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모잠비크 천연가스개발 어디까지 왔나
  • 현장·인터뷰
  • 모잠비크
  • 마푸투무역관 김수형
  • 2016-02-17
  • 출처 : KOTRA

 

모잠비크 천연가스개발 어디까지 왔나

- 모잠비크 천연가스개발 동향세미나 참관기 -

- 가스 생산, 산업단지, 항만, 공항, 플랜트 등 종합적 동향정보 제공 -

     

     

□ 로부마만 시장동향 포럼(Rovuma Basin – Market Briefing)

     

 ㅇ 포럼 개요

 

포럼 명

Rovuma Basin – Market Briefing

개최 일자

2016년 1월 28일

개최 장소

모잠비크 수도 마푸투(Maputo) 서든선 호텔(Southern Sun Hotel)

포럼 규모

관련 기관 7곳, 참가자 약 200명

     

     

로부바만 시장동향 포럼 발표 사진

      

사진 좌 : 모잠비크석유가스기구 수석 변호사 나이마 카파옹(Naima Capao)

사진 우 : 질문에 답변하는 아나다르코 대표 (John Peffer)

자료원 : KOTRA 마푸투 무역관

     

 ㅇ 남아공 투자정보 조사분석 전문회사 AIE는 모잠비크경제단체연합(CTA)와 공동으로 로부마만 시장동향 포럼(Rouvuma Basin – Market Briefing)을 개최 개최

  - 1월 28일 하루 일정으로 개최된 포럼에 국내외 기업 대표자 200여 명이 참여

  - 모잠비크 광물에너지자원부(MIREME), 모잠비크 석유가스기구(INP), 모잠비크 석유가스물류공사(ENH Logistic), 모잠비크공항개발공사(ADM), 마푸투항구회사(Porto de Maputo)가 천연 가스 개발을 위한 모잠비크 정부의 정책 발표

  -  아나다르코(ANADARCO, 미국), 인텔렉홀딩(INTELEC HOLDING, 모잠비크), 아질리티 아프리카(Agility Africa, 쿠웨이트), 쉘(Shell, 영국&네덜란드)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 미국)이 자사 프로젝트 진행 현황 및 진출 전략 정보 공유

 

 ㅇ 주요 논점은 천연가스 개발과 내셔널콘텐츠(현지 제품/서비스 구매 및 인력 채용)를 접목하는 것과 모잠비크 내 인프라 구축 해결 방안이었음.

  - 모잠비크 내 천연가스 프로젝트에 참가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현지 기업은 거의 없으며, 내셔널콘텐츠는 모잠비크 자원개발 사업의 주요 변수로 부각되고 있음.

  - 모잠비크 내 천연가스 개발 관련 인프라 구축, 특히 전체 가스 생산량의 25%를 국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천연가스 물류망 구축 프로젝트 논의

 

□ 모잠비크 기관 주요 발표 정보

 

 ㅇ 모잠비크석유가스기구(INP)

  - INP는 모잠비크  육·해상의 석유 가스 자원 개발을 관리하며, 개발, 인프라 및 관련 활동을 감시하는 기관임.

  - 안정적인 투자 유치를 위한 석유가스 관련법을 개정 중이며, 현재까지 석유산업의 상류부문(Upstream)에 해당하는 개발 및 원유 수출, 파이프라인, 액화, 보관, 선적 관련 규정만 ‘14년 제정된 바 있음(Lei No.21/2014 – Upstream).

     

석유천연가스 개발 구조

  

   * 빨간 점선 부분 까지가 법규 제정 완료 부분임

자료원 : INP

 

  - 원유와 천연가스 생산세(원유 10%, 천연가스 6%)는 ‘11년 이전 진출 기업인 로부마 1광구 Anardarco와 4광구 ENI를 제외한 모든 진출 개발기업에 적용될 것임.

  - 또한 여러 가지 관련 법규에 분산돼 있는 석유가스분야 내셔널콘텐츠(로컬 콘텐츠) 법규의 단일화 작업을 진행 중

  - 석유천연가스 개발 참여기업은 3년 주기로 내셔널콘텐츠 관련 계획을 집행해야하며, 주요 항목으로는 현지인 일자리 및 교육 보장, 공개 채용, 제품 및 서비스 조달분야의 모잠비크 기업 참여 등임.

 

 ㅇ 모잠비크석유가스물류공사(ENH Logistics)

  - ENH Logistic은 ENH(모잠비크석유가스공사)의 자회사로 모잠비크 석유천연가스 운송 인프라 개발을 담당.

  - ENH Logistic은 로부마만 가스개발 지역인 팔마(Palma)의 산업단지 프로젝트 및 인근 항구 도시 펨바(Pemba)의 통합 물류 프로젝트를 발표

  - 팔마 산업단지 18,000ha와 관련하여, 산업(25%, 4,350ha), 비즈니스센터(3%, 545ha), 거주(16%, 2,085ha), 상가(2%, 232ha), 녹지 공간(45%, 7,398ha)으로, LNG 수출에 최적화 될 계획임.

