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신성장산업기술] 美 초고속 광대역통신망 확장사업 핫 이슈
  • 경제·무역
  • 미국
  • 달라스무역관 전혜미
  • 2010-07-15
  • 출처 : KOTRA

 

美 초고속 광대역 통신망 확장사업 핫 이슈

- 미 정부 70억2000만 달러 투자계획, 초고속 광대역 통신망산업 발전 가속화 -

- 광대역 통신망 관련시장, 제품 수요 급속한 증가 전망 -

 

 

 

□ 광대역 서비스 보급률 세계 18위의 미국

 

 ○ 2010년 3월 기준, 미국 가정의 35%는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으며, 특히 도시 외곽지역의 광대역 서비스 보급률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함.

  - 최근 미 정보통신부(FCC, 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미 전체의 5%에 해당하는 가구에 광대역 통신망이 미설치 상태임.(아래 그림 참고)

 

초고속 광대역 서비스 미보급지역 분포 (2010년 7월 기준)

주: 파란색의 채도가 높을수록 광대역 미보급 가구 수 많음.

(최대 2만5000명 이상)

자료원 : Broadband.gov

 

 ○ 2009년 기준 대략 1억7000명의 미국인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며, 이 중 51.8%는 모바일 무선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됨.(아래 표 참고)

  - 미 인터넷 서비스 시장의 34.2%는 AT &T Inc.가 점유하며 그 외에 Comcast Corp.(20.3%), Verizon Communications Inc.(12.6%), Time Warner Cable Inc.(12.0%)가 시장을 주도함.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2009 기준)

인터넷 서비스 공급매체

사용자 수(천명)

비율(%)

모바일 무선 인터넷

88,874

51.8

케이블 모뎀

43,542

25.4

ADSL

31,393

18.3

Fiber

4,408

2.6

위성

1,062

0.6

Fixed Wireless

1,110

0.6

SDSL

1,050

0.6

총계

171,445

100

          자료원 : IBIS World

 

 ○ 2010년 3월 기준, 미국의 광대역 서비스 보급률은 65%로 세계 18위에 랭크돼 있으며 인터넷 서비스 가격은 비싸지만 속도는 느린 편임

  - 미국의 한 달 평균 인터넷 서비스 요금은 45.50달러로 한국 평균요금 28.50달러보다 상대적으로 비쌈.

  - 인터넷 모니터링 기관인 Akamai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0년 3월 기준 미국의 평균 인터넷 속도는 3.9메가바이트로 세계 인터넷 보급률 1위 한국의 평균 인터넷 속도 14.6 메가바이트보다 현격히 느린 속도임.

 

국가별 인터넷 평균속도

국가명

평균 인터넷 속도(메가바이트)

캐나다

4.25

네덜란드

5.24

스웨덴

5.74

일본

7.92

한국

14.6

                                               자료원 : CNN

 

□ 2020년까지 미국민 90%에 저렴한 광대역서비스 보급 목표

 

 ○ 미 정부는 경제회복 정책(ARRA)의 일환으로 광대역 통신망 구축사업에 총 70억2000만 달러 투자 계획과 구체적인 정부차원 산업발전 지원계획을 발표함.

  - 미 정보통신부(FCC)의 발표에 의하면 미 정부는 2020년까지 국민의 90%가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광대역 통신망 구축을 목표함.

  - 백악관의 발표에 의하면 미 정부가 계획한 70억2000만 달러의 투자지원금으로 68만5000개의 사업체, 900개의 의료관련 기업, 2400개의 학교가 혜택을 볼 것으로 정부가 계획하는 지원은 엄청난 규모임.

 

 ○ 현재까지 총 200개의 광대역 통신망 확장 프로젝트가 정부의 승인을 받아 지원금과 대출 형태로 지원을 받게됨.

  - 지난 7월 2일 오바마 대통령이 66개의 정부승인 프로젝트를 추가 발표했으며, 주로 광케이블과 초고주파 전송선로 관련 프로젝트들도 포함함.(아래 표 참고)

 

광대역 통신망 확장 관련 정부 승인 프로젝트

                                                                           (단위 : 만 달러)

업체명

금액

프로젝트 내용

ComNet

3,000

오하이오 주 서부에 700마일의 광케이블 설치

Pine Telephone

3,000

오클라호마 주에 FTTH(Fiber-to-the-home)와 광케이블 설치

Wilkes Telephone & Electric Company

4,800

20기가바이트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도록 FTTH 통신망을 이용한 초고속 광케이블 네트워크 구축

Massachusetts Technology Park

4,810

메사추세츠 주 서부에 1300마일 광케이블 설치

University Corporation for Advanced Internet Development

6,250

30개 이상의 광대역 연구 프로젝트 지원과

전국적 광대역 네트워크 연결

주 : 66개의 승인 프로젝트 중 대규모 프로젝트 5개 선별함.

자료원 : Broadband Stimulus Awards Report

 

 ○ 미 정부는 금전적인 지원 이외에도 정책적 지원을 통해 광대역 산업의 체계를 잡아가려는 노력 중

  - 효율적인 광대역 서비스를 활용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관련 법규와 정부정책, 규제 및 인센티브를 수정할 계획임.

  - 정부가 정책적으로 광대역시장의 경쟁을 유도해 인터넷 서비스 가격을 낮춤으로써 저소득층 국민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방침

 

□ 교육, 의료,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 긍정적 효과 기대해

 

 ○ 'U.S. Broadband Plan'에 의하면 미국은 광대역 통신망 확장을 통해 교육, 의료, 에너지, 공공안전, 국가보안 산업의 발전과 경제 회복을 동시에 이룰 계획

  - 의료 : 광대역 통신망과 IT를 활용함으로써 의료비는 줄이고 서비스의 질은 향상될 것임.

  - 교육 : 온라인 교실과 디지털 교육의 활성화로 공교육의 질적 향상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함.

  - 에너지 : 광대역을 이용한 전기 전송라인의 현대화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계획

  - 경제 : 정부차원의 정책적 산업 지원을 통해 많은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며 중소기업의 성장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함.

 

□ 시사점 및 전망

 

 ○ 미 정부의 이와 같은 초고속 광대역 통신망 확장사업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향후 5년간 관련 시장 발전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며, 광대역 통신망 관련 제품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 미국의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 증가는 인터넷을 이용한 의료정보기록(EMR) 서비스, 그린 환경기술, 게임, 디지털 교육, 텔레콤 등 IT산업과 기타 산업 전반의 급속한 발전 가능성을 의미함.

 

 ○ 미국의 주요 언론들은 초고속 광대역분야 세계 1위로 빠른 속도와 저렴한 가격을 동시에 제공하는 한국의 인터넷 시장을 좋은 성공사례로 보도함. 우리 기업은 한국의 선진 광대역 통신망 구축 기술과 저렴한 가격을 경쟁력으로 내세워 미국 시장에 어필해야할 듯

 

 

자료원 : CNN, Broadband.gov, McKinsey Quarterly, IBIS World, 미 인구조사국, 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FCC), US Internet Industry Association, Pewinternet.org, Akamai, scribd.com, KOTRA 댈러스KBC 종합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신성장산업기술] 美 초고속 광대역통신망 확장사업 핫 이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