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에티오피아 발전산업 동향 및 전망
  • 트렌드
  • 에티오피아
  • 아디스아바바무역관 김종현
  • 2018-12-20
  • 출처 : KOTRA

1. 에티오피아 전력 발전산업 현황

 

발전 형태별 에티오피아의 전력발전 현황

발전형태

현 발전소의

발전량

현재 건설중인

발전소의 발전량

향후 개발예정인

발전소의 발전량

합계

수력

3,824

8,864

2,599

15,287

지열

7

35

1,640

1,682

풍력

324

-

1,100

1,424

태양광

-

-

1,200

1,200

바이오 매스

-

137

-

137

폐기물(WtE)

50

-

-

50

Bagass(사탕수수)

26

448

-

474

화력

78

-

-

78

총계

4,284

9,484

6,539

20,307

자료원 : 에티오피아 전력청(EEP – Ethiopian Electric Power)

 

ㅇ 에티오피아의 전력 발전규모는 약 4,284MW로서 전체 발전량의 86%를 수력발전이 차지하고 있을 만큼 전력 개발이 매우 뒤쳐진 상태임. 나머지 발전량의 6%가 지열, 태양광 및 풍력 등이 8%를 차지하고 있으나 증가일로의 전력수요를 감당하기에는 매우 역부족이며, 화력, 원자력 등 대규모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 역시 존재하지 않아 향후에도 수력발전 의존 형태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     

 

USAID의 통계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전체 인구(1.03억명)가 공급받는 전력은 2.3GW에 불과한 가운데 1, 2차 에티오피아

경제개발 5개년계획(Growth and Transformation Plan 1-2010~2015, 2-2016~2020)에 따라 국영 산업공단 건설, 철도건설,

도로건설 등 대단위 인프라 구축사업, 아디스아바바 등 대도시로의 인구유입 확대로 인해 현재의 전력수준으로는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는 전력수요를 감당하기 불가할 것으로 전망함.

 

개발 잠재력 대비 발전 형태별 개발 현황

발전형태

단위

개발 잠재력

개발수준

수력

MW

45,000

<8.5%

태양광

kWh/m2

평균 5.5

<1%

풍력 : 풍속

GW m/s

1,350>6.5

<1%

지열

MW

5,000-10,000

<1%

목재

Million tons/yr

1120

50%

농산물 부산물

Million tons/yr

15-20

30%

천연가스

Billion m3

113

0%

석탄

Million tons

300

0%

오일셰일

Million tons

253

0%

자료원 : 에티오피아 전력청(EEP – Ethiopian Electric Power)

 

ㅇ 당초 GTP 1에 따르면 2015년까지 발전 규모를 2,000MW에서 10,000MW로 증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나 이는 애초부터

달성 불가능한 목표라는 비난을 받았으며, GTP 2에서는 2020년까지 현 발전량의 두배에 해당하는 9,000MW로 발전량을 늘리는

것으로 수정한 바 있으나 이 역시 달성 가능성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임.

 

ㅇ 이러한 이유는 에티오피아의 낮은 경제력과 부족한 정부예산으로 인해 대다수 대형 인프라 구축사업의 경우 유상차관에

의존해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점과 더불어 에티오피아의 모든 국영 발전소 건설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에티오피아 전력청(EEP-

Ethiopian Electric Power)의 비효율성과 더딘 업무처리에 따른 능력부족, 최근 2년간 지속된 국가 비상사태의 여파로 인한 잦은

공사중단, 발전소 공사에 소요되는 발전기 및 각종 건자재를 국내에서 조달하지 못하고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에 따른 공기

지연 등으로 종합해 볼 수 있음.

 

ㅇ 이에 따라 국가 주도의 전력 발전만으로는 증가일로의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는 판단하에 에티오피아 정부는 2년 전부터

민간기업의 전력 발전사업(IPP)을 허가하고 민간 발전사로부터 에티오피아 전력청이 전기를 구입하는 전력 구매법(Power

Purchasing Law) 을 통과시킨 바 있으며, 최근에는 송전망이 닺지않는 도서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수력, 풍력, 태양광, 지열

발전사업에 민간(외국기업 포함)의 참여를 적극 장려하고 있음.

