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4년 케냐 농업 동향
  • 국별 주요산업
  • 케냐
  • 나이로비무역관 신정렬
  • 2024-05-27
  • 출처 : KOTRA

전체 인구의 40% 이상인 약 2200만명 이상이 1차산업에 종사 GDP의 약 60%에 기여하며, 수출의 65%를 차지하는 케냐 경제의 근간

하지만, 영세 소규모 농가 위주의 농업으로 토지 활용도, 생산성이 낮아 정부차원의 육성정책을 강하게 추진 중

케냐 1차산업 개요 및 특성


1차산업(농축수산업)은 케냐 경제의 근간이 되는 산업이다. 전체인구 약 5500만 명 중 40% 이상 그리고 농촌 인구 2860만 명의 70% 이상인 2200만 명이 1차산업에 종사한다. 직접적으로 GDP의 33%, 간접적으로는 식품 가공 등 2, 3차산업과의 연계로 약 27%, 총 약 60% 정도를 GDP에 기여한다. 농축수산업은 케냐경제의 원동력이며, 대다수 국민의 생계 수단이지만, 구조를 살펴보면 소규모 농가 위주이며 기후 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날씨에 큰 영향을 받아 효율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케냐 농림부에 따르면, 2023년 1-3분기 기준, 농축수산업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대비 7% 상승했다. 2022년 1-3분기 기준으로는 전년동기 대비 2% 감소했는데, 기저효과를 감안하더라도 꽤 높은 폭의 상승이다. 이는 연평균 강수량의 차이에 기인하는데, 2024년 1월까지 이어진 강우량이 증가하여 농업 생산량은 계속 증가했다.

 

농축수산업의 회복은 식량 공급 외에도 물가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전년 동기대비 식품부문 물가상승률은 2022년 10월 15.8%에서, 2023년 10월 7.8%로 낮아졌다. 그리고 최근 기준 2024년 2월 대비 3월의 주요 식품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했다고 케냐 중앙은행(CBK)은 발표했다.

 

케냐의 농축수산업 구조는 농업, 축산, 어업 및 임업 등의 기타로 나눌 수 있는데, 농업이 80%, 축산업이 15%, 어업 2%, 기타가 3%를 차지한다.

 

<케냐 1차산업 구성 비중>

 

[자료: 케냐 농림부]

 

1차산업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농업은 식량, 원예 및 산업 작물로 구성된다. 주요 식량 작물로는 곡물(옥수수, 밀, 수수, 쌀, 기장), 콩류(콩, 녹두, 피전 콩, 강낭콩, 병아리콩), 뿌리 및 괴경 작물(고구마, 감자, 카사바, 애로루트, 얌)이 있으며, 원예 부문은 절화, 과일, 채소로 구성되며, 절화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중점 수출산업이다. 산업 작물은 차, 커피, 사탕수수 및 면화 등이 있다.

 

산업 관련 정책 및 규정

 

2023년 케냐 정부가 발표한 제4차 중기개발계획(MTP IV, 2023-2027)은 국민 생활비 절감, 기아 퇴치, 일자리 창출, 과세 기반 확대, 외환 수지 개선, 포용적 성장을 달성하려고 한다.

이를 위한 5가지 핵심 축으로 1) 농업 혁신, 2) 중소기업 경제 확대, 3) 주거 개선, 4) 보건, 5)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 및 창조경제(Creative Economy)를 설정하였다. 이중 농업이 최우선이며, 관련 과제로는 협동조합을 통한 운전자본 제공 및 농업 위험 관리를 통해 수익성과 소득 예측 가능성 강화가 있다.

 

그리고 농업분야의 육성을 위해 정부가 수립한 정책은 다음과 같다.

 

1) 농업분야 성장 및 변혁 전략(Agricultural Sector Growth and Transformation Strategy(ASGTS), 2019)

 

10년 단위의 계획으로 2019년에 수립되었다. 1차산업 종사자 소득을 증가시키고, 특히 농업 생산량을 높이며, 가구의 식량 회복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농업 현대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국가 농업 투자 계획(National Agriculture Investment Plan(NAIP), 2019-2024)

 

농업 현대화와 식량 안보를 달성하기 위해 마련된 전략으로 ASGTS와 함께 추진하며 구체적인 투자 방안 등을 포함. 주요 계획은 수확 후 처리 투자, 농업 연구 및 혁신, 파트너십 환경 조성, 정책/인프라 및 PPP 투자 증가 등을 포함하고 있다.

