이는 남방지역 소비자들의 생활소비습관의 차이와 기후가 요인이라고 분석됨.


  ㅇ 업계 정부지원 희망

    - 편의점 산업의 발전과정에서 정부 정책의 지원은 타 산업에 비해 낮은 편으로 보임. 현지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는 금융, 제도 정비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희망하고 있음.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网)

 

☐ 중국 편의점 산업의 성장 경과


  ㅇ 경쟁과 발전을 거듭하며 성장 시현

    - 중국 소매유통업은 WTO 가입에 따라 편의점업에 대한 개방을 확대한 2001년 이후, 외국 브랜드 편의점들의 중국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경쟁이 가열되는 동시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음. 주요 글로벌 편의점들은 상하이, 광저우 등 연안지역 시장을 선점하고, 이를 토대로 중서부 내륙지방으로 상권을 확대하고 있음.


  ㅇ 중국 내 편의점 시장의 도입 및 형성

    - 중국은 1980년대 중반에 시작된 상품유통 시스템 개혁과 대외 경제개방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소매업에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됨.

    - 중국 최초의 편의점은 1987년 광저우에 도입됐고, 지금의 편의점과 비슷한 형태는 1995년 전후로 형성되기 시작함. 2003년 이후 편의점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단계에 진입함.

    - 도시인구 및 소득수준 증가로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중국 본토의 기업들은 물론 글로벌 기업들까지 경쟁에 뛰어들게 됨. 시장조사기관인 ‘리서치앤마켓츠’의 올해 6월 보고서에 따르면, 편의점 산업은 향후 중국에서 가장 유망한 산업 중 하나라고 분석함.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편의점 산업의 연평균 성장률은 2014년에서 2020년 사이 무려 6%에 달할 것으로 예상함.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统计局)


  ㅇ 편의점 산업 지속적 성장 전망

    - 18일 중국산업정보망에 따르면, 중국의 편의점은 총 2만6345개(2014년 기준)로 연평균 11.7% 증가했으며, 매출은 약 408억 위안으로 연평균 14.8% 증가함.

    - 중국프랜차이즈협회(中国连锁经营协会)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으로 중국의 편의점 점포 수는 총 8만3000개로 전년대비 1% 정도 늘었음. 총 매출 증가율은 15.2%에 달해, 4.1% 증가한 슈퍼마켓, 0.7% 줄어든 백화점과 큰 차이를 보였음. 중국의 편의점 시장 규모는 올해 1000억 위안 정도가 될 것으로 추산됨.


☐ 초기 정착기 실패 및 성공요인 분석


  ㅇ 실패 요인

    - 경영시스템 및 영업방식 미비로 편의점 경영을 위한 기술적인 검증과 연구가 미흡

    - 국민의 소비수준 및 소비자들의 전통적인 소비형태로 편의점 도입이 시기상조

    - 고객 타깃을 학생 및 회사원 등 젊은 층 유동인구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주부 등 주택가의 비유동인구를 주 고객으로 해 소비자 반응 저조

    - 당시 타 업종에 비해 높은 점포 투자비와 인건비 등의 경영비용  


  ㅇ 성공 요인

    - 소득수준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발전해왔음. 특히 만혼 추세, 맞벌이 부부, 심야 인구층의 증가, 주부 취업 증가 등이 주요 성장 요인

    - 간편성을 추구하는 현대적 라이프스타일 및 소량다품종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

    - 중국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20~30대 1인 거주가구가 늘어나면서 편의점 식품이 인기를 끌고 있음.

    - 편의점 차별화 요인 중 하나인 PB(자체브랜드)상품 대부분을 구성하는 즉석식품 및 도시락 시장규모가 2012년 2000억 위안에서 2015년 5300억 위안으로 3년 사이에 무려 165% 증가함.

 

☐ 현지 편의점 업계에서의 생존전략

 

  ㅇ 탄력적인 상품 머천다이징(MD)

    - Shop-in-shop 개념을 도입한 편의점들이 등장하기 시작. 이와 같은 현상은 다른 수많은 편의점과의 경쟁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특정 상품을 전문화시켜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음. 계절에 따른 상품 종류 및 아이템의 탄력적 교체는 필수이며, 지역마다 서로 다른 지형과 기후로 인한 수요상품의 조기 도입 등 적극적인 상품 운영 도입이 필요

 

  ㅇ 자체브랜드(PB) 상품 개발

    - PB 강화는 편의점업계의 화두임. 대표적인 예로 세븐일레븐(세븐프리미엄), 로손(로손실렉트), 패밀리마트(패밀리마트컬렉션)이 있음.

 

  ㅇ CS 강화

    - 현지 편의점에는 아르바이트생 및 직원의 서비스 교육이 잘 돼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종업원의 고객 응대 및 친절도를 강화하는 중임.

 

☐ 시사점

 

  ㅇ 타 편의점 브랜드와의 차별화 필요

    - 자신만의 특징을 갖춘 편의점이 많지 않은 만큼, 시장 내 브랜드 고유의 이미지 메이킹과 그에 상응하는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이 필요함.

 

  ㅇ 타 산업분야와의 경쟁 치열

    - 상업지역에서 레디밀(Ready Meal)과의 경쟁 및 편리성 측면에서 O2O(Online to Offline) 배달서비스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노력 경주

 

  ㅇ 우리 기업의 경우, B2C 유통망 진출 방안의 일환으로 네트워크가 강한 편의점 시장 진출도 고려해볼 수 있음. 

 

  ㅇ 특히, 가격경쟁력 제고 및 품종 다변화가 편의점 진출의 관건이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유통 최적화 방안이 필요함.


 

자료원: 중국프렌차이즈경영협회(中国连锁经营协会), 바이두(百度),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网), 중국국가통계국(统计局), 화시도시보(西都市), 전남대학교 논문 ‘중국 편의점의 매출 성화방안에 대한 연구’, 리서치앤마켓츠 및 KOTRA 청두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유통업 유망주, 편의점 시장 생존전략)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