 

2. 발전 형태별 에티오피아의 전력발전 동향

 

수력발전

 

ㅇ 에티오피아 전체 발전량의 86%를 차지하고 있는 수력발전은 연간 수자원량이 1,400m3 로 추산되는 가운데 9개의 주요

유역을 따라 총 12개 수력발전소가 건설되어 전기를 생산하고 있음. 이들 9개 유역의 평균 지류를 통해 생산할 수 있는 총 발전량은

시간당 650 TW( 테라와트)이며 실제로 이중 약 40%만 활용된다는 이론하에 계산할 경우에도 시간당 발전량은 260TW

 

에티오피아의 수력발전소 운영 현황

발전소 명

발전량

(MW)

시간당 전력 생산량

(GW)

운영 시작연도

Koka

43

80

1961

Awash II

32

135

1967

Awash III

32

135

1972

Finchaa

134

740

1973

Melka Wakena

153

434

1988

Tis Abay I & II

84

367

1964

Gilgel Gibe-I

184

830

2003

Tekeze

300

957

2009

Gilgel Gibe-II

420

1,826

2009

Tana Beles

460

1,860

2009

Fincha Amertinesh

97

215

2011

Gibe-III

1,870

7,050

2016

총계

3,809

14,629

 

자료원 : 에티오피아 수관개전력부(Ministry of Water, Irrigation and Energy)

 

ㅇ 에티오피아의 전력산업에서 수력발전이 큰 비중을 차지할 수 밖에 없는 이유도 현존하는 에너지원 중 수력이 가장 풍부하고

가까운 곳에서 단시간내 개발을 통해 전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임. 이러한 이유로 인해 대단위 부지나 예산이 소요되는 화력 및

원자력에 비해 향후에도 수력발전이 에티오피아의 전력발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로 에티오피아 정부의

중장기 전력량 확충 계획에서도 수력발전소 건설에 대해 높은 기대를 걸고 있음.

 

ㅇ 특히 나일강의 근원지로 알려진 청나일(Blue Nile)에서부터 출발하여 전역으로 이어지는 강줄기를 따라 전체 수력발전소의 절반

가량이 건설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청나일로부터 뻗어 나오는 Abbay 유역(616m3), Baro-Akobo 유역(280m3), Tekeze 유역

(98 m3)은 에티오피아 전체 수자원량의 70%를 차지하고 있음.

 

ㅇ 또한 에티오피아와 이집트간 가장 큰 갈등을 유발하고 있는 아프리카의 최대규모의 댐인 르네상스댐(GERD – Great Ethiopian

Renaissance Dam, 너비 1.8km, 높이 145m, 담수량 740m3)도 청나일 유역에 건설 중에 있으며 완공에 따른 전력 발전량은

6,450MW, 연간 전력생산량은 시간당 15,177GW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어 에티오피아의 전력난 해소 및 인근국으로의 수출을 통한

외화창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지열발전

 

ㅇ 에티오피아의 지역발전 잠재량은 10,000MW로 추산되는 가운데 에티오피아 지도상으로는 케냐 국경의 중남부에서 중부

지역까지 관통하는 리프트 밸리(Rift Valley)와 중부에서부터 북동부까지 지부티, 에리트레아와 맞다은 아파르 협곡(Afar

Depression) 까지의 지역을 지열 발전이 가능한 지역으로 꼽고 있음

 

ㅇ 경위도 좌표에서는 북위 6~14, 동경 36~42도 까지가 지열발전 가능지역으로 보이는 가운데 지하수 온도는 최대 300도 까지

도달하며 해수면 높이는 1,300~2,500m 사이인 것으로 조사되었음. 이중 지열 발전소 건설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은

리프트 밸리의 경우 랑가노 호수(Lake Langano)의 북쪽에 자리잡고 있는 알루토 화산(Aluto Volcanic Center) 인근의 3개 지역,

아파르 협곡의 경우 아파르 주(Afar Region) 남부의 툴루 모예(Tulu Moye)에서부터 북부 텐다호(Tendaho)까지의 범위내에서 약

11 지역을 꼽고 있음

  

ㅇ 이밖에 지구상에서 가장 더운 지역이자 용암 지대와 소금광산을 볼 수 있는 명소로 한국에도 잘 알려진 에티오피아 최북단의

다나킬 (Danakil) 에도 약 2개 지역이 지열발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에티오피아의 지열 발전지역 조감도


자료원 : 에티오피아 수관개전력부(Ministry of Water, Irrigation and Energy)


ㅇ 현재 에티오피아의 지열발전소는 알루토 랑가노(Aluto Langano) 지열발전소가 유일한 가운데 알루토 랑가노를 중심으로 남부에

위치한 코베티(Corbetti) 지열발전소, 북부에 위치한 Tulu Moye 지열발전소는 에티오피아 정부가 전력구입 계약을 전제로 민간

발전사 IPP 방식으로 지열발전소 건설을 허가하여 현재 프로젝트가 진행중에 있음.

