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중국경제 실적] 물가 불안, 교역 급증, 부동산 과열
- 경제·무역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10-03-11
- 출처 : KOTRA
-
[2월 중국경제 실적] 물가 불안, 교역 급증, 부동산 과열
- 소비자물가보다 생산자물가 상승 폭 커 -
- 생산, 투자, 소비 증가세 지속 -
- 수출, 수입 급증 속 무역수지는 급감 -
□ 물가 : CPI 2.7%, PPI 5.4% 상승...예상보다 높아
○ 2월 소비자물가(CPI)는 전년 동기 대비 2.7% 상승(전년 동기 수치는 -1.6%)했고 전월(‘10.1월)대비로는 1.2% 포인트 상승함.
- 그 중 도시와 농촌의 상승 폭이 각각 2.6%와 2.9%를 기록함.
- 품목별로 식품가격은 6.2% 상승했으나 비식품가격은 1.0% 상승에 그침.
- 소비재 가격은 3.0% 상승했으나 서비스재 가격은 1.7% 상승함.
- 1, 2월 소비자물가 수준은 전년 동기 대비 2.1% 상승함. (전년 동기 수치는 -0.3%)
○ 2월 생산자물가(PPI. 공산품출고가격)는 전년 동월대비 5.4% 상승(전년 동기 수치는 -4.5%)했고 전월(‘10.1월) 대비로는 1.1% 포인트 상승함.
- 생산재 출고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6.8% 상승했고 생활소비재 출고가격은 1.0% 상승
- 생활소비재 품목의 전년 동기 대비 2월 출고가격은 식품류(2.0%), 의류(2.6%), 일용품(0.6%)가 상승했으나 내구성 소비재 가격은 1.4% 하락함.
- 1, 2월 공산품 출고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4.9% 상승함(전년 동기 수치는 -3.9%).
□ 공업생산 : 상승세 지속
○ 1, 2월 규모 이상 기업의 공업 부가가치액은 전년 동기대비 20.7% 상승했고 증가율 수치가 전년 동기 대비 16.9%p 상승함.
- 기업형태별로는 주식제기업의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이 22.2%로 가장 높았고, 이어 국유 및 국유지배기업(20.7%), 외국인 및 홍콩, 마카오, 대만계 투자기업(20.3%), 집체소유제 기업(13.4%)의 순으로 나타남.
- 중공업(23.7%)이 경공업(14.5%)보다 빠른 성장세를 보인 가운데 39개 대분류 업종 가운데 38개 업종이 전년 동기 대비 성장세를 보임.
□ 고정자산투자 : 3차 산업 투자 증가율 30%
○ 1, 2월 고정자산투자액은 1조3014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6% 증가함.
- 국유부문 투자(5,715억 위안)와 부동산개발투자(3144억 위안)가 각각 27.4%와 31.1% 증가함
- 투자 프로젝트 시행주체별로는 중앙정부 투자(1219억 위안, 14.0% 증가)보다 지방정부 투자(1조 1795억 위안, 28.1% 증가)가 금액과 증가율 면에서 모두 크게 앞선 것으로 집계됨
- 기업등록 유형별로는 내자기업 투자(1조1755억 위안)와 홍콩, 마카오, 대만기업 투자(561억 위안)가 각각 29.7%와 9.5%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외국인투자기업(653억 위안)은 1.4% 감소함
○ 1, 2월 산업별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1차 산업 8.9%, 2차 산업 21.0%, 3차 산업 30.9%로 집계됨.
□ 사회소비품 매출총액 : 증가세 지속
○ 1, 2월 사회소비품 매출총액은 2조505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해 전년 동기 대 비 증가율이 2.7%p 상승함.
- 도시 소비품매출액(2조748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18.4% 증가했으며 농촌지역 매출액(4304억 위안)은 전년 동기대비 15.5% 증가함.
- 주요 소비 형태별로는 요식업 수입(2806억 위안)과 상품소매액(2조2246억 위안)이 각각 17.3%와 17.9%에 증가함.
□ 대외무역 : 수출 증가율 3년래 최고, 무역수지흑자는 대폭 축소
○ 2월 수출입 총액은 1814억3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45.2% 증가함
- 그 중 수출(945억2000만 달러)과 수입(869억1000만 달러)이 전년 동기대비 각각 45.7%와 44.7% 증가함.
○ 1, 2월 수출입 총액은 3864억1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4.8% 증가함.
