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색산업기술] 말레이시아, 녹색기술부문에 금융지원
- 경제·무역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정영종
- 2010-04-07
- 출처 : KOTRA
-
말레이시아, 녹색기술 부문에 금융지원
- GTFS, 15억 링깃 예산 배정 -
□ 녹색기술 금융지원 계획(GTFS: Green Technology Financing scheme)
○ GTFS는 말레이시아의 녹색기술 발전을 위해 정부가 도입한 금융지원 프로그램임. 2010년 총리의 예산안 발표 중 녹색기술 부문에 총 15억 링깃의 예산이 배정됨.
- 2009년 7월 24일 발표된 GT(Green Technology)에 의하면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제품이나 장비는 GT 프로젝트로 분류된다고 함.
(1) 환경파괴 최소화함.
(2) 온실가스를 감소시킴.
(3) 생물과 환경을 보존하고 사용하기에 안전함
(4) 에너지와 천연가스 보존을 도움
(5) 재생에너지 사용을 촉진함.
○ 4가지 핵심산업부문
- 에너지 : 전력 생산과 에너지 공급관리 부문 : 산업·상업부문, 에너지 활용부문, 관리 프로그램 수요 부문
- 수자원과 폐기물 관리 : 수자원 활용 관리, 폐수 처리, 고형 폐기물 및 쓰레기 매립지
- 건물 : 건축, 관리, 유지 및 철거
- 운송 : 대중교통 인프라, “녹색” 자동차 및 바이오연료
○ 해당 계획은 신규프로젝트 및 자본이 제공되지 않은 GT부문 확장·보강 프로젝트만이 적격 프로젝트로 인정됨. 일부라도 이미 자금조달을 받는 프로젝트는 해당하지 않음. 이미 프로젝트·건설이 진행 중이거나 또는 완성된 프로젝트는 지원되지 않음.
○ GTFS는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함. 신청자는 www.gtfs.my로 접속, 전자신청서를 작성해 제출 가능함. 신청은 2010년 1월 1일부터 접수가능하며 이후 3년간 15억 링깃이 소진될 때까지 선착순으로 선정됨.
○ 이 지원계획은 금융기관에 따라 부과되는 이자율과 수익이 달라짐. 정부는 총 수익·이자율의 2%를 부담하고, 은행 융자의 60%를 보증함. 신청자에게는 GT 관련지식 트레이닝이 제공될 예정임.
○ 신청기간
- 기술심의는 유효한 신청서가 PTM에 의해 접수되고 프로젝트 증명서가 발급된 이후부토 약 21일이 소요됨. 자금조달 과정은 융자신청 필수요건이 만족된 날로부터 약 30~60일 소요됨.
- 융자금액 한도설정은 금융기관에 따라 다르나, 생산자의 경우 최대 5000만 링깃까지 가능하며 사용자의 경우 1000만 링깃임.
○ 해외기업은 GTFS 지원 자격이 없으나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 가능함.
- 생산자 : 회사 내 모든 경제적 영역에서 51% 이상이 합법적으로 말레이시아 소유인 기업
- 사용자 : 회사 내 모든 경제적 영역에서 70% 이상이 합법적으로 말레이시아 소유인 기업
○ 해당 재정계획의 대출보유기간은 GT 사용자 10년, GT 생산자 15년임.
□ 정부의 녹색기술 육성 노력
○ 정부는 녹색기술이 장차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말레이시아 에너지센터를 녹색기술센터(National Green Technology Centre:www.ptm.org.my)로 재편성함.
- 재편성된 녹색기술센터는 말레이시아의 녹색기술발전계획을 체계화하는 임무를 맡음.
- 위 센터는 녹색기술을 개발하고 촉진하는 데에 초점을 맞춤. 녹색기술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친환경 생활방식을 실천하는 것이 주목적이며, 2000만 링깃의 배당금이 지급됨.
○ 10차 말레이시아 계획 아래 지어진 모든 건물은 이중 물 내림 변기나 에너지절약 전구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녹색기술제품이 있어야 함.
- 학교, 병원, 경찰서 등의 건물이 이에 속함.
-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새 5개년 계획은 2010년 7월 10일에 공고될 예정임.
