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알마티]세계시장 , 안전 민감증
  • 현장·인터뷰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02-28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안전민감도 증가

- 보안장비 시장 매년 17~19% 성장 속 한국산 보안장비 여전히 강세 -

 

 

 

1.시장동향

 

□시장규모 및 수요 특징

 

 ○ 카자흐스탄 국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자의 70%가 보안장비가 일상 필요물품중 우선구입 대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으며 국민소득의 향상으로 자신의 안전 및 재산보호에 대한 인식이 커짐. 특히 부유층은 자신의 가족과 재산 보호를 위해 보안 장비에 관심이 많음.

  - 안전 인식의 확산, 테러의 공포, 러시아산 보안시스템의 시장점유율 증가, 경제 호조세, 제조업, 금융업, 에너지 산업, 운송,통신업 등과 같은 산업부문에서의 보안장비 수요증가로 매년 17~20%의 시장 성장세를 보이며 시장의 크기는 약 10억~20억 달러 규모로 추정됨.

  - 참고로 2007년 여름 알마티는 “안전한 도시만들기” 프로그램을 만들어 범죄율 감소, 시민과 기업 보호, 도시 공공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국가적 노력을 기울인 바 있음.

 

 ○ 최근 경제상황이 호조세로 접어들면서 산업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에서 제조업, 금융업, 운송업, 통신업 등에서 안전문제가 중요과제로 인식됨과 함께 현대적 기술이 많이 도입되면서 침입 경보기, 화재 경보 시스템, 보안 감시 비디오 시스템, CCTV(폐쇄회로 TV), 접근 제어 장치, 호텔에서 쓰이는 호출표지기(버저가 울리면 방 번호가 나타나는 장치)에 이르기까지 기술발달로 인한 보안 시스템의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음.

  - 카자흐스탄의 건설사인 JHL글로벌과 한국 출입보안장비 전문업체인 가드텍은 200억 원 규모의 보안시스템 납품계약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한 바 있음.

 

 ○ 잡지 “Tekhnologii bezopasnosti"(Security technology)의 통계에 따르면 보안장비 전문업체 지역별 분포는 23%가 알마티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아스타나 14%, 카라간다 주 11%, 동부 카자흐스탄과 크즐오르다주에 9% 나머지 지역에 1~5%인 것으로 나타남.

 

카자흐스탄 보안장비 생산 기업 지역별 분포도

순위

지역

점유율, %

1

알마티 시

23

2

아스타나 시

14

3

카라간다 주

11

4

동부 카자흐스탄 주

9

5

크즐오르다 주

9

6

기타

1~5

자료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2. 경쟁 및 수입 동향

 

□현지 생산 및 경쟁 동향

 

 ○ 현 카자흐스탄 보안 장비 시장은 현지 제조업체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수입품의 시장점유율은 75~90%에 달하며 시장의 크기 또한 매년 10~35% 상승하고 있는 추세임.

  - 카자흐스탄의 경제도시인 알마티에 보안장비 생산업체가 약 50개 사가 있으나, 그중 절반정도만이 대량 주문 가능한 전문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업체로는 “Fast Group", "Automatics", "Tsunami", "Alarm Systems",   "Complex Safety", "Eusebi Implanti" 등이 있음.

 

□수입동향

 

 ○ 카자흐스탄의 HS code 8525로 분류되는 보안장비류 수입실적은 2009년에 6253만 달러를 기록했음. 주요 수입대상국은 중국, 리투아니아, 일본, 한국, 스웨덴, 미국, 러시아,말레이시아 영국 등이었음. 우리나라는 카자흐스탄의 5대 수입대상국으로 2009년 연간수입액은 652만3000달러에 달했음.