 

케냐 농림부에 따르면 다수의 인구가 농업에 종사하고 GDP에 직,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비율이 높지만, 자동화 비율은 20% 내외이며, 선진국 대비 농업 생산성이 낮다. 정부는 여러 정책을 통해 농업 생산성 개선과 국민소득 증대로 이어지도록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현대화를 통한 농가소득 증대 및 식자재 품질 개선으로 식품 안보 강화를 위해 농업 발전을 중점 국정과제로 지정하여 적극적인 산업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요 기업

 

2023년 기준 케냐의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으며, 수익기준 선두 기업은 Kenya Seed Company이며, Elgon Kenya, Kenya Tea Development Agency 순이다.


<2023년 케냐 1차산업 주요 기업별 연매출>

(단위: US$)

기업명

분야

연매출

홈페이지

Kenya Seed Company

종자 연구, 개발 및 생산

5억9,940만

https://kenyaseed.com/

Elgon Kenya

농업 기자재 공급

2억3,560만

https://www.elgonkenya.com/

Kenya Tea Development Agency.

차류 생산, 가공 및 판매

2억1,900만

https://ktdateas.com/

Farm Works

신선식품 유통

1억5,840만

https://farmworks.africa/

Frigoken Kenya Ltd

채소 가공

1억5,200만

https://frigoken.com/

Red Lands Roses

장미 재배 및 수출

8,590

https://redlandsroses.com/

Better Globe Forestry

묘목판매 및 임업교육

5,570

https://www.betterglobeforestry.com

REA Vipingo Plantations

사이잘(Sisal) 재배, 가공 및 수출

4,910

https://www.reavipingo.com/

Kakuzi PLC

과일, 차 재배 및 가공

3,830

https://www.kakuzi.co.ke/

[자료: KOTRA 나이로비 무역관 종합]

 


최신 농업 기술 동향

 

케냐 또한 여느 국가와 마찬가지로 최근 농업에 위성 이미지, 센서, 블록체인, 빅데이터 분석 등의 기술을 도입하는 추세다. 대외적으로는 세계은행이 구축한 농업 관측 플랫폼이 있고 대내적으로는 Agri-Tech 스타트업의 약진을 꼽을 수 있다.

 

세계은행은 농업 관측 플랫폼(Kenya Agricultural Observatory Platform, KAOP)을 개발, 디지털 혁신을 구현 케냐의 농업 생산성 향상을 지원했다. 2020년부터 이러한 플랫폼은 농업 기관, 농부 및 기타 관계자들이 공간, 기상 정보에 접근하고 맞춤형 조언을 받을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농업 관측 플랫폼 KAOP 사이트>

[자료: 케냐 농업 및 축산 연구소(KALRO)]

 

이 플랫폼은 케냐 농업 및 축산 연구소(KALRO), 케냐 기상청(KMD) 과의 협업 덕분에 더 세밀한 기상 예보를 제공하게 되었다. 2023년 3월 대대적인 개선을 통해 지역별 세분화된 정보 및 조언 제공이 가능해졌다. 기존에는 월 평균 5만 명에게 자문을 제공했으나, 개선 후 월 평균 25만 명에게 자문을 제공한다. 현재는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해, 자문 서비스 제공업체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케냐 자체적으로는 일부 Agri-tech 스타트업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농부를 지원하고 있다.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1) 생산성 확대를 위한 농업 정보제공 2) 외상 등 파이낸싱 모델 제공 3)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하여 양질의 종자, 비료 등 농자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구축한 것이 포함된다. 주요 스타트업은 다음과 같다.

 

1) Apollo Agriculture(종합 플랫폼)

농자재 판매, 자금 조달, 교육, 보험 등 농부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포함하며, 플랫폼을 통해 농부들과 소통한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품을 비교, 선택하여 제품을 수령할 수 있다.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부터 투자를 보호하기 위해 외상으로 구매한 농부들을 보험에 가입하도록 유도하여 수익을 창출한다.

