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성장산업기술] 인도의 로봇산업 현황
- 경제·무역
- 인도
- 첸나이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06-30
- 출처 : KOTRA
-
인도의 로봇산업 현황
□ 세계 로봇 시장 현황
ㅇ 2008년 상반기 기준, 세계 경제 위기영향으로 세계 로봇산업 관련 설비 판매량 11만3300단위량 감소. 하지만 아시아지역 국가들은 대부분 4% 이상 공급 증가 했으며(총 6만300단위), 한국의 경우 2007-08년 산업용 로봇 주문량 28% 증가 했음.(총 1만1600단위)
ㅇ 2009년에는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주요 국가(한국, 중국, 인도)의 로봇산업은 공급 증가 추세를 보임. 2010년부터 2012년까지 Robotics 관련 물류량 평균 15% 증가 예상
ㅇ 대부분의 주요 로봇산업 제조업체들은 캐나다 시장에 기반하며 신흥성장시장의 생산량 증가에 따라 자동차관련 산업분야에 대한 설비투자를 강화하는 추세임. 현재 분야별로는 일반 제조업분야가 로봇산업 시장의 절반을 차지함.
세계 산업분야별 산업용 로봇의 공급현황
자료원 : IFR Statistical Department
□ 인도 로봇시장 현황
ㅇ 빠르게 성장하는 인도의 제조업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산업현장에서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된 설비를 이용한 제품의 생산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
ㅇ 작업환경에 대한 고용자와 노동자의 인식의 변화가 생김. 자동화된 생산설비는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고품질의 제품의 생산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 이상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감수하지 않는 인도의 노동자들에게 보다 나은 작업환경을 마련하자는 인식이 확산됨.
ㅇ 산업현장뿐만 아니라 청소기와 같은 가정용 로봇 및 각종 의료기기 분야는 물론, 군사장비분야 까지 이르러 확산됨.
ㅇ 기계화되고 자동화된 생산 설비는 인도가 가진 고용문제 해결에는 걸림돌이 되지만, 인도의 제품에 비해 값싸고 품질 좋은 중국산 공산품의 파상공세와 더불어 질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원하는 인도 내 소비자의 증가로 더 이상 재래식 생산 설비만을 고집 하기가 어려움.
□ 시사점
ㅇ 인도의 부족한 인프라 시설은 제조업분야의 성장을 가로막는 요인이었음. 서비스산업 중심의 성장을 지속하던 인도의 산업구조에서 제조업 육성에 대한 중앙정부의 강한 의지를 피력함. 중앙 정부의 이러한 정책 기조 아래 인도의 제조업시장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며, 제조업 분야의 성장은 인도의 로봇산업의 폭발적인 수요를 가져다 주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함.
ㅇ 인도 내 대규모 박람회(ACMEE)개최 등 관련 산업분야 교류 활발. 한국기업들의 적극적 진출방안 모색 필요
자료원 :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Statistical Department, KOTRA 첸나이KBC 의견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신성장산업기술] 인도의 로봇산업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인도네시아, 높아지는 내수시장 보호장벽을 진출기회로
인도네시아 2009-01-09
-
2
베트남, 철강 수입 증가세
베트남 2008-03-12
-
3
인도, 일하기 좋은 상위 50개 기업 발표
인도 2008-06-04
-
4
[녹색정책] 인도, 전자폐기물 처리규제 강화된다
인도 2009-12-21
-
5
인도 농업용 트랙터산업, '07/08 회계연도 15% 이상 성장
인도 2008-09-15
-
6
인도네시아인들이 선호하는 식음료 브랜드(1)
인도네시아 2010-04-28
-
1
2025 인도 반도체 산업 정보
인도 2025-07-07
-
2
2024년 인도 철강산업 정보
인도 2025-01-03
-
3
2024 인도 섬유 산업 정보
인도 2024-11-29
-
4
2024년 인도 화학산업 정보
인도 2024-11-25
-
5
2024년 인도 문구 및 미술 용품 산업 정보
인도 2024-10-16
-
6
2024년 인도 해양 산업 정보
인도 2024-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