  - 카자흐스탄의 보안장비 시장은 최근 몇 년간 지속적 성장세를 보여왔으며, 침입 경보기, 화재 경보 시스템, 보안 감시 비디 오 시스템, CCTV, 접근 제어 장치,호텔에서 쓰이는 호출표지기 등 다양한 유형의 보안 장비를 취급함. 이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 및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고급 주택수요 확대, 대형 관광지구 및 금융지구 개발계획에 따른 건설현장에서 사용됨.

 

 ○ 카자흐스탄에는 CCTV 카메라 및 DVR을 생산하는 국내기업이 없으며,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카자흐스탄의 2009년 한국산 HS code 8525 수입실적은 전년동기대비 76.51%가 상승한 652만3000달러를 기록했으며 국가별로는 중국, 리투아니아, 스웨덴, 일본, 한국, 스웨덴, 미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순으로 나타남.

 

카자흐스탄 보안장비류 수입통계[HS code 8525 기준]

(단위 : US$백만, %)

Rank

국가별

2007

2008

2009

0

100

17.86

100

23.99

100

1

중국

0

0

3.16

17.56

8.92

37.2

2

리투아니아

0

0

0

0

4.02

16.77

3

일본

0

0

3.42

19.16

3.74

15.6

4

미국

0

0

1.52

8.52

1.60

6.7

5

한국

0

0

2.67

14.95

1.49

6.23

6

영국

0

0

0.6

3.38

0.58

2.43

7

아랍연합

0

0

0.01

0.06

0.53

2.24

8

러시아

0

0

0.75

4.2

0.50

2.11

9

인도네시아

0

0

0.19

1.09

0.42

1.79

10

말레이시아

0

0

0.1

0.56

0.39

1.67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카자흐스탄에서 유통되는 보안장비류 (DVR, IP Camera,CCTV security camera)

(단위 : 달러)

제품

가격

CL-20S-420 TV Lines

Color Dome Security

Camera with Sony CCD

$80~120

CL-21S-420 Lines Bullet

Weatherproof Sony CCD

CCTV Security Camera

$100~120

CL-34S-420 Lines

Infrared Day and Night

Weatherproof Sony CCD

CCTV Security Camera

$100~120

Axis 206

$277

Axix 210

$586

Axis 241S

$659

Panasonic BB-HCM511CE

$415

Samsung SVR-950

$2500

Samsung SVR-440

$900

Axis Rack Solution

$1762

 

3. 진출방안 및 관세 비관세 장벽

 

□ 진출방안

 

 ○ 카자흐스탄에서 한국산 보안장비에 대한 인지도가 점차 넓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유럽, 미국, 일본 등의 제품을 선호하고 있는 바, 가격 뿐 아니라 기능면에서의 차별화를 중점적으로 마케팅에 힘쓰도록 함.

 

 ○ 카자흐스탄 현지 수입상의 말에 의하면 특히 화재 진화 시스템과 같은 경우 새로운 첨단기술을 도입한 혁신적인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원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신기술 및  제품 개발 필요함.

  - 또한 화염 감지기의 경우 대부분의 유통업자들이 러시아 공급자와만 거래를 하고 있는데 이는 러시아산 제품 인증서만이 카자흐스탄에서 인정되기 때문임. 따라서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는데 품질과 가격경쟁력은 물론이거니와 공증된 성능시험을 거쳐 제품 인증서 획득이 중요하다 하겠음.

 

 ○ 카자흐스탄 국민들의 생활수준 향상과 함께 안전에 대한 의식이 사회저변에 확대되면서 보안장비 시장은 매년 17~19%씩 성장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한국산 보안장비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거니와 현재 카자흐스탄의 경기가 회복세로 반전함에 따른 건설사업이 활기를 보이면서 보안장비의 수요 또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관세 비관세 장벽

 

 ○ 카자흐스탄은 보안장비에 대해 수입관세 0%, VAT 12%로 구성된 총 관세율 12%를 부과하고 있는 한편 특별한 비관세 장벽은 없음.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카자흐스탄 보안기기 관련 웹사이트, KOTRA 알마티KBC 시장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알마티]세계시장 , 안전 민감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