 

에티오피아의 지열발전소 운영 및 건설 현황

발전소 명

발전량

(MW)

시간당 전력 생산량(GW)

혹은 재원 조달원

운영 시작연도

혹은 개발단계

Aluto Langano Geothermal

7.3

42

1999

Aluto Langano Geothermal

Expansion

75

에티오피아 정부

입찰 준비 중

Corbetti Geothermal

500

IPP

개발사와 전력구매

계약서 체결

Tulu Moye Geothermal

500

IPP

개발사와 전력구매

계약서 체결

자료원 : 에티오피아 수관개전력부(Ministry of Water, Irrigation and Energy)

 

ㅇ 국영 지열발전소인 알루토 랑가노의 경우 아이슬란드의 Reykavik Geothermal사가 잠재 발전량이 1000MW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 결과를 발표한 후 현재 7.3MW의 발전량을 73MW까지 늘리는 확장공사가 추진되고 있음.

 

ㅇ 또한 코베티 지열발전소의 경우 ‘16년 정부령(Proclamation) 981/2016에 의거하여 공공, 민간기업의 참여를 허가한

지열발전개발법에 따라 IPP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Power Africa Initiative로부터 USD 40억을 지원받아 총 10GW의 전기를

생산하여 사하라 이남 6개 국가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에 있음. 우선 5년에 걸친 1단계 건설을 마칠 경우 발전량은 약

500MW 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며 이후 3년의 추가 공사를 통해 총 1000MW까지 발전량을 끌어올릴 계획임.

 

ㅇ 한편 현재까지 추진중인 지열발전소 건설 지역은 아디스아바바를 기준으로 모두 남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개발지역에 접근할 수 있는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북부에 비해 남부가 양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로 북부지역의 경우

개발전에 선행되어야 할 인프라 구축으로 인해 발전소 건설 비용이나 건설 기간에 있어서 현재로서는 상업적 가치가 다소 떨어진다는

전문가와 학계의 의견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음.

 

태양광 발전

 

ㅇ 에티오피아 전력산업의 가장 큰 문제점은 송배전망이 턱없이 부족할 뿐더러 송전망의 전력 손실률은 평균 30% 이상을

상회한다는 것임(한국은 2~3% 내외). 이로 인해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송전되는 도중에 전력이 모두 손실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오프 그리드(Off Grid) 형의 전력 자급자족이 비용과 효율성 면에서 에티오피아의 현실에 부합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음.  


ㅇ 실제로 에티오피아의 전력 보급률은 2016년 기준으로 26%에 불과하여 아디스아바바나 지방의 주요 도시와 도시 인근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전력 보급이 거의 안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농촌지역의 경우 벌목, 농산물의 부산물

( 찌꺼기), 가축 부산물 등을 태우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환경오염 및 삼림파괴 등의 문제도 매년 심각해지고 있음 


ㅇ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에티오피아 정부는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GTP II)의 세부 목표로서 2020년까지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 태양광 가옥 40만채, 태양광 보건진료소 3,600, 태양광 손전등 360만개 보급 계획을 추진하기

시작하였으며 미니 그리드(Mini Grid)까지 추진할 계획에 있음.  


ㅇ 한편 에티오피아 정부는 이러한 간헐적인 방식으로는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IPP 방식으로 민간이

주도하는 4개의 태양광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데, 현재 Metehara Solar(100MW), Mekele Solar(100MW),

Humera Solar(100MW), 세계은행 산하 국제금융기구(IFC)가 주도하는 Scaling Solar(500MW) 프로젝트 등은 전부 IPP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음.  


