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中, 화장품 시장동향 분석
  • 트렌드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10-06-24
  • 출처 : KOTRA

 

中, 화장품 시장동향 분석

- 지역간 차이 강하고 시장 세분화 추세 보여-

- 고기능성 수입 화장품, 한국산 중저가 화장품 인기몰이 -

 

 

 

□ 시장동향

 

 ○ 중국 화장품시장, 세계 3대 시장으로 자리매김

  - 중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중국인들의 소비수준 향상은 화장품산업의 빠른 발전을 대동함. 최근 몇 년간 화장품 판매 총액의 연 성장률은 전체 소비재 판매총액과 비교해 10% 이상 높은 수준임.

  - 통계에 따르면 2009년 소비재 소매총액은 12조5300억 위앤으로, 이 중 화장품 판매총액은 전년 동기대비 17.5% 증가한 800억 위앤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남.

  - 중국 화장품 시장은 미국과 일본을 뒤이어 세계 3대 화장품 시장으로 자리매김함. 2010년 중국의 전체 화장품 판매시장규모는 1200억 위앤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됨.

 

 ○ 지역 간 차별 선명함

  - 차별적인 중국의 지역별 경제발전 상황에 따라 화장품 산업 또한 생산과 소비를 막론하고 지역적으로 큰 차이를 보임. 생산과 소비가 가장 활발한 지역은 동부연해지역으로 차례로 중부와 서부 순임.

  - 상하이, 베이징, 장쑤, 광둥, 저장, 산동 등 6개 성시의 소비총액은 전국의 57%, 산동을 제외한 나머지 5개 지구의 매출이 전국 총 매출액의 50%를 점유함.

 

 ○ 시장 세분화

  -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관심 증대로 기존의 여성 화장품시장은 브랜드별 기초 화장품에서 색조화장품, 기능성 화장품까지 그 기능과 제품이 다양함.

  - 남성용 화장품시장 역시 빠르게 성장하며 어린이용, 노인용 등 연령별로 화장품 세분화 추세임.

 

 ○ 종류별 화장품 선호도

  - 종류별 화장품 선호도는 스킨케어 화장품, 색조화장품, 향수, 헤어용품, 바디용품 순으로 나타남.

 

종류별 화장품 선호도

자료원 : data.baidu.com

 

□ 생산동향

 

 ○ 생산공장 4000여 개, 그 중 절반 이상이 광동에 밀집

  - 중국 화장품공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2008년 중국의 화장품 생산공장은 4356개로, 주로 홍콩, 광둥, 상하이, 장쑤, 베이징, 산동 등에 분포돼 있음. 전체 생산공장의 50% 이상이 광둥지역에 집중

  - 국산 브랜드 외에도 프랑스의 L’OREAL, 미국의 Johnson & Johnson, 한국의 DEBON과 일본의 SHISEIDO 등 유명 수입 브랜드들도 중국에 생산공장을 설립함.

 

□ 수입동향

 

 ○ 화장품 수입 성장률 급증

  - 2008년 중국 화장품 공업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중국의 화장품 수입은 평균 30%이상의 성장률을 유지했으며 수입제품의 대부분은 명품 브랜드인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은 4대 수입대상국으로 한국산 화장품의 수입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속도를 꾸준히 유지함.

 

 ○ 몇몇 주요 국가가 강세

  - 최근 중국의 화장품 주요 수입 대상국은 프랑스, 일본, 미국, 한국의 4개국으로 이들 국가의 화장품 수입량은 전체 화장품 수입의 83.7%를 차지. 2008년 85%, 2009년 84.4%로 개별 수입국의 집중도는 날로 높아지는 추세

 

□ 경쟁동향

 

 ○ 외국 브랜드, 첨단과학기술을 접목시킨 고기능성 화장품으로 시장을 장악

  - 중국 화장품 사이트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판매된 수입 브랜드 화장품 판매량은 전체의 60%로, 그 금액은 전체 판매액의 90%에 달함.

  -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브랜드는 L’OREAL이며, 상위 10위권 내에 진입한 중국 본토 브랜드는 DABAO가 유일함.

  - 고급 화장품시장은 수입브랜드가 선점함. 첨단과학기술을 접목시킨 고기능성 화장품들은 대부분 수입 브랜드제품으로 2009년 고급 화장품시장의 80%를 유럽과 미국 등 수입 브랜드가 점유

  - 대표적인 외국 브랜드로는 L’OREAL, AUPRES, Clinique, LANCOME, Shiseido, Dior 등이 있음.

  - 색조화장품은 수입브랜드와 국내브랜드가 각각 절반씩 점유. 클렌징제품의 경우 오히려 국내 브랜드가 우세한 편

 

 ○ 중국의 한방 화장품 HERBORIST 등 약진 두드러져

  - 2008년 HERBORIST(佰草集)의 판매액은 30억 위앤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됨. 이 브랜드는 외국 브랜드들이 즐비한 고기능성 화장품들 사이에서 유일한 국산 유명 브랜드로 성장함.

