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中 방전기기산업, 핵심 경제권에 수요 집중
  • 경제·무역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09-12-18
  • 출처 : KOTRA

 

中 방전기기산업, 핵심 경제권에 수요 집중

- 장강, 주강, 환발해 3대 핵심 경제권에 마이크로전자산업 집중 -

- 생산기업 직접판매 위주 -

 

 

 

□ 공급과잉, 일부 제품만 국제기준 부합

 

 ㅇ 중국의 방전기기 매출액은 연평균 15억~17억 위앤에 달하며, 일부 제품은 해외시장으로 수출함.

  - 방전기기 중 컴퓨터용 이중 바닥재가 주력 제품으로 연 생산량은 200만㎡를 상회하며, 전체 바닥재 매출액의 80% 이상을 차지함.

  - 중국 방전 이중 바닥재는 기술수준과 품질이 낮고, 생산규모가 분산됐으며 공급 과잉상태임.

  - 컴퓨터 기계실용 이중 바닥재인 철강 구조바닥재는 높은 기술수준과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현재 중국에서 유일하게 국제기준에 부합돼 대량수출하는 제품임.

  - 최근 몇 년간 이 제품의 중국 내 판매량은 이미 70만㎡를 초과했고, 연평균 수출액은 약 1500만 달러에 달함.

 

 ㅇ 중국에서 생산하는 방전기기제품의 생산은 이미 국내 수요를 초과함.

  - 정전 측정기, 방전 스티로폼, 정전기 방지 리페어 키트 등 제품의 기술수준이 낮아 아직 공업화된 생산을 하지 못하며 발전초기단계에 머묾.

  - 중국의 방전기기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쳐 점차 산업화를 이룸.

  - 중국 전자기기협회 방전분회는 정부가 ESD(ElectroStatic Discharge)를 중시해 방전기기시장 또한 점차 확대되고 산업 성장속도가 10%를 넘어설 것이라고 예상함.

 

□ 핵심 경제 3권에 소비 집중, 마이크로전자산업에 활용

 

 ㅇ 70% 이상의 방전기기 생산기업은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환발해 경제권에 위치함.

  - 장쑤성 창저우에는 중국 방전 바닥재 생산기업 Top10 기업 중 상위 6개 기업이 집중됨.

  - 정전기 방전장치의 주요 소비지역 또한 이 세 지역에 집중됨.

  -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환발해 지역은 중국의 3대 핵심 경제권으로 경제가 발달한 편이며 방전 마이크로전자산업이 집중된 지역임.

 

 ㅇ 현재 방전기기는 주로 컴퓨터기계실, 마이크로파 통신 기계실 등과 같은 배선설비가 집중된 곳에 쓰임.

 

 ㅇ 마이크로전자산업에서 방전장치제품은 초대형 규모의 클린룸 공장에 사용돼 작업장 내에서 사람의 움직임으로 인한 정전기를 방지하는 데 광범위하게 응용됨.

  - 그 외에도 컴퓨터, 통신, 전자설비 제조업에 사용돼 각종 전자설비 및 민감한 기계의 피해를 제어하거나 컴퓨터 메모리 및 전자기기의 내부 훼손을 방지하는 데 쓰임.

  - 또한 방전기기는 정전기에 민감한 군수품 및 쉽게 발연, 폭발하는 장소와 석유화학공업 작업장, 병원 수술실, 마취실, 산소존 등에서 사용됨.

 

□ 생산기업 직접판매 위주

 

주 : 공정상은 프로젝트를 맡아 담당하는 공정업체를 의미함.

 

 ㅇ 방전장치의 유통은 방전기기제품 생산자, 대리상, 공정업체, 설계업체, 고객이 포함됨.

  - 현재 중국의 방전기기 판매는 생산자 직접 판매가 주를 이루고 위탁판매가 부가됨.

  - 생산자는 1선 도시에 지사 또는 사무소를 세우고 현지 고객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함.

  - 방전기기제품 판매는 새로운 방전시스템 구축이 규모가 크고 복잡한 설계시공 기술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산자 경매방식이 주가 되며, 위탁업체경매는 부가됨.

  - 이온 블로우 팬 및 기타 부속품 등의 소비재를 구매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중개판매상의 경매가 주가 되고 기타 무역업체의 경매가 부가됨.