  - 펨바 통합 물류단지 관련 항구, 물류 시설, 공항, 환적, 창고, 선박 수리, 주상복합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며, 총 2억 달러 규모의 1차 건설이 진행 중임.

     

  팸바 항구 개발 계획

 

자료원: ENH Logistic

 

 ㅇ 모잠비크공항개발공사(ADM)

  - ADM은 모잠비크 19개 공항 중 북부 항공 수송 허브가 될 나깔라(Nacala)공항 프로젝트 발표

  - 나깔라 공항의 현재 규모는 연 승객 수 55만 명 및 화물 처리 규모 600톤이며, 천연가스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2020년 각각 250만 명과 90만 톤, 그리고 2028년에는 500만 명과 100만 톤으로 확대될 전망임.   

  - 현재 모잠비크 북부에 펨바, 남풀라, 나깔라 3개의 국제공항이 있으나, 추후 나깔라 공항이 북부 유일의 국제공항이 될 예정임.

  - Kenya Airways, SAA, Ethiopian Airways, Qatar가 취항 예정이며, 유럽, 미국, 중동, 아시아 직항 비행기 취항을 유치 중임.

 

나깔라 공항 전경

자료원: ADM

 

 ㅇ 마푸투항만공사(MPDC)

  - MPDC는 모잠비크국영철도항만회사 CFM과 Portos Indicos, Grindrod, DP World가 민관 협력사업(PPP)으로 운영 중임.

  - 2033년까지 운영 허가(10년 추가 연장 가능) 및 140.6 ha(5,500ha 추가 가능) 토지 사용 허가를 소유함.

  - 로부바 만과 함께 개발 중인 펨바 항구의 투자금 확보가 지연됨에 따라 MPDC의 확장 및 개발 프로젝트가 주목 받고 있음.

  - 수심이 낮은 베이라 항구 및 시설이 열악한 나깔라 항구의 현황으로 볼 때 마푸투 항구를 통해 마푸투 전역으로 화물을 운반하는 것이 경제적이라 설명

  - MPDC는 2003년 5%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10년 이후 5년 동안 평균 12%의 성장률을 기록

  - MPDC 규모는 재화중량톤수 80,000톤, 연 처리규모 2700만 톤이며, 현 15만TEU인 컨테이너 터미널을 30만 TEU 까지 확장할 계획임.

 

   마푸투 항구 터미널 구조

자료원 : MPDC

 

□ 민간기업 발표 정보

 

  ㅇ 아나다르코(ANADARCO)

  - 아나다르코는 로부마만 1광구 지분 26.5%를 소유한 미국 개발사로, 협력사로는 ENH(15%, 모잠비크), Mitui E&P(일본, 20%), BPRL Ventures(인도, 10%), ONGC Videsh(인도, 10%) PTTEP(태국, 8.5%) BREML(인도, 10%)이 있음.

  - 이 중 BREML은 인도 Oil Linda와 ONGC가 각각 지분의 40%와 60%를 소유한 회사로 실제 아나다르코는 이번 포럼에서 지분 구조율을 아래와 같이 발표

 

로부바 만 1광구 지분 구조

회사명

지분율

비고, 국가

ANADARCO

26.5%

E &P Company, 미국

ENH

15%

National Oil Company, 모잠비크

Mitsui

20%

Trading Company, 일본

PTTEP

8.5%

National Upstream E &P Company, 태국

Oil Linda

4%

second largest E &P Company, 인도

OVL(ONGC)

16%

Larest oil gas E &P Company, 인도

BPCL(BPRL)

10%

Refining, Marketing and E&P, 인도

자료원 : ANADARCO

 

  - 아나다르코는 로부바 만 육상광구 및 육상에서 40km 부근, 500~1,500m 지점의 해상 광구를 보유하며, 75TCF 규모의 천연가스를 발견함.

  - 1광구 LNG 플랜트 시설 총 투자규모는 130억 달러로 예상

  - 착선인도조건(DES)로 8mtpa 이상의 판매계약을 진행 중이며, 육상 LNG 플랜트 시설 건설을 위한 지역 주민 재정착 프로그램을 계획 중임.

  - 아나다르코 세르지우 바루스(Sergio Barros) 지역주민 재정착 담당자는 제 1광구 프로젝트 참여 업체들이 최소 1/3 수준의 지역주민을 고용해야 할 것이라 언급

 

 ㅇ 쉘(SHELL)

  - 모잠비크정부 가스마스터플랜은 생산천연가스의 40%를 LNG Train 10기로 액화 및 정제, 나머지 60%는 석유화학, 에너지 그리고 GTL 산업 개발화를 제시하고 있음.