 

2) DigiFarm Kenya(종합 플랫폼)

농부에게 대출을 제공하고 양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거래할 수 있도록 연결해준다. 농부는 토양 검사, 농자재, 대출, 보험, 농기계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하도록 한다.

 

3) M-shamba(정보제공)

보관시설 및 기술이 열악하여 수확 후 손실 발생량이 큰 점에 착안, 농가의 생산성,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내 가상 콜센터, 음성 및 SMS 서비스를 제공하여 농업 기술을 전파한다.

 

4) Hello Tractor(거래 플랫폼)

농부를 농기계 소유자와 연결해 대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농기계 소유자는 트랙터에 장치를 부착, 트랙터 위치, 사용량, 연료 소비, 도난 방지 및 유지보수 필요 사항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5) SunCulture:(천연자원 활용)

IoT 센서, 원격 모니터링 기술을 결합한 태양광 기반 관개 시스템을 활용하여 수자원 낭비를 막아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돕는다. SunCulture는 태양광을 활용한 탄소 크레딧 판매로 수익을 보전하여 농부에게 소형 태양광 펌프를 기존 연료 펌프 대비 절반 정도의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한다. 이 회사는 현재까지 4만7000개의 태양광 패널로 펌프를 판매하였고 향후 토양 검사, 보험과 같은 다른 서비스로 확장하려고 하고 있다.

 

<SunCulture의 태양광 펌프 사진>

[자료: EMpowerafrica]

 

농업 부문 주요 이슈

 

1) 인프라 제한

관련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농촌의 전력 부족, 인터넷 접근성과 같은 애로사항으로 실제로 기술을 도입하는데 제약이 여전히 많다. 또한, 농부들이 데이터를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하기에 디지털 문해력이 낮아 어려움이 많다.

 

2) 기후 변화 및 기상 변동성

케냐의 농업은 기후 의존도가 높아 온도 변화, 폭우 등 극단적인 기상 현상에 취약하며, 토지 활용 및 농업용수 관리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3) 인구 동향

인구의 증가로, 농업 잠재력이 높은 토지까지 주거용으로 활용하여 농지는 점차 감소하는데, 이러한 패턴이 반복되어 식량 생산량에 영향을 받는다.

 


농업 생산 및 수요

 

2023년 기준, 차류 생산량은 51만6100톤으로 2022년 53만5000톤 대비 3.5% 감소했다. 커피 생산량도 4만8700톤으로 2022년 5만1900톤에서 6.2% 감소했다.

 

23년 3분기 기준, 과일 생산량은 5만9684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3만2388톤 에서 84.3% 증가했다. 유사하게, 채소 생산량도 35.4% 증가했다. 그러나 설탕 생산량은 87만4000톤으로 전년 동기 194만5000톤 대비 55% 감소했다.

 

케냐 통계청이 발간한 식량 작물 디렉토리에 따르면, 케냐는 식량 수요를 자체적으로 충족하지 못하고 일부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옥수수의 경우 현지 생산량이 수요를 충족하지 못한다. 2023년 케냐의 옥수수 생산량은 2022년 대비 77.8%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2023년 인근국가(탄자니아, 우간다, 잠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로부터 약 60만 톤 가량의 옥수수를 수입했다.

 


수출입 통계

 

1) 수입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수입액은 15억2039만 달러로, 2022년 14억5198만 달러에 비해 4.7% 증가했다. 케냐에 농산물을 수출하는 주요 국가는 러시아로, 2023년 4억6500만 달러를 수출했다. 이어 인도는 2억8100만 달러, 파키스탄은 1억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은 2023년 수출액 400만 달러로 24위를 기록했다.

 

주요 수입품목은 곡물이다. 2023년 곡물 수입액은 12억8012달러, 낙농품은 8814만 달러로 2위를 기록했다. 채소는 7839만 달러, 견과류는 2871만 달러를 기록했다.

