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日, 선글라스 키즈가 뜬다
  • 트렌드
  • 일본
  • 후쿠오카무역관 우상민
  • 2010-07-30
  • 출처 : KOTRA

 

日, 선글라스 키즈가 뜬다

- 자외선으로부터 아이들 눈 보호대책의 하나로 받아들여져 -

- 선글라스 사주는 부모 늘어 -

 

 

 

□ 日, 어린이용 선글라스 인기

 

 ○ 아이들에게 선글라스 사주는 부모 늘어

  - 최근 일본에서는 아이들에게 선글라스를 사주는 부모가 증가함.

  - 외출이나 레저 시 패션 아이템으로, 그리고 여름의 따가운 햇볕과 자외선으로부터 아이들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의 하나로 선글라스를 선택하는 것

 

□ 어린이용 선글라스 판매 호조

 

 ○ 한 매장에서 두 달 사이 약 70개 팔려

  - 오사카에 있는 한큐백화점 내 입점한 어린이용 안경 전문점 ‘해피 페이스’는 약 20종류의 어린이용 선글라스를 진열하고 판매함.

 

한큐백화점 내 아동용 선글라스 매장

자료원 : 산케이신문

 

  - 올해 황금연휴(5월 초) 무렵부터 팔리기 시작해 5~6월 2개월에 약 70개 선글래스가 팔렸다고 함.
 

 ○ 컬러풀한 디자인에 저렴한 제품이 인기

  - 이 매장에서 인기가 높은 것은 컬러풀한 디자인으로 가격은 1050엔 정도로 적당한 타입

  - 이외에도 스포츠용 선글라스도 격렬한 움직임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어 판매가 호조라고 함.
 

□ 자외선 차단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것이 원인

 

 ○ 유럽 등에서는 자외선 대책의 하나로 아이에게 선글라스를 착용하도록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나라도 있지만, 일본에서는 그동안 아이의 눈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한다는 인식은 높지 않았음.

  - 작년 존슨 &존슨이 시력을 교정하는 아이들의 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한 의식 조사에서 아이의 자외선 대책으로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다’가 42.5%로 가장 많았음.

  - 그 다음으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한다’(31·5%), ‘모자를 쓴다’(27·5%)라는 회답이 많았음.

  - ‘선글라스를 착용하게 한다.’라고 대답한 사람은 불과 1%였음.

 

 ○ 최근 자외선으로부터 아이들의 눈을 보호하려는 방안으로 선글라스가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번지면서 아동용 선글라스 시장이 확대되는 것

 

 ○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아이들이 많아지면서 향후 급속도로 시장이 커질 가능성이 있음.

  - 앞의 존슨 &존슨의 조사에서 향후 선글라스를 쓰게 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11%에 머물렀었는데, 그 이유는 ‘다른 아이가 쓰지 않기 때문’이 가장 많았음.

  -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아이들이 많아지면서 남의 아이들이 쓰지 않기 때문에 쓰게 하고 싶지 않다던 부모들이 점차 아동용 선글라스를 구매할 가능성이 큰 것

 

□ 시사점

 

 ○ 일본인들의 선글라스에 대한 인식 바뀌나

  - 일본에서는 한국에서처럼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없음.

  - 일본에서 선글라스는 불량한 사람, 폭력 조직의 일원이라는 인식이 있어 그동안 성인들도 선글라스를 쓰지 않고, 주로 창이 큰 모자로 햇볕을 차단했었음.

  - 최근 들어 일본에서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짐.

 

 ○ 아동용 선글라스 시장 확대 가능성 커

  - 일본에서 선글라스 시장은 다른 나라에 비해 작은 편

  - 그동안 선글라스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았기 때문인데, 어른들의 선글라스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바뀌면서 아이들에게도 선글라스를 사주는 부모들이 증가함.

  - 일본에서 아동용 선글라스 시장은 거의 전무에 가까웠기 때문에 향후 확대폭이 클 것으로 예상됨.

  - 아동용 선글라스는 성인용과는 달리 명품보다는 발랄한 디자인과 가격이 가장 큰 선택의 요소가 될 것으로 보여 우리 기업들이 진출 가능성도 큰 시장으로 판단됨.

 

 

자료원 : 산케이신문, KOTRA 후쿠오카KBC 자체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日, 선글라스 키즈가 뜬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