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생활스포츠 장려, 스포츠용 바닥재 인기
  • 트렌드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09-11-30
  • 출처 : KOTRA

 

중국 생활스포츠 장려, 스포츠용 바닥재 인기

- 육상경기장 트랙 및 스포츠 관련장소에서 폴리우레탄 바닥재 수요 증가 -

- 2008 베이징 올림픽 이후 보급 가속화 -

     

     

 

□ 스포츠활성화정책 일환, 베이징 올림픽 이후 폴리우레탄 바닥재 수요 증가

 

 ○ 중국은 거대 인구에 힘입어 스포츠 강국으로 줄곧 스포츠사업에 대대적으로 힘써왔으며, 전 국민이 스포츠를 생활화하도록 노력을 기울임.

  - 중국 경제의 빠른 발전과 중국인들의 스포츠에 대한 관심도가 점차 증가하면서 스포츠 관련 장소의 전문 바닥재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함.

  - 현재 PVC플라스틱 스포츠용 바닥재는 대부분 기존 조립식체육관 마루를 대체하며, 야외 육상트랙 역시 인공잔디에서 폴리우레탄 트랙 및 EPDM합성수지로 점차 교체되고 있음.

  -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구기경기장은 대부분 PVC합성수지, 폴리우레탄 바닥재로 설계됨.

  

 ○ 바닥재와 관련된 화공원료업계 역시 스포츠용 바닥재의 발전과 더불어 점차 판매량이 증가하는 추세임.

  -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개막과 더불어 중국 내 각 대도시에서 관련 정책들을 속속들이 발표해 스포츠 환경을 개선 정책의 일환으로 스포츠용 전문 바닥재로 교체할 것을 요구함.

  - 전국에 분포해 있는 학교 수만 해도 수만 개에 달하며 고급주택, 휴가지, 오락시설, 레저공간, 스포츠센터 및 각종 구장(배드민턴, 테니스 등)의 건설에도 전문 바닥재가 쓰이고 있어 관련 화공원료 역시 판매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중국 내 폴리우레탄 생산량, 증가율 유지

     

 ○ 중국 내 관련 기술의 발전, 투자 원가 대폭 하락에 따라 중국 폴리우레탄 업계는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함.

  - 중국 폴리우레탄의 생산능력은 1998년 말 398만 톤에서 2005년 말 2057만 톤으로 급격히 증가해 연평균 26.6%에 달하는 생산 증가율을 보임.

  - 1995~2003년 폴리우레탄 생산량과 명목소비량은 연평균 각각 19.37%와 18.09%에 달했으며, 2003~05년 폴리우레탄 명목 소비량의 연간 증가율은 하락 추세이나 연도별로 각각 23%, 20%, 16%에 달해 높은 증가율을 유지함.

  - 2006년부터 중국 폴리우레탄 생산량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연간 증가율은 2005년 19%에서 점차 하락한 5%대에 머무름. 이와 같은 생산량 감소 현상은 생산과다, 국제무역마찰, 인민폐 가치상승, 수출경쟁력 약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됨.

     

□ 수입 폴리우레탄 스포츠용 바닥재, 고급 체육시설 바닥재로 쓰여

 

 ○ 현재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투자로 체육관, 운동경기장 등의 건립이 활기를 띠고 있음.

  - 국영단위 내부의 체육관, 고급 개인 모임 장소, 전국 연쇄 고급 스포츠센터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포츠용 바닥재는 기본적으로 모두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유럽 브랜드가 다수임.

  - 중국산 스포츠용 바닥재는 현재 일부 초·중학교의 체육관과 민영 스포츠센터, 훈련교습센터 등에서 사용되며 이런 수요층에서는 비용 절감을 위해 기본적으로 중국산 바닥재를 선택하고 있음.

     

육상트랙, 농구, 배드민턴, 테니스장 등에 바닥재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육상 트랙

                                              

  - 일본과 한국 스포츠 바닥재의 주 소비계층은 중형 배드민턴장, 탁구장, 수영장, 중고급 스포츠센터 등으로 나타남.

  - 한국과 일본 제품의 가격이 중국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나 우수한 품질로 중·고급 소비계층에게 판매됨.

 

 ○ 현재 수입 폴리우레탄의 판매 상황은 일반적인 편이며, 제품의 가격이 중국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됨.

  - 국가급 체육시설은 장차 폴리우레탄 수지의 가격이 비교적 높게 책정됨에 따라 가격범위 내 적합한 수입제품이 있을 것으로 보임.

  - 한국과 대만 브랜드가 주요  인기 수입 브랜드임.                            

     

2007~08년 HS Code 39095000(Polyurethanes, in primary forms) 국가별 수입현황

     (단위 : US$ 천, %)

순위

국가명

2007

2008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477,765

30.2

512,153

7.2

1

대만

134,589

21.1

140,230

4.2

2

독일

91,704

38.7

83,407

-9.0

3

일본

67,361

56.7

63,246

-6.1

4

미국

45,439

36.0

60,010

32.1

5

대한민국

41,161

7.1

46,483

12.9

6

이탈리아

19,898

3.4

20,804

4.6

7

홍콩

11,096

192.7

12,201

10.0

8

네덜란드

10,840

0.3

9,403

-13.3

9

싱가포르

10,327

40.0

9,374

-9.2

10

스페인

7,360

2.2

8,430

14.5

자료원 : www.kita.com

     

□ 수입제품, 주로 중국 현지 사무처와 대리상 통해 유통

 

 ○ 중국산 폴리우레탄수지는 주로 생산기업이 생산한 후 직접 관련 바닥재, 건축재료 생산기업 및 관련 시공업체에 판매되며 이러한 기업이 바로 최종 사용처라고 할 수 있음.

  - 더불어 일부 스포츠시설 바닥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생산기업은 자체적으로 생산 및 시공을 담당하기도 함.

     

 ○ 수입브랜드 제품은 주로 중국 내 설립된 사무처 혹은 수입상을 통해 제품을 수입한 후, 각 지역의 대리상이 스포츠용 바닥재와 방수건축자재 생산 및 시공상에게 납품함.

  - 폴리우레탄수지 수입상, 생산기업, 스포츠용 바닥재 생산업체, 트랙 바닥재 포장업체 등이 수입브랜드의 주 수요처라고 할 수 있음.

     

□ 가격경쟁력 갖추고 고급 시설 공략해야

 

 ○ 전국 각지에 분포한 운동장 및 각 단위 내부의 스포츠 공간 건설 시 PVC스포츠용 바닥재 및 폴리우레탄 트랙, EPDM(트랙을 주로 한 스포츠용 전문 바닥재)바닥재가 장차 스포츠 관련시장의 주류가 될 것으로 예상됨.

  - 현재 중국 체육관 및 각 단위 내부 스포츠공간의 전문 스포츠용 바닥재 점유율은 크지 않으나, 시장 잠재력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됨.

  - 현재 한국 강남화성, 한화, CYC(주), SK 등의 합성수지, PVC, 폴리우레탄 등의 원료 및 바닥재가 주요 한국 브랜드이며 중국 수요층의 제품 만족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중국 기업들이 점차 해외에서 생산 기술 및 설비를 도입해 품질을 개선시키고 가격을 현 상태로 유지할 경우, 수입 제품의 경쟁력 하락 우려가 있으므로 가격 경쟁력 제고가 중국 시장 진출의 결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www.baidu.com, KOTRA 칭다오KBC 자체조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생활스포츠 장려, 스포츠용 바닥재 인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