  - 쉘은 SASSOL과 함께 유일하게 GTL 기술을 가진 기업으로, 모잠비크 정부와 50억~70억 달러 규모 GTL 프로젝트를 논의 중임.

  - GTL(Gas to Liquid)은 디젤 엔진 자동차, 항공기 및 나프타 연료를 대체할 수 있으며, 전력 생산 및 농업용 수자원 확보도 가능함.

  - 쉘 알렉스 바타질라(Alex Battaglia) 모잠비크 대표는 1993년 건설된 말레이시아 GTL 공장 직원 중 97%가 현지 고용자라는 것을 강조했으며, 생산 목표를 2023년이라 언급

 

GTL 활용 방안

자료원: SEHLL

 

 ㅇ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

  - 모잠비크 내 가스 운송 인프라 구축의 효율적인 방안 제시

  - 북부 팔마(Palma)에서 마푸투까지 이어지는 2700km 파이프라인의 경우 넓은 범위에서 대량 운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건설기간이 5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동이 불가능한 고정 시스템(Anchor System) 때문에 비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지적.

  - 현실적인 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는 것이 좁은 범위에서 이동 가능한 위성 시스템인(Satelite System) CNG(CNG In A BOX)와 LNG(Small Scale LNG) 두 가지가 있음.

  - CNG의 경우 소규모, 단거리 수송에 유리하며 미국의 경우 손익분기점이 300km인 것을 참고할 때 모잠비크 국내 가스 유통 인프라는 소규모 LNG 시설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라 설명   

     

소규모 네트워크 CNG와 LNG

구분

CNG

LNG

주요 투자분야

가스 수송

인프라 유지

사용 현황

통상적으로 이용됨

통상적으로 이용.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

특징

단거리, 소량 운송에 유리

장거리, 대량 운송에 유리

  자료원 : General Electric

     

     

모잠비크에서 운송거리와 양에 따른 가스 수송 효율

자료원: General Eletric

 

□ 시사점

 

 ㅇ 국제 석유가격 하락에도 프로젝트 추진 의지 표명

  - 아나다르코의 존 페퍼(John Peffer) 모잠비크 대표는 석유값 하락이 모잠비크 프로젝트 추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에 당사가 작년 육상 LNG 플랜트 건설 업체로 CCS JV을 선정했으며, FID(최종투자결정)를 위한 합법적 및 계약 구축(Legarl & Constractual Framework)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

  - 같은 질문에 쉘의 알렉스 바타질라(Alex Battaglia) 모잠비크 대표는 생산비 절감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발언

    

 ㅇ 로부바만 1광구, 4광구 총 170tcf 천연가스 발견, 200tcf까지 추가 발견될 가능성도 있으며, 6~13개 LNG 플랜트가 건설될 것으로 전망

   - 더불어 ENH 타바리스 마르팅유 국장은 천연가스 생산량 25%를 국내 활용하는 법규가 현실적이냐는 질문과 관련하여 정부와 ENH가 전력 생산 등 우선 프로젝트를 선정 및 논의 중이라 언급

   - ENH는 UP STREAM과 함께 DOWN STREAM의 전력생산, 산업용 및 가정용 가스 공급 분야까지 담당할 예정임.   

  

 ㅇ 내셔널콘텐츠와 인프라 구축을 주요 과제로 지목

  - 모잠비크 정부가 내 산업 증진을 위해 필수적임을 강조한 내셔널콘텐츠는 진출 기업에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

  - 특히 아나다르코가 하청업체와의 계약 조건에 최소 1/3 수준의 지역 주민들을 고용해야 할 것이라 언급한 점에 주목할 필요

 

 ㅇ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인프라 구축 마련 시급

  - 국제 석유값 하락 및 달러 강화 현상으로 인한 세계 경기 불안으로 모잠비크 최근 10년 내 가장 낮은 성장세를 기록하며 인프라 구축 관련 프로젝트가 지연되고 있음.

  - 국내 물류 및 가스 공급 인프라 구축과 관련하여 여러 진출사들의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음.

  - 쿠웨이트 진출 물류회사 아질리티(Agility)는 모잠비크 담당자가 현지 물류 회사에 안전하며 효율적인 수송 방안을 제시하며 자사는 전국 물류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임.

 

 ㅇ 우리 기업의 모잠비크 시장, 산업, 문화에 대한 철저한 사전 조사 및 진출 전략 필요

  - 발전, 도로, 항만 등 인프라 구축 관련 모잠비크 정부의 무리한 정부 부채로 원조 프로젝트 발주는 당분간 잠잠할 것으로 보이는 바 민관협력사업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임.

 

 

자료원: KOTRA 마푸투 무역관, INP, ENH Logistic, ADM, MPDC, ANADARCO, SHELL, General Electric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모잠비크 천연가스개발 어디까지 왔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