 

<국가별 수입통계(HS 코드 2단위 기준, 03,04,05,06,07,08,09,10,16)>

(단위: US$, %)

순위

국가

수입액

점유율

22년 대비 23년 증가율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전 세계

1,262,180

1,451,984

1,520,390

100.00

100.00

100.00

4.71

1

러시아

105,563

151,135

465,015

8.36

10.41

30.59

207.68

2

인도

97,147

108,076

281,428

7.70

7.44

18.51

160.40

3

파키스탄

80,151

131,801

103,870

6.35

9.08

6.83

-21.19

4

미국

33,336

50,424

83,183

2.64

3.47

5.47

64.97

5

탄자니아

242,358

212,195

80,580

19.20

14.61

5.30

-62.03

6

남아프리카공화국

21,598

17,404

72,553

1.71

1.20

4.77

316.87

7

우간다

82,448

96,155

72,243

6.53

6.62

4.75

-24.87

8

우크라이나

83,782

26,492

69,188

6.64

1.82

4.55

161.17

9

호주

200,983

152,468

59,594

15.92

10.50

3.92

-60.91

10

캐나다

43,956

21,490

39,551

3.48

1.48

2.60

84.05

24

대한민국

116

10,716

4,910

0.01

0.74

0.32

-54.18

[자료: GTA, 2024.4.24.]

 

<품목별 수입통계(HS 코드 2단위 기준, 03,04,05,06,07,08,09,10,16)>

(단위: US$ 천, %)

순위

HS코드

품목명

2021

2022

2023

22년 대비 23년 증가율

1

10

곡물

1,026,752

1,190,753

1,280,128

7.51

2

04

낙농품, 꿀등 동물성 생산품

83,468

112,722

88,144

-21.80

3

07

식용의 채소, 뿌리, 괴경

41,997

64,766

78,394

21.04

4

08

식용의 과실과 견과류, 감귤류 등의 껍질

35,798

32,798

28,713

-12.45

5

09

커피, 차, 마테, 향신료

38,826

22,129

22,036

-0.42

6

03

어류, 갑각류, 연체동물 등

22,410

15,313

10,718

-30.01

7

06

살아있는 수목과 그 밖의 식물 등

9,331

9,986

9,053

-9.35

8

16

육류, 어류, 갑각류 등 또는 곤충의 조제품

2,264

2,319

2,053

-11.47

9

05

다른류로 분류되지 않은 동물성 생산품

1,334

1,196

1,151

-3.80

[자료: GTA, 2024.4.24.]

 

2) 수출

 

2023년 케냐의 농업분야 수출액은 29억94만 달러로 2022년 29억7326만 달러에 비해 2.4% 감소했다. 주요 수출 대상은 유럽, 남아시아이다. 2023년 케냐는 파키스탄에 5억5000만 달러로 주로 차/커피류, 네덜란드에 4억200만 달러로 화훼(절화 및 나무), 영국에 3억1700만 달러로 주로 차/커피류를 수출했다.

 

주요 수출 품목은 차/커피이다. 2023년 차/커피 수출액은 14억6054달러이며, 절화 및 나무는 7억2900만 달러로 2위를 기록했다. 과일, 견과류의 수출액은 2억4400만 달러, 채소의 수출액은 2억1700만 달러였다.

 

<국가별 수출통계(HS 코드 2단위 기준, 03,04,05,06,07,08,09,10,16)>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출액

점유율

22년 대비 23년 증가율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전세계

2,917,404

2,973,267

2,900,949

100.00

100.00

100.00

-2.43

1

파키스탄

472,603

535,592

550,618

16.20

18.01

18.98

2.81

2

네덜란드

456,625

392,191

402,917

15.65

13.19

13.89

2.73

3

영국

388,885

319,886

317,414

13.33

10.76

10.94

-0.77

4

이집트

176,234

213,867

211,041

6.04

7.19

7.27

-1.32

5

아랍에미리트

138,266

170,248

162,813

4.74

5.73

5.61

-4.37

6

독일

100,655

114,114

98,177

3.45

3.84

3.38

-13.97

7

미국

102,829

133,327

82,690

3.52

4.48

2.85

-37.98

8

사우디아라비아

55,674

78,610

79,833

1.91

2.64

2.75

1.56

9

예맨

42,770

59,373

61,299

1.47

2.00

2.11

3.24

10

카자흐스탄

34,416

45,962

59,439

1.18

1.55

2.05

29.32

32

대한민국

22,963

30,753

15,733

0.79

1.03

0.54

-48.84

[자료: GTA, 2024.4.24.]

