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금융위기 1년, 한국제품 구매 바이어 늘었다
- 경제·무역
- 미국
- 시카고무역관 어재선
- 2009-11-01
- 출처 : KOTRA
-
美 금융위기 1년, 한국제품 구매 바이어 늘었다
- 시카고KBC, 美 바이어 191개사 대상 설문조사 실시 -
- 美 글로벌 바이어, 한국산 제품 대한 관심 증가 전망 -
□ 금융위기 1년, 美 바이어의 구매패턴 변했다
ㅇ 경제위기 1년 동안 한국제품을 찾는 미국 바이어는 증가한 반면, 중국·일본·대만 등 경쟁국 제품을 찾는 미국 바이어는 감소함.
- ‘지난 1년 동안 구매패턴이 변했나?’라는 질문에 ‘변했다’고 답한 바이어는 56.4%로 ‘변화 없다’고 답한 43.6%보다 높게 나타났음.
- 이는 금융위기가 1년 만에 반 이상의 바이어에게 영향을 줄 만큼 영향력이 컸음을 의미함.
ㅇ 구매패턴이 변한 바이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선호도 증가
- 구매패턴이 ‘변했다’고 답한 바이어들에게 '구매를 줄였거나 중단한 국가(복수응답)'를 묻는 질문에 39.6%의 바이어가 중국을 들었으며 한국(28.6%), 일본(9.9%), 대만(8.8%)이 뒤를 이음.
- ‘구매를 늘렸거나 새로 구매하기 시작한 국가’(복수응답)를 묻는 질문에는 한국(45.1%), 중국(30.8%), 대만(7.7%), 일본(4.4%)을 꼽았음.
- 이는 한국만 유일하게 구매를 줄인 바이어보다 늘렸다는 바이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번 금융위기가 한국제품에는 오히려 기회가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역샌드위치’와 ‘최저 재고유지, 소량주문 대응’이 한국산 선호도 증가의 배경
ㅇ 한국에서 구매를 늘린 이유(복수응답)로는 가격경쟁력(23.4%), 품질(17.0%), 소규모 오더에 대한 대응력(17.0%)이 꼽힘.
- 이는 원화 약세로 강화된 한국제품의 역샌드위치 효과와 함께 금융위기 이후 자리 잡은 ‘최저 재고 유지, 소량주문’ 체제에 국내 수출업체들이 유연하게 대처해 온 점이 미국 바이어에게 통한 결과로 분석
□ 주요 글로벌 바이어의 한국산 제품에 대한 반응
ㅇ 대형 농기계 제조업체 A사
- 여러 차례 한국제품을 수입하면서 품질은 확신함. 지난 1년간 원화약세로 가격경쟁력까지 갖춰 회사 내에서는 실무자뿐만 아니라 경영진에서도 한국을 구매적격국가로 인정하는 분위기라고 언급
- 현재도 최상의 품질을 유지하고 있으나, 향후에도 미국 현지에서의 물류, 기술지원, 영업 등과 같은 종합적인 대응능력을 더욱 향상시킨 전략적인 마케팅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
ㅇ 상용차 부품업체 B사
- 한국산 제품은 미국 경제침체에도 불구하고 공격적인 마케팅과 품질확보, 브랜드 인지도 향상으로 위기를 잘 극복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됨.
- 특히 한국산 자동차는 미국 자동차시장의 극심한 판매부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으며, 전자제품 판매도 여타 경쟁사 제품에 비해 선전을 하고 있음.
- 현재도 최상의 품질을 유지하고 있으나 향후에도 미국시장에서 입지를 굳건히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가격경쟁력과 품질경쟁력을 유지해야 함.
ㅇ 대형 IT업체 C사 반응
- 생산업체는 전반적으로 생산량을 줄임과 동시에 재고 관리방식에 있어서도 ‘Just In Time Model’을 적용, 'In-Process' 재고량을 최소화해 비용을 감소함과 동시에 경기후퇴가 더욱 지속될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는 상황이라고 표명
- 불황극복을 위해 주요 제품라인인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의류, 보석류, 일반 소비재 등을 종합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한국의 Multichannel 수출업체를 물색 중이라고 밝힘.
□ 시사점
ㅇ 올해 말이나 내년 상반기부터 미국 경기회복이 가시화되면 바이어들의 구매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임.
- 2008년 하반기 이후 계속 재고소진을 중심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재고소진에 따른 재고 다시 채우기 오더의 개념일 수 있으므로 내년 상반기까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함.
ㅇ 글로벌 바이어는 불황극복을 위해 시장확대와 해당지역에서의 소싱 확대를 동시에 추진할 것으로 전망
- 이로 인해 한국을 시장으로서 인식함과 동시에 구매전략지역으로 인식하고 있어 한국제품의 주문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다만 품질경쟁력 외에도 현지 물류시스템 확충, 기술개발, 현지 법인설립을 통한 바이어의 리스크 감소 등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임.
자료원 : 시카고 한국상품전 바이어 설문조사, 글로벌 바이어와 인터뷰, KOTRA 시카고KBC 보유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美 금융위기 1년, 한국제품 구매 바이어 늘었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美, 온라인에서 바이어의 견적요청서 찾아 견적
미국 2009-08-29
-
2
美, 친환경 고효율 자동차 생산 위해 필요한 기술
미국 2009-06-28
-
3
中 4분기 車 판매량, 호황 이어질 듯
중국 2009-10-29
-
4
영국, 한국차 인기 돌풍
영국 2009-10-12
-
5
[녹색정책] 中, 기후변화 대응 방향과 비즈니스 기회
중국 2009-12-25
-
6
러시아, 휴대폰시장에 최신 iPhone 출시 지연될 듯
러시아연방 2009-07-31
-
1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2
2025년 미국 조선업 정보
미국 2025-05-08
-
3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4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