ㅇ 중요한 점은 향후 추가적인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앞서 언급한 송전망 부족

및 높은 전력 손실률로 인한 비효율성의 문제도 있겠으나 ’18.4Abiy Ahmed 총리 취임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는 지방종족간

영토분쟁, 치솟는 물가 상승에 따른 서민경제 악화 등 각종 악재에 대비한 정치적 수단의 하나로서  민심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지방

지역에 대한 전력공급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는 추측에도 무게가 실림. 


ㅇ 참고로 에티오피아의 태양광 발전량은 남부 저지대의 경우 평방미터당 연 0.2MW에 불과한 곳에서부터 중부에서부터 북부

고지대는 2.6MW에 달할 정도로 편차가 심함. 현재 태양광 발전 유망지역으로는 아디스아바바를 중심으로 소말리아와 인접한 동북부

소말리주(Somali) 북부지역과 서북부 티그라이주(Tigray) 전체와 그 밑에 위치한 암하라주(Amhara)의 북부지역을 꼽고 있음.


 에티오피아의 지역별 태양광 발전 유망지역

자료원 : 에티오피아 수관개전력부(Ministry of Water, Irrigation and Energy)

) 붉은색일수록 일조량이 많아 태양광 발전량이 큰 지역임.

 

풍력 발전

 

ㅇ 태양광과 더불어 향후 에티오피아의 유망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풍력발전은 현재 3개의 발전소가 건설되어 발전량은 총

324MW 에 달하고 있으며, 에티오피아 정부는 향후 7년 내에 총 9개의 풍력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하여 발전량을 1,500MW

확대시킬 계획에 있음.

 

에티오피아의 풍력발전 현황

발전소 명

발전량

(MW)

시간당 전력 생산량(GW)

가동년도

Ashengoda Wind Farm

120

400

2013

Adama I Wind Farm

51

163

2012

Adama II Wind Farm

153

480

2015

자료원 : 에티오피아 수관개전력부(Ministry of Water, Irrigation and Energy)

 

ㅇ 풍력 발전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이유는 풍력발전의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인 초당 풍속이 많은 지역에서 6m/s 이상을

기록하였다는데 있음. 실제로 에티오피아 중심부에 자리잡은 Rift Valley 산맥에서 측정한 풍속은 최대 8.5m를 기록한바 있으며 북쪽

지방의 메켈레주(Mekelle)의 아셴고다(Ashengoda), 하레나(Harena), 아이샤(Aisha) 지방에서는 초당 풍속이 8m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음. 또한 아디스아바바시 인근 오로미아주(Oromia)의 아다마시(Adama)와 곤다르(Gondar)도 초속 풍속이 6m내외를

기록하였으며 기타 지역에서도 4m 이상을 기록하는 등 에티오피아 전역에 풍력발전 가능지역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에티오피아의 풍속 등급별/지역별 면적 현황

(단위 : km2)

지역명

Class1

Class2

Class3

Class4

Class5

Class6

Class7

합계

Addis Ababa

-

42

277

207

-

-

-

526

Afar

57,318

5,948

1,553

546

-

-

-

65,365

Amhara

84,881

11,966

2,322

1,678

328

-

-

101,175

Benishangul

3,996

-

-

-

-

-

-

3,996

Dire Dawa

553

667

287

-

-

-

-

1,507

Gambela

317

-

-

-

-

-

-

317

Harar

-

2

32

109

108

143

-

394

Oromia

124,838

41,911

24,626

13,142

3,274

3,323

1,392

212,506

SNNPR

37,439

5,823

2,950

2,519

1,510

103

-

50,344

Somali

196,734

18,862

3,163

526

80

-

-

219,365

Tigray

32,734

6,798

5,094

3,552

1,154

77

-

49,409

총계

538,810

92,019

40,304

22,279

6,454

3,646

1,392

704,904

자료원 : 에티오피아 수관개전력부(Ministry of Water, Irrigation and Energy)

) Class 등급이 높을수록 풍속이 세기가 커짐을 의미함

 

ㅇ 또한 1km당 발전 용량이 5MW 이상이 될 수 있는 풍력발전 가능면적은 에티오피아 전역에 총 2km2(Class 4~7까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등급별 면적 현황은 아래와 같음

 

에티오피아의 풍속 4등급(Class 4) 이상 면적 현황 및 발전량 예측

등급

집중도

(W/m2)

50m

초당풍속

총 면적

(km2)

