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터키정부, 2010년 공공부분 USD 191억 투자 예정
- 투자진출
- 튀르키예
- 이스탄불무역관 김찬열
- 2009-11-26
- 출처 : KOTRA
-
터키정부, 2010년 공공부분 USD 191억 투자 예정
-2009년 대비 29.2% 증가-
-교통분야, USD 54억으로 최고 투자분야 -
보고일자 : 2009. 11. 26
김찬열 이스탄불 코리아비즈니스센터
□ 터키 정부, 2010년 공공부분 투자 계획 확정
ㅇ 2010년에는 터키 정부의 공공투자가 더욱 확대될 예정으로 밝혀짐. 터키 정부에서 최근 밝힌 2010년 공공부분 투자 계획에 따르면 2010년 공공투자는 전년 대비 29% 이상 증가한 TL 278억 (USD 191 억 상당) 으로 예정됨.
ㅇ 분야별로 살펴보면 교통분야가 전체 투자자금 중 26%을 차지하고 있어 가장 많은 공공투자가 예정되어 있음.
- 교통분야의 공공투자는 최근 몇 년간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는데 금년 역시 전년대비 50% 이상 늘어난 자금이 할당됨.
ㅇ 특히, 교통분야 중 철도 사업 부문이 전체 교통투자 자금 중 13%를 할당 받음. 이는 현재 터키내 진행 중인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인 고속철도사업 프로젝트 본격화에 따른 것으로 보여짐.
- 고속철도분야 다음으로는 고속도로 정비 부문이 TL 20억 이상의 투자금액을 할당 받아 두 번째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는 교통분야로 계획됨.
ㅇ 교육 부문은 전체 공공투자의 14%에 해당하는 TL 40억을 할당 받아 교통분야 다음으로 많은 투자가 예정된 분야로 밝혀짐. 이는 2009년 대비 19% 이상 증가한 금액임.
ㅇ 터키 주요 산업 중 하나인 농업 부문은 전체 투자 금액 중 13%에 해당하는 TL36억이 할당 되어 세 번째로 많은 투자가 예정되어있음.
- 농업 부문 투자는 농업 현대화 등을 적극 추진할 예정으로 2009년 대비 32%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함.
ㅇ 에너지 사업의 경우 농업 부문에 이어 4번째로 많은 투자금액을 할당 받은 산업으로 나타남.
- 2010년 에너지 부문은 공공투자는 전년대비 19% 증가한 TL 33억이 할당됨.
2010년 터키 공공부문 주요 분야 투자자금 할당 현황
(단위 : TL 천, %)
2009
2010
증가율
투자금액
비율
투자자금
비율
농업
2,771,148
12.9
3,666,606
13.2
32.3
광업
931,000
4.3
1,419,800
5.1
52.5
에너지
2,815,149
13.1
3,376,100
12.1
19.9
교통
5,211,459
24.2
7,968,244
28.6
52.9
관광
147,926
0.7
182,202
0.7
23.2
교육
3,413,529
15.9
4,060,417
14.6
19.0
보건
1,637,407
7.6
1,777,892
6.4
8.6
경제부문 총계
14,175,191
65.8
19,342,696
69.5
36.5
사회부문 총계
7,358,962
34.2
8,8470,329
30.5
15.1
총계
21,534,153
100.0
27,813,025
100.0
29.2
자료원 : TEBA
□ 시사점
ㅇ 금번 터키 정부의 공공부문 투자 계획에 따르면 전년 대비 30% 가까이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음. 이는 2010년에도 정부 주도의 대규모 공공 투자를 통해 경제 활성화를 꾀하고자 하는 터키 정부의 의지로 해석되고 있음.
ㅇ 이와 관련하여 우리 관련 업계에서도 터키내 공공부문 대규모 프로젝트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찾는 자세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자료원 : TEBA, 터키교통부, 센터자료종합 등. 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터키정부, 2010년 공공부분 USD 191억 투자 예정)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말레이시아, 생체인식 출입시스템 인기
말레이시아 2009-11-26
-
2
中 2~3선 도시를 가다 : 중국 화남지역 개방의 꽃 선전(深圳)
중국 2009-04-30
-
3
[정책] 러시아, 온실가스 배출량 및 교토의정서 준수 현황
러시아연방 2009-11-13
-
4
사우디아라비아 휴대용 전자기기 수요 감소
사우디아라비아 2015-04-23
-
5
2010년 상반기 중국경제 세부 통계
중국 2010-07-25
-
6
대만, 전기자동차 지원제도 추진할 계획
대만 2009-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