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말레이시아 10차 계획-건설 프로젝트
  • 통상·규제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정영종
  • 2010-06-18
  • 출처 : KOTRA

     

건설 프로젝트 - 10차 말레이시아 계획

- 민영화 및 공공-민간 파트너십 57개 프로젝트 예정 -

 

 

 

□ 10차 말레이시아 계획(10MP: The 10th Malaysian Plan)은 말레이시아를 고소득 국가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계획안은 올해 6월 10일 말레이이사 총리에 의해 발표됨.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실행될 이 계획을 위해 약 2300억 링깃을 배정함.

 

 

 ○ 10MP기간에 예상되는 평균 건설 성장률은 매년 약 3.7%임.

     

□ 건설 프로젝트

     

 ○ 630억 링깃 규모의 52개 단기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될 예정이며, 이들 프로젝트는 공공-민간 파트너십(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방식으로 추진될 예정임.

  -190억 링깃 규모의 7개 유료 도로 건설 프로젝트가 계획 중임. West Coast Expressway, Guthrie-Damansara Expressway, Sungai Juru Expressway, Paroi-Senawang-KLIA Expressway등이 건설될 예정임.

  - 100억 링깃 규모의 2개 석탄 화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가 계획 중임. 그 중 1개는  Nenaga Nasional Berhad가 소유하는 발전용량 2000MW Janamanjung발전소의 확장 프로젝트임(http://www.tnb.com.my/tnbj/). TNB는 2015년까지 건설될 예정인 Bakun 수력발전소가 기간 내에 완공되지 못할 것을 대비해 Janamanjung발전소의 확장을 결정함. TNB는 현재 발전소의 발전용량인 2000㎿(1000x2)에서 2100㎿(700㎿x3)으로 증강시킬 예정이며 예상비용은 최소 약 60억~70억 링깃임. Manjung시설은 Tenaga Janamanjung Sdn Bhd의 자회사임. TNB는 내년까지 설계, 조달, 건설과정의 입찰이 진행되고 건설업자와 계약이 차질 없이 성립될 수 있도록 설계사를 지정하거나 자체 설계를 시행할 것으로 예상함. Janamjung은 민자발전소(IPP: independent power producer)이며, 확장 프로젝트가 진행된다면 TNB의 과거 경험으로 볼 때 과거 민자발전소(IPP) 건설방식보다 이 네 번째 PPA (Power Purchase Agreement)가 TNB에 보다 적합한 방식일 것으로 평가함. 이 PPA는 민간발전소가 TNB에 제공했던 조건보다 더 좋은 조건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임. 두 번째 프로젝트는 Johor주에 위치한 발전용량 800MW Tanjung Bin 발전소의 확장 프로젝트임. 이 프로젝트는 ㎿당 100만 달러규모로 확장될 예정임. Malakoff Cor Bhd의 자회사인 MMC Corporation Berhad(www.mmc.com.my)가 주관하는 프로젝트로, 전력 수요증가 대비가 주요한 목적임.

  - 말레이시아 고무협회(MAlaysian Rubber Board)는 Selangor주 Sungai Buloh에 있는 3300에이커의 땅에 100억링깃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임.

  - 5개의 Universiti Teknologi MARA 지방 캠퍼스 설립(www.uitm.edu.my)

  - 콸라룸푸르 Angkasapuri Complex를 Media City로 재개발

     

 

  - Angkaspuri는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부(Ministr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Culture)의 정부소유 건물이며 RTM(Radio Television Malasia)의 본부이기도 함.

  - Selangor주 Gombak에 통합운송터미널(ITT:Integrated Transport Terminal)이 약 2억 링깃 규모 비용으로 건설될 예정임. 이 터미널은 Gombak LRT역에서 5분 거리에 있는 약 13㏊의 땅에 위치할 예정임. 프로젝트는 두 단계에 걸쳐서 진행됨. 첫 번째에서는 9개월간 1개 블록의 건물을 완성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그 보다 큰 건물의 건축이 진행될 예정임.

  - Penang Port Sdn Bhd(www.penangport.com.my)의 민영화

 

 ○ 몇몇의 GLC(Government Link Company) 프로젝트 또한 진행 중임.

  - 1Malaysia Development Berhad(1MDB)는 400ac 규모의 Sungai Besi 공항을 재개발하는 프로젝트를 계획 중임. EPF(Employees Provident Fund)(www.kwsp.gpv.my)와 민간부문이 공동으로 협력해 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올해 3월 신경제모델(NEM: New Economic Model) 발표와 함께 보도됨. 프로젝트를 수주할 잠재 기업으로는 EPF가 지분 41.92%를 소유하는 MRCB가 지목함.

  - KL 국제 금융지구(KL International District) 개발

  - Petroliam Nasional Bhd는 30억 링깃 규모의 천연가스(LNG) 재기화(regasification)플랜트를 Melaka주에 건설할 계획임.

  - 180억 링깃 규모의 2개 알루미늄 제련소 설립될 예정임.(Sarawak주의 재생에너지 개발지구)

     

 ○ 펀드형식으로 자금조달이 검토되는 프로젝트

  - Land Reclamtion in Westport in Port Klang

  - Malaysia Truly Asia Centre in Kuala Lumpur

  - Senai High Techonlogy Park in Iskandar Malaysia, Johor

  - Raw Water Supply for Industrial Complex in Tanjung Langat, Johor

     

 ○ 말레이시아에 초점

  - 현재 말레이시아의 주요 이슈는 빈곤임. 인프라를 향상시키는 것이 빈곤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 방법임. 10차 말레이시아 계획은 지방의 도로, 송수설비, 전력 및 주택건설과 같은 기본 인프라 구축이 포함돼 있음. 관련 프로젝트의 참여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은 이 말레이시아 현지의 기업들과 협력해 추진하는 것임. 참고로 사라왁주는 2010말과 2011초 선거가 있으며 동 말레이시아에서 진행되는 대부분의 건설 프로젝트는 현지의 건설업체가 수주함.