에티오피아

총면적 대비

기대

발전량

Class 4(Good)

400-500

7.0-7.5

15,175

1.3%

75,875

Class 5(Excellent)

500-600

7.5-8.0

3,729

0.3%

18,645

Class 6(Excellent)

600-800

8.0-8.8

985

0.1%

4,925

Class 7(Excellent)

800 이상

8.8 이상

401

0.04%

2,005

합계

-

-

20,290

1.8%

101,450

자료원 : 에티오피아 수관개전력부(Ministry of Water, Irrigation and Energy)


바이오 매스 

 

ㅇ 에티오피아는 바이오 매스로 구분되는 에너지원에 땔감(나무), 석탄, 농산물 부산물, 가축 부산물 등을 포함시키고 있으며 지방에

거주하는 에티오피아 전체인구의 절반 가량이 바이오 매스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짐. 연간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생산량은 750PJ

(페타줄)로 알려져 있으며 이중 나무가 47%, 농산물 부산물이 34%, 가축 부산물이 18%를 차지하고 있음.

 

ㅇ 실제로 전력을 사용하는 인구가 30% 내외일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나머지 70%는 바이오 매스 형태의 에너지원에 의존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한편 사탕수수 부산물(bagas), 커피 찌꺼기, 기타 곡류의 찌꺼기가 풍부한 지방지역의 경우 바이오 매스를

사용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더욱 이로울 것으로 판단되는 상황이나 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할지에 대한 개발계획 혹은 정부의

지원방침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음. 

 

쓰레기 소각 전력(Waste to Energy)

 

’18.4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는 아프리카 최초의 Waste to Energy 발전소인 Reppie 발전소가 건설되어 가동중에 있으며

매일 소각되는 쓰레기의 양은 1,400톤으로서 전력 발전량은 25MW에 달하고 있음.

 

ㅇ 동 발전소는 Cambridge Industries Ltd와 중국의 China National Electric Engineering이 합작하여 건설한 것으로 총

공사대금은 USD 95백만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쓰레기를 발전 원료로 사용한다는 것이 특징임. 쓰레기를 소각할 때 발생하는 열을

보일러로 전달하고 기화된 수증기를 터빈 에너지로 옮겨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임.

 

ㅇ 현재까지는 1개 발전소에 불과한 실정이나 에티오피아의 증가하는 쓰레기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 등 전력발전 외에 얻을 수 있는

잇점 등을 고려하면 향후에도 지속 개발 가능한 발전소의 형태로 평가받고 있음.


3. 에티오피아의 전력발전 프로젝트 발주처 및 주요 엔지니어링사

 

발주처 : 에티오피아 전력청(EEP – Ethiopian Electric Power, www.eep.gov.et)

 

ㅇ 에티오피아 수관개전력부(MoWIE – Ministry of Water, Irrigation and Energy)의 산하 국영기업으로서 수력, 지열, 풍력, 태양광

등 각종 발전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음. 또한 IPP, PPP 방식으로 추진되는 프로젝트도 총괄하고 있으며 송배전망 구축 사업도 동시에

추진하는 등 에티오피아 전력산업 시장 진출과 관련해서는 EEP와의 네트워킹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음. 

 

엔지니어링사 (13개사)

 

EDCF로 추진되는 프로젝트를 제외하고는 WB, AfDB, 에티오피아 정부 자금으로 추진되는 프로젝트의 대다수는 현지

엔지니어링사와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하기의 로컬 엔지니어링 업체들은 해외 건설사와 협력 경험이

다수인 업체들을 위주로 KOTRA 아디스아바바무역관의 자체 조사를 통해 선별하였음.

 

연번

회사명

사무실전화

웹사이트

이메일

1

MGM Consult

+251 116 628 032

www.mgmconsultplc.com

mgm@ethionet.et

2

Orchid Business Group

+251 113 716 339

www.orchidplc.com

orchidplc@ethionet.et

3

Yencomad Inc.

