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온라인 명품 패션시장 확대
- 경제·무역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송용진
- 2010-03-10
- 출처 : KOTRA
-
美, 온라인 명품 패션시장 확대
- 이베이, 온라인 명품 의류, 액세서리 매장 'Fashion Vault' 개설 -
- Facebook, 블로그, 스마트폰 등을 활용한 소셜네트워크 마케팅 활성화 추세 -
□ 미국 온라인 패션시장의 고공행진
○ 패션과 디지털의 만남
- 컨설팅회사 딜로이트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 5명 중 1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온라인 쇼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
- 루이비통, 랄프로렌 등 명품 패션기업들도 Facebook, Twitter, YouTube 등을 활용해 소비자들과 의사소통하면서 자사 브랜드를 홍보하는 소셜네트워크 마케팅을 적극 활용함.
- 특히 최근에는 패션 블로거들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 한 예로 미국의 13세 패션 블로거 Tavi Gevinson의 블로그 'Style Rookie'는 개설한 지 2년 만에 400만 명 이상이 방문하면서 미국 패션계에 큰 화제가 됐음.
□ 명품브랜드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
○ 이베이(eBay), ‘Fashion Vault'로 온라인 패션시장 진출
- 2008년에 세계 최대 온라인 경매 쇼핑몰 업체인 이베이는 아이폰 애플리케이션을 선보이면서 인터넷 쇼핑영역을 확대함. 이베이의 2009년 모바일 쇼핑 매출은 6억 달러였으며, 이 중에 패션분야가 전체 품목 중 1위를 차지함.
- 로리 노링턴 이베이 마켓플레이스 사장은 이베이가 온라인 의류판매 1위 업체이며, 2009년에 의류 분야에서 약 71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고 언급함.
- 이베이는 2010년 초에 최고급 백화점과 전문 매장에서만 판매하는 패션 디자이너 나르시소 로드리게즈의 컬렉션을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독점적으로 판매하면서 좋은 반응을 얻음.
- 또한 올해 3월, 유명 디자이너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웹사이트 'Fashion Vault'를 자사 웹사이트에 개설함.
- Fashion Vault는 명품 브랜드 최신 상품을 한정된 수량으로 48~72시간 동안만 할인된 가격으로 저렴하게 판매함.
- 이베이는 4월 초에 비주얼 상품 검색기능을 강화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며, 소비자는 의류, 신발 및 액세서리 등을 원하는 가격, 종류, 브랜드 등으로 나눠 쉽게 검색할 수 있음. 한편 이베이는 소비자들에게 스타일리스트들이 제안하는 코디와 최신 패션 트렌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예정임.
- 이러한 마케팅은 이베이에게 이미지 향상의 효과를, 디자이너에게는 온라인을 통한 판매 기회를, 그리고 소비자들에게는 명품을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시장전문가들은 분석함.
- 이베이의 최고경영자(CEO) 존 도나휴는 이베이의 패션분야 진출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가치와 선택의 폭 확대를, 의류업체에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유통채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함.
이베이 Fashion Vault
자료원: www.eBay.com
○ 회원제로 명품을 최대 70%까지 할인해 판매하는 길트 그룹(Gilt Groupe)
- 길트 그룹은 알렉시스 메이뱅크(Alexis Maybank)와 알렉산드라 월키스(Alexandra Wilkis)가 2007년 11월에 개설한 명품 브랜드 쇼핑몰임.
- 길트 그룹은 2009년 기준 약 200만 명 이상의 회원을 확보했으며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해 올해 4억~5억 달러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전망됨.
- 길트는 고급 명품 브랜드만 취급하며 각각의 상품을 36시간 동안 최대 70%까지 할인한 저렴한 가격에 판매함.
- 회원제로만 운영되는 길트에서 쇼핑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회원이 초대해야 회원 가입이 가능하며, 회원들에게 현재 판매되는 상품과 디자이너 소개 그리고 세일 정보 등을 제공함.
- 길트 그룹의 CEO 수잔 라인은 앞으로 가정용품, 어린이와 유아 패션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할 계획이라고 밝힘.
길트 웹사이트
자료원 : www.gilt.com
○ 명품 온라인 쇼핑몰 아이딜리(ideeli)
- 아이딜리(ideeli)는 유명 디자이너의 액세서리, 의류 및 가정용품을 최대 80%까지 할인 판매함.
- 요일별로 다양한 명품 브랜드들이 업데이트돼 소개되며 미국 동부 기준으로 오전 11시부터 36시간 동안 제품별로 판매가 진행됨.
- 또한 주 1회 다양한 명품을 최저가로 구매할 수 있는 깜짝 세일을 제품별로 7시간 동안 한정적으로 진행함.
- 아이딜리는 회원초대제로 가입이 가능하며 회원들에게 이메일, SMS, Facebook, Twitter를 통해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 아이딜리 회원은 1st Row와 2nd Row로 나누어짐. 무료로 회원가입이 가능한 2nd Row 회원들은 세일 상품을 보고 구매할 수 있음. 1st Row회원이 되기 위해서는 매달 6.99달러의 회원비를 지불해야 하며 2nd Row회원들보다 한 시간 일찍 물품을 구매할 수 있고 1st Row고객에게만 주어지는 판매 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혜택이 주어지고 있음.
아이딜리 웹사이트
자료원 : www.ideeli.com
□ 시사점
○ 미국 온라인 의류시장 확대
- 최근 경기불황으로 오프라인 매장보다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됨.
- 이베이, 길트 그룹 등이 온라인 명품 의류브랜드 마케팅에 주력하며 인터넷을 통한 명품 구매가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서 활성화되는 중임.
- 이베이는 패션 전문 마케팅, 사업개발팀, 홍보팀을 구성해 패션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향후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Target, J.C. Penney, Macy's 등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됨.
○ 국내 기업, 현지 트렌드에 주목해야
- 이베이는 패션분야 웹사이트(Fashion.eBay.com)를 재정비하면서 다양한 패션정보가 담긴 패션 탭(fashion tab), 스타일리스트 허브 페이지 등의 새로운 서비스를 소개하고 검색기능을 강화하며 상품 세일폭을 확대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 것임.
- 뉴욕타임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가격이 저렴한 상점을 찾거나, 할인쿠폰을 다운받아 쇼핑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보도함. 따라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이 확대되는 만큼 이에 따른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임.
- 국내 업체들도 미국 전자상거래업체들과 협력해 검색엔진 기술 등 소프트웨어 기술개발에 앞장서 미국시장 진출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WWD, Fashion Newspaper, Financial times, New York Times 등 현지언론, 각 업체 홈페이지, KOTRA 로스앤젤레스KBC 자체 보유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美, 온라인 명품 패션시장 확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중 간 타이어 분쟁, 한국업계에는 오히려 기회
미국 2009-09-25
-
2
[녹색경영마케팅] 미국,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시장 동향
미국 2010-01-30
-
3
美, 2010년을 주도할 7대 산업트렌드 전망
미국 2010-03-10
-
4
美, 비공식 경제지표로 본 경제상황
미국 2009-10-21
-
5
중국 2・3선 도시로 간다 - 월마트
중국 2010-04-24
-
6
네덜란드의 트레일러 시장 동향
네덜란드 2010-03-09
-
1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2
2025년 미국 조선업 정보
미국 2025-05-08
-
3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4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