- 그 중 수출(2040억8000만 달러)과 수입(1823억3000만 달러)의 증가율이 각각 31.4%와 63.6%임.
- 무역수지 누계 흑자액은 217억6000만 달러로 50.4% 감소함.
□ 통화 공급 : 증가율 1월 대비 소폭 하락
○ 2월 말 총통화(M2) 잔액은 63조3천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52% 증가함.
- 증가 폭이 1월말 대비 0.56%p 하락함.
- 협의통화(M1) 잔액은 22조4300억 위안으로 34.99% 증가했고 M0(시중 유통 통화 및 지급준비금)은 4조2900억 위안으로 21.98% 증가함.
○ 2월 한 달 금융기관 대출 증가액은 7665억 위안이며 그 중 위안화 및 외환 대출이 각각 7001억 위안, 97억 달러 증가함.
- 2월 말 기준 대출 잔액은 44조79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29% 증가함.
□ 부동산가격 : 오름세 지속, 과열 우려 커져
○1, 2월 전국 부동산개발투자액은 3144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1% 증가함.
- 그 중 분양주택 투자액이 223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8% 상승함.
○ 1, 2월 전국 부동산 시공면적은 20억9700만㎡로 전년 동기 대비 29.3% 증가
○ 1, 2월 상품방 판매면적은 7155만㎡로 전년동기대비 38.2% 증가한 가운데 그 중 분양주택, 사무실, 상업용건물의 판매면적 증가율이 각각 36.6%, 84.6%, 43.0%에 달함.
○ 2월 당월 전국 70대도시의 부동산 판매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10.7% 상승해 1월 증가치보다 1.2%p 상승하며 부동산 과열 우려가 커짐.
- 2월 전국 부동산개발 경기지수는 105.47로 2009년 12월 및 2009년 전년 대비 각각 1.83, 10.61 상승함.
2010년 1, 2월 중국 주요 경제지표
지표
2010년 2월
2010년 1, 2월
절대치
증감률(%)
절대량
증감률(%)
1. 규모 이상 공업 부가가치액
…
12.8
…
20.7
경공업 및 중공업 구분
경공업
…
7.5
…
14.5
중공업
…
15.2
…
23.7
경제유형 구분
국유 및 국유지배기업
…
13.3
…
20.7
집체기업
…
7.1
…
13.4
주식제기업
…
13.9
…
22.2
외자 및 홍콩, 마카오, 대만기업
…
12.1
…
20.3
주요 업종별 증가치
방직업
…
4.2
…
13.3
화학원료 및 화학제품제조업
…
16.7
…
25.1
비금속광물제조업
…
15.9
…
23.2
일반설비제조업
…
13.8
…
22.3
교통운수설비제조업
…
28.4
…
43.7
전기기계 및 기자재제조업
…
8.7
…
18.9
통신설비, 계산기, 기타 전자설비제조업
…
16.6
…
26.5
전력, 열 생산 및 공급업
…
10.3
…
17.2
흑색금속 야금 및 압연가공업
…
15.0
…
20.9
주요 생산품 생산량
원탄(억 톤)
2.1
11.9
4.7
30.5
원유(만 톤)
1,511
5.8
3,198
5.8
발전량(억 ㎾h)
2,696
7.9
6,090
22.1
생철(만 톤)
4,750
17.2
9,723
22.3
조강(만 톤)
5,036
22.5
10,289
25.4
강재(만 톤)
5,559
18.1
11,736
27.7
시멘트(억 톤)
0.8
4.8
2.0
26.5
자동차(만 대)
123
46.7
285
89.7
그 중 : 승용차(만 대)
62.1
47.5
148
87.7
상품 판매율(%)
96.9
-0.2p
97.2
0.1p
수출화물 인도(억 위앤)
5,238
13.1
11,171
22.5
2. 도시 고정자산투자(억 위앤)
…
…
13,014
26.6
그 중 : 국유 및 국유지배
…
…
5,715
27.4
그 중:부동산 개발
…
…
3,144
31.1
프로젝트 소속 관계
중앙 프로젝트
…
…
1,219
14.0
지방 프로젝트
…
…
1137957
28.1
산업별
제1차 산업
…
…
118
8.9
제2차 산업
…
…
5,060
21.0
제3차 산업
…
…
7,836
30.9
업종별
석탄채굴 및 선탄업
…
…
104
24.3
전력, 열의 생산과 공급업
…
…
673