○ Datuk Peter Chin 에너지 녹색기술 및 수자원부 장관은 신규 건물 내에 에너지 절약 제품(에너지 절약 전구, 에어컨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공공사업부에 지시했다고 함.
○ 정부는 건물에 설치될 변기 또한 이중 물 내림 시스템으로 할 예정이라고 함.
- 말레이시아는 평균 300리터의 물을 사용함. 이는 UN의 권장량의 두 배임. 이에 따라 물 절약 대책
이 요구됨.
□ 진출전략
○ GTFS는 3년 동안 140개 이상의 기업에 혜택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현재까지 에너지 녹색기술 및 수자원부에서 녹색인증을 얻어 자금조달을 받은 기업은 Pesaka Technologies Sdn Bhd 하나임.
말레이시아 주요 녹색기술관련 기업
회사명
프로젝트명
산업부문
분류
1
YTL Waste Management Sdn Bhd.
Green Technology Plastic Laminate
Film Recycle
Waste & Water
생산자
2
Mushkin Sdn Bhd.
RoboFlex III Green Technology
Project (RGTP)
Energy
사용자
3
Pascorp Paper Industries Berhad
Paper Mill Production Line
Expansion And Construction Of
Waste Water Treatment Plant
Waste & Water
생산자
4
Green Pluslink Sdn Bhd.
Waste Recycling Type
Management Project
Energy
사용자
5
Versatile P4 Power Resources Sdn Bhd.
Biomass Power Plant
Energy
생산자
6
Kris Biofuels Sdn. Bhd.
Kris Biofuels Project
(Micro Refinery Skid)
Waste & Water
생산자
7
Pesaka Technologies Sdn Bhd.
The Development of Small Hydroelectric
Power Plant Under The Small Renewable
Energy Power (SREP) Programme
at Sungai Brooke, Lojing, Gua Musang,
Kelantan, Malaysia.
Energy
생산자
8
H-Max(M) Sdn Bhd.
Manufacturing/supplier High Technology
LED Lightings using patented
Korean technology
Energy
생산자
9
Pollution Engineerings(M)
Sdn Bhd.
HiWave Facility to Convert Organic
Waste to High Grade Fertilizers
and Electrcity for Malaysia
Water & Waste
생산자
자료원 : PTM
○ 관련 이벤트
- International Greentech & Eco Products Exhibition & Conference Malaysia
장소 : Kuala Lumpur Convention Centre, Malaysia
날짜 : 2010년 10월 14~17일
웹주소 : http://www.igem.com.my/
- A Carbon Nuetral Conference On Sustainable Building South-east Asia
장소 : Kuala Lumpur Convention Centre, Malaysia
날짜 : 2010년 5월 4~6일
자료원 : New Straits Times – Green’ light for all new govt buildings – 21 October 2009, The Star- Minister hints at incentives for using green technology-21 October 2009, New Straits Times - Minister hints at incentives for using green technology-21 October 2009, Bernama – National Green Tech Centre formed: Najib – 23 October 2009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산업기술] 말레이시아, 녹색기술부문에 금융지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녹색정책]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 지원제도(FiT), 2011년부터 시행
말레이시아 2010-11-09
-
2
2012년 이후 말레이시아 발전산업 판도 변화
말레이시아 2014-08-13
-
3
말레이시아, 천연가스산업 현황
말레이시아 2010-11-30
-
4
[녹색정책] 말레이시아, 발전차액지원제도 도입 연기
말레이시아 2011-08-27
-
5
불황의 바다에서 순항 중인 네덜란드 조선산업(1)
네덜란드 2009-11-13
-
6
인도, 자녀교육은 어릴 때부터
인도 2010-07-21
-
1
2025년 말레이시아 반도체산업 정보
말레이시아 2025-06-10
-
2
말레이시아 전기차 산업 현황과 향후 전망
말레이시아 2024-08-13
-
3
2024년 말레이시아 스마트 농업 산업 정보
말레이시아 2024-04-09
-
4
2021년 말레이시아 ICT산업
말레이시아 2022-01-14
-
5
2021년 말레이시아 자동차 산업 정보
말레이시아 2022-01-13
-
6
2021년 말레이시아 신재생에너지 산업
말레이시아 202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