  - 최근 인기몰이 중인 국내브랜드 SINOWAY HERB 역시 한방 화장품임. 이 브랜드는 중저가 브랜드로 지난해 50%의 성장률을 보임. 2007년 벤처투자를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성장률은 70%에 달함.

 

연령별 중저가 화장품 선호 브랜드

브랜드

생산업체

주요 사용대상

사진

가격

Mininurse

(小士)

麗斯達

17~24세 여성

바디로션

75ml ¥17~¥30

Clean &Clear

(强生)

上海

16~20세

 초, 중학생

바디로션

30ml ¥20~¥28

Johnson’s

(强生)

上海

0~5세 아동

바디로션

100ml ¥15~¥33

CATHY

(佳雪)

廣州雅倩

20~26세 여성

바디로션

50ml ¥26

Dabao

(大)

北京大寶

남성 소비자 위주

바디로션

165ml ¥11

 

 ○ 한국산 중저가 브랜드의 인기몰이, 가격대비 품질 만족도 높아

  - 중국 소비자들은 한국산 화장품을 기타 외국 브랜드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면서 품질이 좋은 제품으로 인식함. THE FACE SHOP, skin food등은 대학생을 비롯한 사회초년생들에게 인기를 얻음.

  - DCC 자료에 따르면 THE FACE SHOP은 고객만족도 4.12점으로 브랜드 순위 5위를 차지함.

  - 한국산 고급화장품의 경쟁력은 유럽 브랜드 제품에 비해 낮은 편으로 고급 화장품의 매출성적이 중저가 브랜드에 못 미치는 경우도 있음. 고급화장품을 찾는 소비자들은 대부분은 L’OREAL 등 유럽이나 미국의 브랜드들을 선택함.

 

 ○ 짝퉁 화장품 기승, 한국 화장품 인지도에 악영향

  - 중국 소비자들은 방문판매, 홈쇼핑, 인터넷판매 및 잡화상 등 비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한국 화장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음. 그러나 이런 곳에서 판매하는 상품은 제품의 진위여부를 가려내는데 어려움이 있음.

  - 실제로는 한국 화장품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화장품이라고 광고를 해 한국 제품의 인지도와 신뢰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음.

 

□ 수입 동향

 

 ○ 국가별 및 지역별 수입 통계

국가별 수입 통계

                                                                                                         (단위 : 백만 달러, %)

국가

2008

2009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995.642

248.7

867.368

153

Guangdong PE (廣東省)

35,719

34.7

51,051

42.9

Shanghai CY (上海)

358,316

81.8

378,321

5.6

Beijing CY (北京)

9,182

-57.1

13,310

45.0

Henan PE (河南省)

1,438

85.5

2,813

95.6

Zhejiang PE (浙江省)

6,879

99.2

7,612

10.7

Jiangsu PE (江蘇省)

53,108

38.1

44,283

-16.6

Shandong PE (山東省)

531

-33.8

370

-30.2

                   자료원 : www.kita.net

 

  - 한국에서 수입하는 화장품은 반드시 중국 국가 식약품감독관리국(SFDA)의 ‘수입 특수용도 화장품 위생 허가증 비준’이나 ‘수입 비 특수용도 화장품 기록증서’ 등을 받아야 함.

  - 2009년 10월 1일부터 중국에서 판매하는 화장품들은 새롭게 수정된 ‘제품 사용설명 화장품 통용라벨 GB5296.3-20 08’의 표준에 부합해야 함. 이 표준은 화장품 구매 시 소비자들이 명확히 볼 수 있도록 표시성분과 첨가량을 표기하도록 돼 있음.

 

□ 진출방안

 

 ○ 제품에 맞는 가격대와 판매경로 설정

  - 최근 2~3년 중국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고가와 저가 제품으로 양분되는 등 세분화를 심화함. 무엇보다 자사제품의 품질, 종류, 현지 판매망 확보 여부 등을 고려해 적합한 판매경로를 정하는 것이 중요함.

 

 ○ 유능한 사업 파트너, 대리상과 협력

  -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본격적인 마케팅을 하기 전에 위생허가증, CIQ, 상표권 취득 등 해결해야 하는 절차가 많이 있음. 또한, 초기광고, 판매망 구축에 비용부담도 적지 않으므로, 유능한 협력파트너나 대리상은 중국시장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

 

 ○ 장기적 시각으로 중국시장 개척

  - 중국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비교적 높지만, 선진국 브랜드에 비해 브랜드관리 차원의 노력이 부족하고 시장 투자에 인색하다는 평가를 받음.

  - 중국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단기적 성과에 연연하지 말고 장기적으로 중국시장에서 자리잡겠다는 전략이 필요

  - 광고비용을 늘리고, 현지 대리상 관리에 좀 더 신경을 써야함. 한 번에 여러 대리상 활용하는 것은 단기 이윤 창출에는 유리하지만, 가격질서나 브랜드 이미지에 손상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함.

 

□ 제품별 HS Code 및 관세

 

HS Code

3304

단위

관세

6.5%

증치세

17%

                     자료원 : 2010 중국세관통계

 

 

정보원: KOTRA 칭다오 KBC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화장품 시장동향 분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