  - 방전보호복과 같은 저가상품의 조달은 대부분 시가를 따르고 주로 무역상을 통해 판매

 

 ㅇ 사후 제품관리는 대부분 생산자가 설치,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일부 간단한 부품 교체만을 위탁업체가 맡음.

  - 일례로 안핑정전(安平静电)은 현재 모든 대형고객에게 유지보수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며, 위탁업체는 소형설비의 소매에 한함.

 

 ㅇ 중국 방전기기산업은 민영기업을 중심으로 형성돼 산업집중도는 높지 않으며 개별 기업의 규모는 작은 편임.

  - 특히 위탁판매기업 대부분은 연간 영업규모가 1000만 위앤에 못 미침.

  - 대부분 현지 관시(關係)네트워크를 통해 일부 글로벌 브랜드를 대리판매하고, 업체들의 기술 및 서비스 수준도 낮은 편임.

 

 ㅇ 현재 방전기기는 주로 생산업체 또는 경소상, 대리상을 통해 판매됨.

  - 이 중 일부 대리업체는 한 개 제품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하고(예를 들면, 정전기 바닥재) 일부는 여러 방전기기제품을 함께 취급함.

  - 중국 방전기기 생산업체 중 대부분이 민영기업인 것처럼 방전기기유통업체도 민영기업이 주를 이루며, 그 외 강위전자(岡宇電子)와 광스과학기술회사(廣思科技) 등 홍콩회사가 있음.

 

□ 연해도시에 집중된 산업 수요

 

 ㅇ 방전제품의 생산기업은 창강삼각주, 주강삼각주, 발해경제권에 위치하며  일부 제품의 집중도는 매우 높음.

  - 현재 중국 연해도시의 마이크로전자공업 발전이 명확하게 내륙도시보다 앞서있으며, 이로 인해 방전기기산업의 수요도 주로 연해도시에 집중됨.

 

 1) 정전기 방지 바닥재

 

기업순위

경쟁기업

시장점유율(%)

1위

常州市武進中天機房設備有限公司

29.5

2위

帝高力裝飾材料(上海)有限公司

17.3

3위

常州市紅日防靜電地板制造有限公司

12.2

4위

遼寧海鷹承遠機房設備有限公司

4.9

5위

常州市寶進防靜電設備有限公司

3.1

6위

沈陽大明辦公設備有限公司

2.9

7위

河北玉龍電子防靜電設備有限公司

2.6

8위

常州金海防靜電地板有限公司

2.6

9위

常州市方勝機房地板廠

2.5

10위

常州市美意達木業有限公司

2.4

11위

기타

20.0

자료원 : 中國市場調査硏究中心

 

 2) 정전기 방지 작업복

 

기업순위

경쟁기업

시장점유율(%)

1위

市新綸科技有限公司

34.9

2위

道益靜電控制(上海)有限公司

23.5

3위

上海錦澤誠工業防護用品有限公司

15.1

4위

大慶市天芳服裝鞋帽廠

8.1

5위

仙居縣一遠靜電科技有限公司

4.3

6위

襄樊襯衫廠

3.3

7위

海門市悅來悅達防靜電綢廠

2.4

8위

湘潭市永輝工貿易有限公司

2.2

9위

河南石蘭防靜電服裝有限公司

2.2

10위

安徽省嘉豪實業有限公司

1.7

11위

기타

2.5

자료원 : 中國市場調査硏究中心

 

 3) 항정전기제

 

기업순위

경쟁기업

시장점유율(%)

1위

南通泰利達化工有限公司

41.1

2위

四川省內江市順昌高分子材料有限公司

26.4

3위

大慶開發區興科石化技術有限公司

6.7

4위

宜興市金泉化工有限公司

3.0

5위

市金鳳合成樹脂有限公司

2.1

6위

濮陽市市區四方化工廠

2.1

7위

海安縣國力化工有限公司

2.1

8위

海安縣國力化工有限公司

2.1

9위

煙(烟)臺/颱市潤靑化工有限公司

1.9

10위

太原市小店區巨龍福利加工廠

1.9

11위

기타

10.8

자료원 : 中國市場調査硏究中心

 

□ IT, 제약, 화공 등 정밀제조업 수요 많은 편

 

 ㅇ 중국 방전기기산업은 민영기업이 주를 이루고 그 외 일부 외자기업도 중국시장에 진출했음.

