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2009년 지재권 보호활동
- 투자진출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09-12-15
- 출처 : KOTRA
-
중국의 2009년 지재권 보호활동
칭다오KBC
김병호( ivviivvi@kotra.or.kr )
□ 올해 행정단속 적발 지재권 침해안건1468건
○ 중국공상행정관리국 지재권 침해행위 집중단속
-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중국 공상관리국에서 적발한 각종 지적재산권 침해관련 안건은 1468건에 달하며 처벌된 인원은 1878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음.
○ 중국은 금융위기 이 후 지적재산권 보호활동에 주력, 유통경로는 인터넷
- 올해 중국 행정부처의 지적재산권 관련법률 15건을 개정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지적재산권을 침해하는 가짜 상품의 주요 유통경로는 인터넷으로 드러났음.
○ 인터넷을 통한 짝퉁제품 유통 단속
- 중국 위생부 등 13개 부문에서 가짜 약품광고행위에 대한 단속을 진행, 주요 단속대상은 인터넷을 통한 판매행위업체임.
- 이번 조사에서 중국지역 내 지적재산권 침해 상품 판매조직들은 우편이나 택배 등으로 물건을 전달한 이후 모습을 감추는 수법으로 단속을 피해온 것으로 나타났음.
- 9월 말까지 전국 해관에서 우편택배들의 경로로 찾아낸 지적재산권 침해건수는 1만7127건에 달하며 지적재산권 침해 물품 수량은 198만개, 이 물건의 가치는 4600만 위안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음.
□ 중국정부 각부처간 연합 단속 진행, 다국적기업협회 큰 작용
○ 불법 판매사이트 307곳 폐쇄조치
- 중국은 지난 2005년부터 국가판권국 공안부 공신부 등이 연합해 인터넷 지적재산권 침해물품에 대한 단속을 벌여 왔는데 올해는 5회째임.
- 중국 전역에는 1623개의 중점 인터넷 감시기관이 있으며 이를 통해 불법적으로 운영되던 인터넷 홈페이지 307곳을 폐쇄 조치함.
○ 184개 다국적 기업이 가입한 브랜드보호협회, 대정부 정책건의
- 중국이 짝퉁상품에 대한 일제단속을 벌이는 데는 중국 외상투자기업협회 브랜드보호위원회 의 역할도 일조하고 있다는 분석.
- 지난 2003년 6월 81개의 다국적 기업이 가입해 중국의 짝퉁상품에 대해 공동대처하기 위해 만들었으며 2009년 11월 현재 이미 184개 다국적 기업이 가입해 활동하고 있음.
- 중국 외상투자기업협회 브랜드보호위원회는 정부와 협력해 모방, 짝퉁상품에 대한 법률적 제제를 가하고 이를 통해 관련산업의 발전을 꾀하고 있음.
- 이들은 회원기업을 대상으로 매년 마다 설문조사를 실시해 중국의 지적재산권 보호현황에 대하여 조사하는 한편, 관련 기관에 정책건의를 하고 있음. 올해 설문 조사한 내용을 살펴보면, 지적재산권침해에 대한 엄중단속을 실시하고 있다는 의견이 44%에 달했는데 이는 전년35%에 비해 향상된 수치임.
- 184개 기업 중 한국의 삼성전자가 의결권을 가진 28개 업체 중 하나로 활동하고 있으며 LG전자가 일반회원기업으로 활동하고 있음.
- 중국의 불법복제물 단속에 기여한 것은 정부의 노력도 있으나 다국적 기업의 지속적인 대정부 건의를 통한 정부의 단속의지를 고취시켰다는 분석임.
자료원: 중국국가지식산권국홈페이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의 2009년 지재권 보호활동)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中, 2010년 내수 소비확대 8大 정책 실시
중국 2009-12-15
-
2
투자기업 노무관리 - 공장이전으로 인한 경제보상금지급방법
중국 2009-12-15
-
3
中, 최초로 ‘수입장려기술 및 제품목록’ 발표
중국 2007-12-06
-
4
베트남, 상반기 섬유시장(2)-섬유원단 수입동향
베트남 2009-05-29
-
5
아프리카, 우라늄 자원개발 현황
남아프리카공화국 2008-04-16
-
6
[정책] 베트남, 절전정책 및 효과
베트남 2009-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