6.6
석유와 천연가스 채굴업
…
…
121
14.7
철로운수업
…
…
417
21.8
비금속광 채굴, 선별, 제조업
…
…
387
36.5
흑색금속채굴, 선별, 야금, 압연가공업
…
…
262
21.4
유색금속채굴, 선별, 야금, 압연가공
…
…
178
35.8
등록 유형별
내자기업
…
…
11,755
29.7
홍콩, 마카오, 대만투자기업
…
…
561
9.5
외국인투자기업
…
…
653
-1.4
시공, 신규 프로젝트별
시공 프로젝트 누계(건)
…
…
92,870
14,174
시공프로젝트 총 투자계획(억 위앤)
…
…
212,512
29.9
신규 프로젝트(건)
…
…
18,462
-71
신규프로젝트 총 투자계획(억 위앤)
…
…
10,616
42.7
도시투자 자금 도착액(억 위앤)
…
…
25,750
39.2
국가예산 내 자금
…
…
857
14.1
국내대출
…
…
5,721
41.1
외자이용
…
…
454
-11.8
자체조달자금
…
…
13,402
29.9
3. 사회소비품 매출총액(억 위앤)
12,334
22.1
25,052
17.9
지역별
도시
10,231
23.1
20,748
18.4
농촌
2,103
17.6
4,304
15.5
소비형태별
요식업 수입
1,381
21.2
2,806
17.3
상품판매
10,953
22.2
22,246
17.9
상품유형별(도소매업에 한함.)
양유식품, 음료, 주류, 연초
745
54.5
1,309
16.8
의류, 신발, 모자, 침방직품
553
58.4
1,105
23.3
화장품
73.8
29.5
114
15.6
금은 장신구
115
58.8
220
34.7
일용품
168
35.7
317
18.8
체육, 오락용품
23.6
33.4
44.9
10.7
가전 및 음향기기
287
52.8
638
31.7
중약, 양약
194
18.7
408
19.8
문화사무용품
70.8
10.9
159
17.4
가구
40.1
33.1
86.9
36.3
통신기자재
67.0
32.4
128
20.0
석유 및 그 제품
657
35.6
1,411
40.8
자동차
1,014
33.4
2,288
41.7
건축 및 장식재
32.7
16.5
76.0
30.5
4. 소비가격
…
2.7
…
2.1
그 중:도시
…
2.6
…
2.0
농촌
…
2.9
…
2.4
그 중:식품
…
6.2
…
5.0
비식품
…
1.0
…
0.7
그 중:소비재
…
3.0
…
2.5
서비스재
…
1.7
…
1.0
상품별
식품
…
6.2
…
5.0
연초, 주류 및 그 용품
…
1.6
…
1.6
의류
…
-1.3
…
-0.9
가정설비용품 및 서비스
…
-0.8
…
-0.9
의료보건 및 개인용품
…
2.4
…
2.4
교통과 통신
…
0.1
…
-0.2
오락교육문화용품 및 서비스
…
0.8
…
-0.2
거주
…
3.0
…
2.8
5. 공산품 출고가격
…
5.4
…
4.9
생산재
…
6.8
…
6.1
채굴
…
37.6
…
34.5
원료
…
10.1
…
9.4
가공
…
1.3
…
1.0
생활소비재
…
1.0
…
0.8
식품
…
2.0
…
2.1
의류
…
2.6
…
1.8
일반 일용품
…
0.6
…
0.3
내구성 소비재
…
-1.4
…
-1.6
6. 원자재, 연료, 동력 매입가격
…
10.3
…
9.1
유색금속재료와 전선류
…
30.1
…
28.8
연료동력
…
25.4
…
22.4
흑색금속재료
…
-2.3
…
-2.6
화공원료
…
5.4
…
4.8
자료원 : 중국국가통계국, 해관총서, 중국인민은행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월 중국경제 실적] 물가 불안, 교역 급증, 부동산 과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월 중국경제 실적] 핵심 심층 분석
중국 2010.03.11
-
1
영국・유럽 의약품 라이선스 너무 복잡하다?
영국 2010-02-17
-
2
덴마크, 남는 전력 어떻게 쓸까
덴마크 2009-09-30
-
3
필리핀, 2010년 대통령 선거 본격 점화
필리핀 2009-12-23
-
4
캐나다, 온라인게임 틈새시장 세가지 사례
캐나다 2010-06-28
-
5
美, 2010년 전국 비즈니스 환경평가 결과 발표
미국 2010-07-23
-
6
우즈벡, 1분기 GDP 7.6% 고성장
우즈베키스탄 2010-07-13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