+251 115 533 766

www.yencomad.com

lakewb@yencomad.com

4

Yotek Construction

+251 115 514 775

www.yotekrealestate.com

info@yotekrealestate.com

5

Universal Construction

+251 116 624 520

www.uniconethiopia.com

info@uniconethiopia.com

6

Yohannes Abbay Consulting Architects and Engineers

N/A

www.yohannesconsulting.com

yohannes.architect@gmail.com

7

Net Consulting Engineers & Architects

+251 116 183 227

www.netconsult.com.et

fekadunega@yahoo.com

8

Jdaw Consulting Architects and Engineers

+251 115 520 252

www.jdawconsult.com

jdawconsulting@gmail.com

9

Satcon Construction

+251 113 727 822

N/A

engabiwow@gmail.com

10

MS Consultancy

+251 116 517 869

www.ms-consultancy-et.com

msc@ethionet.et

11

Wossen Woldekidan Consulting Architects and Engineering

+251 114 760267

www.wossenconsult.com

wossen.arch@gmail.com

12

Saba Engineering

+251 114 391 065

www.sabaeng.com

saba.eng@ethionet.et

13

Geretta Consult

+251 116 633 220

www.gerettaconsult.com

getaneh@gerettaconsult.com

자료원 : KOTRA 아디스아바바무역관 자체 조사


4. 에티오피아의 발전 형태별 발주예정 발전소 프로젝트 현황

 

 * 하기는 수력, 지열, 풍력, 태양광 등 발전 형태에 따라 에티오피아에 건설된 발전소 현황 및 향후 추진할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총 망라한 것으로 특히 태양광, 풍력, 지열의 경우 IPP 혹은 PPP 방식으로 추진할 프로젝트가 많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의 향후 참여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사료됨.

 

연번

발전

형태

발전소 명

발전 (MW)

전력

(GWh)

건설비

(USD 백만)

MW당 생산

단가(USD)

재원조달

방식

가동

예상시기

1

 Geba I & II

372

1749

572

1.54

에 정부

2025

2

Genale VI

246

1542

588

2.39

PPP

2028

3

Dabus

798

3433

740

0.93

PPP

2024

4

Halele + Werabessa

436

2029

886

2.03

PPP

2028

5

Chmoga Yeda I & II

280

1102

540

1.93

PPP

2023

6

enale V

100

578

298

2.98

PPP

N/A

7

Tams

1700

5760

3242

1.91

IPP

N/A

8

Gibe IV

1472

6146

2503

1.70

에 정부

N/A

 9

Birbir

467

2759

1231

2.64

에 정부

2028

10

Upper Dabus

326

1460

628

1.93

에 정부

N/A

11

Gibe V

660

1905

2210

3.35

N/A

N/A

12

Lower Dedessa

550

987

619.2

1.46

IPP

N/A

13

Tekeze II

450

2768

1690.4

5.07

IPP

N/A

14

Lower Dabus

250

640

866.3

4.50

IPP

N/A

15

Gojeb

150

570

526.8

4.74

IPP

N/A

16

Wabi Shebele

87

691

1110

12.76

에 정부

N/A

합계

7,551

30,605

17,529

2.32

 

 

1

Corbetti

520

3872

2080

4.0

IPP

2026

2

Boku/Dofan/Dugna Fango/Shashemene

450

3351

1800

4.0

IPP

2027

3

Fentale

150

1117

600

4.0

IPP

2027

3

Tulu Moye

520

3872

2080

4.0

IPP

2027

합계

1,640

12,211

6,560

4

 

 

1

Aysha II

200

636

380

1.9

에 정부

2021

2

Itaya

100

318

190

1.9

N/A

2021

3

Dire Dawa

100

318

190

1.9

N/A

2021

4

Gode

100

318

190

1.9

N/A

2021

5

Tulu Guled

200

636

380

1.9

N/A

2021

6

Adigala

200

636

380

1.9

N/A

2021

7

Didaya

100

318

190

1.9

N/A

2021

합계

1000

3180

1900

1.9

 

 

1

Metahara

100

175

180

1.8

IPP

2020

2

Mekele

150

263

180

1.8

PPP

2021

 3

Humera

150

263

180

1.8

PPP

2021

4

Dechatu

125

219

180

1.8

IPP

2020

5

Gad

125

219

180

1.8

IPP

2020

6

Welenchite

150

263

180

1.8

PPP

2021

7

Weranso

150

263

180

1.8

PPP

2021

8

Metema

125

219

225

1.8

PPP

2021

9

Hurso

125

219

350

2.8

PPP

2021

합계

1200

2103

1835

1.2375

 

 

자료원 : 에티오피아 수관개전력부(Ministry of Water, Irrigation and Energy)