   

 ○ LRT 및 MRT 건설

  - 10차 말레이시아 계획에는 34㎞가량의 LRT 확장 계획 또한 포함됨. 이 계획은 이미 실행단계에 있고 PQ 통과된 업체들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이유로 프로젝트 낙찰자 선정이 내년으로 연기됨: (i) Ampang라인의 정렬문제, (ii) MRT(Mass Rapid Transit) 설치를 위한 통합되고 체계적인 계획 수립 필요가 그 이유임. 현재 제안된 MRT라인은 KLCC 반경 20㎞ 안에 지상 및 지하 선로를 건설하는 것이며, 건설은 공공-민간 파트너십(PPP: Public-Private Partnership)으로 이뤄질 예정임. LRT와 MRT 라인 확장 외에도 모노레일의 확장 또한 제안됨. MMC Coproration과 Gamuda는 공동사업으로 KL에 더 많은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대규모 MRT 프로젝트를 정부에 제안한 바 있음.

     

 ○ 전철 복선 연장 프로젝트

  - Gemas부터 Johor Bahru까지 EDT(Electrified Double Track)의 남부라인을 확장하는 프로젝트 또한 계획 중임. 이 프로젝트는 중국 거점의 건설업체들이 선정될 것으로 예상됨. Seremban에서 Gemas를 잇는 라인은 인도 거점기업인 Ircon이 수주했음. 대부분 말레이시아 현지 건설업체는 하도급 공사를 수행하게 됨.

 

□ 진출 전략

 

 ○ 10차 말레이시아 계획 아래에 있는 프로젝트 리스트는 2010년 8월에 공고할 예정임.

  - 프로젝트 관련 현재 가장 중요한 이슈는 자금조달과 실행계획안이라고 전문가가 전함.

  - 5년 단위 프로젝트들의 마감기한이 확정되면 지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정부의 역할이라고 덧붙임.

  - 해외투자자들은 9차 말레이시아 계획아래의 프로젝트 중 실행되지 않은 것이 많은 것으로 미뤄 10차 말레이시아 계획아래의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반응임.

     

 ○ 프로젝트 수주업체 명단

Name of company

Potential project

Kumpulan Europlus(www.keuro.com.my)

West Coast Expressway

IJM Corporation Berhad(www.ijm.com)

West Coast Expressway

WCT Bhd(www.wct.com.my)

Highway

Mudajaya Group Berhad(www.mudajaya.com.my)

Highway

Naim Holding Berhad(www.naim.com.my)

Sarawak construction

Hock Seng Lee Berhad(www.hsl.com.my)

Sarawak construction

Gamuda Berhad(www.gamuda.com.my)

Highway, MRT

MMC Corporation Berhad(www.mmc.com.my)

Coal Plant, KL MRT, Senai High Tech Park

(MRCB) (www.mrcb.com.my)

Development of Malaysian Rubber Board land in Sungai Buloh

자료원 : The Star and OSK

 

  - 말레이시아의 대부분의 대규모 프로젝트는 현지 업체들이 수주함. 따라서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현지 업체와 협력하는 것임.

 

 ○ 민간부문에서의 프로젝트 자금 조달을 촉진시키기 위해 200억 링깃가량의 펀드가 10차 말레이시아 계획 아래 조성될 예정임. 이 펀드는 막대한 경제 유발효과가 있는 프로젝트에 대한 민간부문의 투자를 활성화시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유동성 부족을 해소할 목적으로 조성됨. 10차 말레이시아 계획 동안 약 2000링깃 정도의 투자가 유치될 것으로 기대됨.

     

 ○ 10차 말레이시아 계획은 공공 벤처캐피털기업에 대한 파이낸싱 방법을 개선함. 현재 Malaysian Technology Development Corporation(www.mtdc.com.my)와 Malaysian Venture Capital(www.mavcap.com)와 같은 공공 벤처캐피털 회사에 대한 정부의 재정이 장기융자형식으로 제공됨. 이 계획을 통해 벤처캐피털 투자의 위험을 부담하는 지분 형태로 자금을 지원함.      

  - MIF(Muharabah Innovation Fund)는 정부 벤처기업에 약 5억 링깃의 배당금을 위험자본(risk capital)으로 제공할 예정임.

  - 정부는 하이테크 제품 제조업체들의 사업 초기자본 지원을 위해 초기 지원자금 약 1억5000만 링깃의 Business Growth  Fund를 조성함. 이 펀드는 하이테크 분야 업체들이 독립적으로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 때까지 충분한 자금을 지원해주기 위함임.

 

 

자료원 : New Straits Times - TNB may expand Janamanjung plant-19 April 2010, The Star - Integrated Transport Terminal project to start in June-13 April 2010, New Straits Times - 52 high-impact projects- 11 June 2010, 10thMalaysiaPlanpublication, OSK – 10 Malaysia Plan – 11 June 2010, KOTRA 콸라룸푸르 KBC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10차 계획-건설 프로젝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