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中, PVC 바닥재 호황 예감
  • 경제·무역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09-11-30
  • 출처 : KOTRA

 

中, PVC 바닥재 호황 예감

- 정부주도 기반산업시설 대대적인 투자, PVC 바닥재 시장확대의 기회로 작용 기대 -

 

 

 

□ 시장동향   

                 

 

2008년 중국시장 바닥재 제품별 판매량

품목

판매량

판매증가율

강화마루

198,000,000㎡

-10.0%

원목마루

42,000,000㎡

-4.5%

합판마루

78,000,000㎡

+4.0%

대나무

24,000,000㎡

+20%

기타

800,000㎡

-10%

합계

344,000,000㎡

-4.8%

자료원 : 中國林産工業協會地板專業委員會

 

 ㅇ 시장규모 8~10년 후 대폭 성장예상

  - 90년대에 들어서면서 나무바닥재가 시장점유율을 급속도로 늘려갔으나 2007년과 2008년 미국의 Section 337 조사(미국무역위원회(ITC)가 시행하는 ‘지적재산권 및 불공정행위’ 조사) 대상이 되면서 강력한 반덤핑·반보조금 관세조사를 거침.

  - 이 밖에 원자재 가격 상승, 위앤화절상에 뒤이어 세계경제위기 등 악재가 겹치면서 이는 다수의 나무바닥재 생산업체들의 도산으로 이어졌으며, 나무바닥재산업 성장세를 주춤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

  - 경제활성화를 위해 중국정부 주도로 이뤄진 기간산업 및 건설투자는 PVC 바닥재 수요량을 늘리는 계기가 됐음.

  - 경제가 상대적으로 발달한 대도시 지역에서는 기존 병원의 80% 이상이 PVC 바닥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8~10년 후 의료환경 리모델링이 이뤄질 경우 PVC바닥재(PVC 롤 위주)의 수요가 대폭 증대될 것으로 예상

 

 ㅇ PVC 롤형 : PVC 판형 제품당 시장점유율=4 : 6

  - PVC 바닥재 중 롤(Roll)형 제품과 판형 제품의 시장점유율은 대략 4 : 6 정도의 비율을 보이고, 현재는 성장초기단계이며, 빠른 속도로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PVC 롤형 제품의 경우, 중국의 병원환경 개선 정책의 일환으로 시작된 병원 바닥 교환작업으로 인해 높은 수요량을 기록한 바 있음(현재 교환사업 마무리 단계).

  - 가정 인테리어, 사무실, 학교 등에 주로 사용되는 PVC 판형 제품의 경우 수요량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PVC 롤형제품의 수요가 주춤하면서 주요 타깃시장으로 부상 중

 

 ㅇ 중국 동북지역 상승추세, 대도시 위주 수요량 유지

  - 중국 내륙지역 중에서도 산동성, 안휘성, 하남성, 강서성, 호북성 등 동북지역의 상승이 상대적으로 빠른 추세를 보이며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지역은 경제발전에 따른 빌딩건설이 늘어나면서 PVC 바닥재 수요가 지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

  - 2008년 베이징올림픽 특수로 전국 체육관, 운동장, 체육관련 산업이 성장에 탄력을 받게 되면서 운동용 바닥재 수요가 대폭 늘어났으며 향후 안정적인 시장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

 

□ 경쟁 및 수입동향

 

 ㅇ PVC 롤형 바닥재 : 수입바닥재 위주

  - 수입바닥재가 중국 PVC롤형 바닥재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

  - 대표적인 해외제품들은 한국, 일본, 미국 및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등 유럽에서 주로 수입됨.

  - 특히, 한국 LG사 바닥재의 경우 중국 현지 생산공장 설립을 통해 통관문제, 납품시기 맞춤 등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중국 국산브랜드의 취약점(저품질)을 보완할 수 있는 고품질로 승부해 현재 시장점유율 50%를 차지하는 성공을 거둔 바 있음.

  - 대표적인 수입브랜드는 주로 미국 Armstrong, Bonie, 프랑스 Gerflor, Tarkett, 한국 LG, 한화, CYC, KCC, 일본 Lonseal, Takiron, Toli, Tajima, 영국 Mary 등임.

