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캄보디아를 달리는 한국산 자동차
  • 트렌드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04-12
  • 출처 : KOTRA

 

캄보디아를 달리는 한국산 자동차

- 한국산 중고 자동차 수요의 급증 -

- 수요 특성에 기반을 둔 중고 자동차시장 공략이 필요한 시점 -

 

 

 

□ 눈에 띄기 시작한 캄보디아 자동차 시장

 

 ㅇ 캄보디아에서는 지난 수년간 빠른 경제성장을 이룩해 국민의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특히 상류층  특권층의 소비가 증가. 달라진 캄보디아 국민 생활상은 운송수단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 과거 오토바이만을 이용했던 것과 달리 현재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눈에 띄게 증가.

 

 ㅇ 철도 시스템이 잘 갖추어지지 않은 캄보디아 내에서 여행, 운송수단으로 자동차의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음. 수년간 약 300%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2009년 프놈펜 자동차 등록  약 8만 대 기록.

 

□ 국민들의 소득수준에 기반을 둔 중고 자동차 시장의 활황

 

 ㅇ 캄보디아 자동차 시장은 일인당 GDP 600달러 내외로 최빈국인 캄보디아 국민의 소득수준에 기인, 주로 중고차를 중심으로 형성돼있으며 경제회복세에 따라 신차구입이 증가할 전망.

 

 ㅇ 2008년 캄보디아 자동차 수입금액은 291,311,781달러로 2006년 대비 309% 증가. 2006년 ~ 2008년 연평균 176%의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며 특히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도 견조한 성장기조를 유지.

 

 ㅇ 주요 수입국으로는 태국, 한국, 일본, 미국 등이 있으며, 이 네 국가가 전체 수입금액의 90%를 차지. 한국은 2,3위 수입국으로 전체 수입금액의 평균 22%를 차지하며 절대 수입금액을 늘려가며 내실있는 성장세를 지속 중.

 

대 캄보디아 자동차 수입금액 추이

  (단위 : US$ 천)

      자료 : 캄보디아 세관

 

대 캄보디아 자동차 수입금액 국별 추이

      (단위 : US$ 천, %)

 

2006년

2007년

2008년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태국

19,505

 21

42,094

 23

 85,328

 29

미국

 4,324

  5

 8,619

  5

 83,068

 29

한국

23,029

 24

39,592

 22

 51,904

 18

일본

39,235

 42

71,485

 39

 39,727

 14

기타

 8,158

  9

19,386

 11

 31,283

 11

합계

94,253

100

181,178

100

291,311

100

        자료 : 캄보디아 세관

 

□ 캄보디아를 달리는 한국산 자동차

 

 ㅇ 캄보디아에서는 일본산, 한국산 자동차를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음. 승용차 시장은 일본산이, 트럭, 버스, 12인승 이상의 승합차 시장은 한국산이 주를 이루며.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SUV차량은 미국산·일본산이 대부분이고 한국산은 찾아보기 힘듦.

 

 ㅇ 한국산 트럭, 버스, 승합차는 중고차 기준 톤수, 모델에 따라 가격대가 5000~4만 달러에서 형성되고 차량상태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임.

 

모델

조건

가격

H사 M용달차

98~99년, 2.5~3.5톤

9,000~19,000달러

H사 P용달차

96~97년, 1톤

~5,300달러

 H사 I승합차

95~00년, 12인승

5,000~6,300달러

H사 S승합차

97~05년, 12인승

6,000~18,000달러

K사 B용달차

95~00년, 1~1.4톤

 5,000~8,000달러

H사 버스

99~02년, 45인승

27,000~40,000달러

 

 ㅇ 수입관세

 

차 종류

일반관세

특별관세

부가가치세

종합

 승용차

35%

45%

10%

115.77%

 트럭 및 버스

15%

10%

10%

 39.15%

 

□ 캄보디아 내 한국산 자동차의 성패 가능성

 

 ㅇ 한국산 자동차는 일본산과 비교, 질적으로 비슷하지만 저렴. 가격민감도가 높은 캄보디아 구매자들의 특성에 기인, 한국산 자동차 수요는 점증하고 있으며 이는 공급업자와의 높은 수익성과도 연계돼 캄보디아 내 한국산 자동차 수요·공급의 선순환이 이루어지고 있음.

 

 ㅇ 경제위기의 여파로 개개인 취급업체 매출이 떨어졌으나 그 와중에서 매년 수입금액을 늘려가고 있는 한국의 모습은 상당히 고무적이며 앞으로의 전망 역시 밝음. 가격, 질적 측면에서 우위에 있는 한국산 상용차의 판매가 더욱더 두드러질 전망이며 경제회복과 함께 신차수요가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신차판매 공략에도 적극적으로 임해야 할 시점.

 

 ㅇ 또한 최근 일본 도요타의 차량 대량 리콜 사태와 같은 경쟁업체의 위기는 한국산 승용차에 기회임. 이를 잘 살릴 수 있는 수출, 판촉 전략이 필요할 것이라는 전망.

 

 

자료원 : 캄보디아 세관, 경제 일간지, 업체 방문 인터뷰, 프놈펜KBC 자체조사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캄보디아를 달리는 한국산 자동차)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