 

5. 에티오피아 전력시장 진출방안 및 유의사항

 

Strengths

Opportunities

▪ 풍부한 수자원, 일조량 등 발전환경 최적

IPP 활성화 및 전기구매 계약 체결 확대

▪ 신재생 에너지 투자 시 인센티브 제공 확대

▪ 다수의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추진 예정

IPP, PPP 방식에 에티오피아 정부 관심 증대

▪ 지열 등 신재생 관련법 제정추진 본격화

Weaknesses

Threats

IPP방식 세부조건 합의까지 장기간 소요

▪ 신재생 에너지 경험 및 관리능력 부족

▪ 발전차액, 전력구매액 외화 보전여부 미정

▪ 지방정부 허가 및 부지 임차 시 문제제기

▪ 소요사태 및 폭력시위 시 발전소 안전 위협

▪ 발전차액에 대한 외화 미지급 가능성 상존

 

ㅇ 에티오피아의 전력 발전산업 중에서도 특히 신재생 에너지 개발에 대한 에티오피아 정부의 관심과 의지가 매우 큰 만큼 향후 우리

기업들의 진출 가능성이 높은 분야도 풍력 혹은 태양광 발전사업이 될 전망

 

ㅇ 특히 에티오피아 정부의 부족한 사업예산과 차관에만 의존하는 대규모 인프라 사업에 따른 대외부채 증가에 큰 위협을 받고 있는 현

상황에서 민간자금 유치를 통한 전력공급 확대는 에티오피아 발전산업의 메인 스트림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

 

ㅇ 한편 전기 구매대금 혹은 발전차액에 대한 외화 지급여부가 다소 불투명한 가운데, 에티오피아 정부에서 계약서상에 외화 지급을

약속한다 실제로 발전소 가동 후에 재정 형편상 현지화(비르화)로만 지급 가능하다는 주장을 펼칠 경우 법적조치를 통해 이를

해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손실도 배제할 수 없으며, 정부의 요구사항을 서서히 수용할 경우 사업의 주도권을 완전히 뺏기게

되는 최악의 경우도 발생할 수 있음.  


ㅇ 또한 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부지 확보 시 중앙정부의 약속과 달리 지방정부와 협상 과정에서 부지 임대비가 갑자기 상향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만약 개발부지내 거주민이 있을 경우 이들에 대한 이주 및 토지 보상도 개발사가 부담해야 한다는 식으로 일관하여

공사기간이 연장되거나 아예 계약파기가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

 

ㅇ 마지막으로 신재생 에너지의 경우 개발부지 대다수가 도심과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도로, 용수 등 기본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로 인한 시간 낭비 및 비용 증가에 대한 부담이 클 수 밖에 없으며, 일부의 경우 정부에서 사업 시작 전까지 부지

정리 및 기본 인프라 제공을 약속하였으나 공사 시작전까지 이행되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여 공사 진행에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다소

높음.

 

ㅇ 종합하자면 에티오피아에서의 전력 발전산업, 그중에서도 신재생 에너지 발전사업이 유망한 것은 사실이나, 현지에서 인프라

공사를 경험한 기업들의 경험상 비추어 볼 때 유망한 시장성의 이면에 감춰진 리스크 역시 매우 클 것이 확실시 되며 시공계약 혹은

전력구매계약 등 법적 구속력이 수반되는 모든 행위에 대해서는 전문 법률서비스를 통해 현지 세무부, 관세청, 기타 관련 부처 등을

대상으로 계약조건이 현지 법에 부합하는지 등에 대해서도 꼼꼼히 살펴봐야 함.  

 

ㅇ 또한 에티오피아는 내륙국가의 한계로 인해 발전소 건설시 필요한 자재 등을 수입에 의존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관련 제품의

배송지연도 무엇보다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더욱이 행정당국으로부터의 인허가와 관련해서는 늑장 행정처리가 만연해 있기 때문에

이런저런 이유로 공사기간이 자연히 연장되는 것이 보통임. , 공사기간 연장에 대한 보상 조건에 대해서도 당초 예상했던 지연

기간보다 더 길게 잡는 것이 필요하다 할 수 있음.



자료원) 에티오피아수관개전력부, 에티오피아무역관 자료종합 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에티오피아 발전산업 동향 및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