  - 현재 방전 바닥재 생산업체로는 창저우우진중탠(武進中天), 디고리(帝高力), 훙르(紅日) 등이 있고 방전 작업복 제조업체로는 신룬(新綸), 도이(道益), 진저청(錦澤誠), 방전제 생산업체로는 타이리다(泰利達), 순창(順昌), 방전기기 및 설비 제조기업은 스워(思沃), 핑안(安平) 등이 있음.

 

 ㅇ 방전기기는 주로 깨끗한 생산환경이 필요한 IT, 제약, 화학공업 등 정밀제조기업의 수요가 많으며 그 중 베이링(貝岭), Freescale 등 기업의 수요가 많을 것으로 전망

 

□ 수입 시 수입화물통관증 먼저 신청

 

 ㅇ 중국세관은 방전기기에 대한 수입상품 검역 외에 별도의 인증을 하지 않음.

  - 한국제품이 중국에 들어오기 전에 먼저 수입화물통관증을 신청해야 하며, 약 일주일이 소요됨.

  - 통관증을 받은 후에는 제품통관이 가능하며, 1~2일의 검역을 거쳐 제품의 세관 반출이 가능함.

 

 ㅇ 2000년 이후, 중국정부에서는 전자산업의 방전기기 기준을 제정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국가정보산업부 과기사의 통일지도 아래 방전기기 표준제정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산업기준 제정작업의 선순환을 유도함.

  - 현재 전자산업 내에는 이미 국가기준 4개, 국군기준 6개, 산업기준 15개(항공우주시스템 제외)를 정하고 초기 시스템을 만들어 산업발전을 촉진함.

  - 국군기준은 기본적으로 미군 기준(MIL)을 채용했으며, 산업 기준의 일부분은 국제전자공업위원회 또는 미국 ESD협회의 기준을 채택했음.

  - 기초 기준은 이미 체계화됐으며, 방전기기의 산업기준은 좀 더 보완을 요함. 현재 산업 내에는 아직 국제전자공업위원회(IEC)와 미국 ESD협회의 정보연락기구가 설립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함.

 

□ 수입 시 상품검역을 받아야 CCC 강제인증 필요 없어

 

 ㅇ 일반 방전기기의 HS Code는 8543709990이고 한국에서 수입 시, 관세를 징수하지 않지만 17%의 증치세를 부과해야 함.

  - 방전기 바닥재의 HS Code는 39204900, 항정전제의 HS Code는 38249099이며 이 두 제품은 한국에서 수입 시 6.5%의 수입관세와 17%의 수입증치세가 부과됨.

  - 방전 작업복은 소재가 상이하기 때문에(면, 실사) 해당되는 HS Code가 달라 개별적으로 확인이 필요함.

  - 이 세 가지 방전제품을 수입할 경우 특별한 인증 또는 관리감독조건은 없음.

  - 하지만 일반적인 방전기기의 수입 시 상품검역을 받아야 하지만 검역결과에 따라 CCC 강제인증을 실시하지는 않음.

  - 중국에서 방전기기를 판매할 때는 관련기준을 따라야 함.

 

 ㅇ 중국에 수입하기 전 현지 해관의 상품검역국(商局)에 수입화물통관증을 신청해야 함.

  - 수입화물 신청서의 신청자료로는 양측의 계약서(한국 기업과 중국 대리상 간의 계약서), 한국이 제공한 수입위탁서, 검역신고위탁서, 세관신고서, 영수증, 출고지시서, 제품 관련 상황설명서 등이 있음.

 

 ㅇ 상표검사국은 제공한 자료를 검토해 만약 자료에 문제가 없으면, 수입화물통관증을 발급함.

  - 통과 후 제품에 대해 다시 검사를 실시함.

  - 상품검역국이 통관증을 검토, 발부하는 기한은 약 3일에서 1주일이 걸림.

  - 일반적으로 상품검역국은 정보산업부 방전제품품질감독검역센터를 위탁해 검사를 실시함.

 

 ㅇ 신청비용은 수입화물의 가치에 따라 계산하며, 일반적으로 수입화물의 1% 미만임.

  - 만약 대행을 한다면 대행비용은 약 50~200위앤이며 방전제품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음.

  - 제품이 국가검역을 통과한 후, 수입화물통관서를 받으면 바로 통관해 반입할 수 있음. 반입 후에 상품검역국이 재검사를 진행함.

  - 재검사는 1~2일이 소요됨.

 

 

자료원 : KOTRA 상하이KBC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방전기기산업, 핵심 경제권에 수요 집중)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