 

 ㅇ PVC 판형 바닥재 : 국산 위주

  - 판형 바닥재는 중국산의 시장점유율이 75~80% 정도이며 수입제품은 20~25% 정도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판형 바닥재 시장은 중국산의 가격경쟁력이 시장점유율을 좌지우지하는 가장 큰 요소이며, 향후 많은 해외브랜드들이 가격 인하와 중국시장에 맞는 신제품 출시를 통해 판형 바닥재시장 공격에 나설 것으로 예상

  - 중국 이화(易), 따쥐롱(大巨, 중국 서북부 시장에서 큰 인기) 및 대만 푸롱(浦隆)이 대표적인 상위 브랜드로 손꼽히며 외국브랜드 중 최고의 유망주는 한국 LG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ㅇ 유명 PVC바닥재 해외브랜드 제품별 비교

 

브랜드

국가

디자인

사용범위

규격

가격(위앤)

Gerflor

프랑스

병원, 사무실, 마트, 학교 등

2.0㎜*2m*20m

160/㎡

Armstrong

미국

병원, 사무실, 마트, 학교, 공장 등

2㎜*1.83m*25m*

140/㎡

Mary

영국

병원, 사무실, 마트, 학교, 공장 등

2㎜*2m*20m

130/㎡

Lonsea

일본

병원, 학교, 도서관, 양로원, 사무실, 회의장, 은행, 공항, 유치원 등

2.0㎜*1.82m*9m

120/㎡

녹수

(NOX)

한국

사무실, 학교, 병원, 상점, 식당, 공장 등

2.0㎜ *3m*3m

80/㎡

LG

한국

학교, 병원, 상점, 식당, 공장 등

4.0㎜*6m*6m

85/㎡

한화

한국

병원, 학교, 사무실, 회의장, 공항 등

1.9㎜*1.83m*20m

88/㎡

자료원 : 현지바이어 및 제조업체 의견 KOTRA 칭다오KBC 자체조사

 

□ 유통채널 및 시장진입전략

 

 ㅇ 중국에서 PVC 바닥재를 비롯한 건축자재는 대부분 대리상을 통해 판매됨.

  - 국산 브랜드는 생산업체 → 대리상, 수입 브랜드의 경우 총대리상/수입브랜드 중국사무처→1~2급 대리상 혹은 각지의 전문 판매점을 통해 유통되는 구조

  - 대리상이 소매상(현지의 인테리어회사)에 공급하게 되며, 이를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도 있음.

 

 ㅇ 한국 PVC 바닥재 시장에서 좋은 반응, 시장진입 사전준비 충분히 필요해

  - 중국 시장에서 한국 PVC 제품은 좋은 품질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있어 상당한 호평을 받고 있으며, 안정적인 시장점유율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 현지 바이어 접촉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현지판매 사전에 중국 내 PVC 바닥재 관련 표준(유해성분 규정, 안전방화표준, 상품재질과 시공규범 규정)을 통과하는 과정이 다소 복잡하므로 사전에 관련 규정을 숙지하고 현지 검사기관과 충분한 협의를 하는 것이 중요

 

□ 수입통계

 

PV바닥재(HS Code : 391810)(Floor coverings, wall or ceiling coverings of plastics)

                                                        (단위 : 천 달러, %)

순위

국가

2007년

2008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1

Korea Rep

35,181

11.0

43,063

22.4

2

Sweden

8,390

19.0

9,954

18.7

3

France

7,604

-7.5

6,541

-14.0

4

Japan

4,559

37.1

5,338

17.1

5

Hungary

3,414

106.6

5,097

49.3

6

United Kingdom

3,998

58.3

3,281

-17.9

7

Luxembourg

2,126

995.0

3,190

50.0

8

Australia

2,111

52.4

3,085

46.2

자료원 : KITA.NET

 

□ 수입관세 정보

 

제품명

PVC 바닥재

HS Code

391810

단위

관세

10%

증치세

17%

자료원 : 2009 중국세관수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PVC 바닥재 호황 예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