 

<품목별 수출통계(HS 코드 2단위 기준, 03,04,05,06,07,08,09,10,16)>

(단위: US$ 천)

순위

HS 코드

명칭

2019

2020

2021

2022

2023

1

09

커피, 차, 마테, 향신료

1,326,010

1,457,093

1,460,541

1,720,077

1,620,425

2

06

살아있는 수목과 그 밖의 식물 등

639,059

630,750

798,765

691,608

729,027

3

08

식용의 과실과 견과류, 감귤류 등의 껍질

202,401

213,735

280,774

277,804

244,341

4

07

식용의 채소, 뿌리, 괴경

222,552

292,219

299,892

214,381

217,886

5

03

어류, 갑각류, 연체동물 등

32,862

25,356

32,052

46,873

47,665

6

10

곡물

30,004

41,521

35,909

12,978

27,089

7

04

낙농품, 꿀등 동물성 생산품

2,198

1,838

3,352

4,251

7,687

8

16

육류, 어류, 갑각류 등 또는 곤충의 조제품

3,420

3,924

5,090

4,158

5,385

9

05

다른류로 분류되지 않은 동물성 생산품

3,125

2,147

1,031

1,137

1,445

[자료: GTA, 2024.4.24.]


 

케냐 농수축산업의 SWOT 분석

 

강점 (Strength)

약점 (Weakness)

- 차, 커피, 절화 외에도 아보카도, 마카다미아 너트 등의 신흥 수출 작물의 경쟁력 보유

- 다양한 기후 조건으로 다양한 농산물을 생산 가능

- 젊은 인구가 많아 안정적인 노동력 공급가능

-  열악한 인프라(도로, 전력공급, 저장 시설 등)로 인한 손실

- 소득 수준이 낮아 기계화 추진, 양질의 농업 기자재 접근이 어려움

- 규모의 경제실현 애로(종사자 대부분이 자급자족 혹은 소규모 농부)

- 양질의 토지 부족(전체의 20% 미만만 비옥도, 기후조건을 갖춤)

- 관개 시설이 부족하여 날씨에 의존

기회 (Opportunities)

위협 (Threats)

농산물의 부가가치 창출 기회

- 현대 농업 기술 도입

- 농업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을 개발하고 실행하려는 정부의 노력

케냐-EU 및 케냐-영국 EPA 및 UAE CEPA, AfCFTA 등 다양한 무역 협정을 통한 시장 접근 보장 확대

- 해충과 질병 발생

도시화에 따른 토지개발로 토양 비옥도 감소와 토지 황폐화

수입품과의 경쟁

- 불규칙한 기상 패턴이(가뭄, 홍수) 농작물 수확에 악영향을 미침

세계 시장에서 비료와 같은 농업 자재의 불안정한 가격

[자료: KOTRA 나이로비 무역관 종합]

 


유망 분야

 

1) 원예 및 화훼

케냐는 과일, 채소, 꽃을 포함한 원예 생산에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다. 온실농업, 유기농 기술 등 도입은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켜 더욱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2)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가뭄에 강한 작물 및 품종 선별, 효율적인 관개 시스템 구축, 토양 보존 기술 등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도입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부는 식량을 충분히 확보하고 수출 증가를 위해 비료, 사료, 농업용품, 종자 및 묘목 개량, 경작지 및 관개 면적을 확대할 계획이다.

 

3) 농업 비즈니스 및 Agri-Tech

농촌지역의 인터넷 인프라를 개선하고 농부의 디지털 문해력을 향상시키면, 모바일, IoT,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통합한 솔루션 개발도 가능하며, 농업의 생산성 확대와 혁신을 기대할 수 있다.

 



자료: 케냐 중앙은행(Central Bank of Kenya), 케냐 통계청(Kenya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케냐 농림부(Ministry of Agriculture, Livestock and Fisheries), 세계은행(World Bank), Statista, GTA 및 나이로비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케냐 농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