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탈리아, 군수산업 수출호황에 우리의 기회는
  • 트렌드
  • 이탈리아
  • 밀라노무역관 최윤정
  • 2009-10-31
  • 출처 : KOTRA

 

이탈리아, 군수산업 수출호황에 우리의 기회는

- 2008년 세계 군사비용 지출 사상 최고 -

- 이탈리아 군수산업, 경제위기에도 수출호황 맞고 있어 -

 

 

 

2008년 세계 군사비용 지출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 이탈리아 군수산업도 수출 호황을 맞음. 정치적 현안 및 관계가 감안되는 복잡한 방위산업체 구조에서 한국 군사장비 부품업체들과 현지 주요 제조업체와의 커넥션 구축이 중요하게 떠오르는 시점임.

 

□ 2008년 세계 군사비용 지출, 사상 최고

 

  매년 전 세계 국가의 군비 지출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스웨덴의 스톡홀름평화연구소(SIPRI)는 2008년 군비 지출이 사상 최고액인 1조4040억 달러를 기록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함.

 

  이는 10년 전인 1998년과 비교해 약 45%가 증가한 규모이며, 전년 대비 약 4% 증가한 수치로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인해 몇몇 국가의 군사비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도 그 요인임.

 

  특히 미국은 무려 6070억 달러를 기록해 전 세계 군비지출의 41%를 차지함. 뒤를 이어 엄청난 경제성장과 더불어 국방장비 구축을 더욱 증가시키는 중국이 849억 달러, 다음으로 프랑스와 영국이 각각 657억, 653억 달러로 3, 4위를 차지함.

 

최대 군비 지출국

 (단위 : 십억 달러)

순위

국가

지출비용

1

미국

607.0

2

중국

84.9

3

프랑스

65.74

4

영국

65.35

5

러시아

58.6

6

독일

46.87

7

일본

46.38

8

이탈리아

46.38

9

사우디아라비아

40.69

10

인도

38.2

11

한국

24.2

자료원 :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중국의 경우 10년 전과 비교해 45%의 약 2배 가까운 증가율을 보였고, 러시아 역시 어려운 국내 경제상황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높은 군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상위 10개국 중 독일과 일본만이 1999년부터 군비를 축소한 유일한 국가로 나타남.

 

  세계에서 8번째로 군비지출 규모가 큰 이탈리아는 2008년 전년 대비 22.9% 증가한 406억 달러를 지출함으로써 2006년 299억 달러, 2007년 331억 달러에 이어 3년 연속 지속적으로 군비 지출을 늘림.

 

□ 이탈리아 군수장비 수출 증가, 수입 감소

 

  정부의 방위예산 부족으로 인한 자금 어려움에 그나마 숨통을 틔워준 것은 현지 방위산업체의 영국 및 미국시장에서의 선전임.

 

  이탈리아의 군수장비 수출은 작년 대비 13.8% 증가해 2008년 8억6200만 유로에 이름. 이는 중동 분쟁지역으로의 수출이 증가한 이유도 있음.

 

2008년 이탈리아 군사장비 해외지역별 수출현황

(단위 : 백만 유로, %)

국가

금액

전년 대비 변화율

EU 27개국

418.26

8.3

북미

150.09

-6.0

EU 27개국을 제외한 유럽국가

81.51

0.5

중동

61.73

379.3

중남미

53.55

235.0

동아시아

42.62

35.0

중앙아시아

21.55

-13.8

북아프리카

14.47

-9.5

오세아니아 및 기타 지역

13.32

1,513.2

중남아프리카

5.46

-76.6

합계

862.60

13.8

자료원 : Istat

 

  반면 수입의 경우 2008년 2억1600만 유로를 기록, 전년 대비 21.1% 감소한 수치를 나타냄.

 

  이탈리아 군수장비 수출의 최대 시장은 미국으로 2008년 한해 1억1000만 유로의 수출매출액을 올렸으며, 수입의 경우 독일에서 전체 군사장비 수입의 28.4%인 약 6100유로 규모를 수입하는 상황임.

 

  이탈리아의 군장비 수출업체는 주로 라치오와 롬바르디아, 리구리아 지역에 밀집돼 있음.

 

  전체 2008년 총 매출액 16억9000만 유로 중 롬바르디아주가 2억7700만 유로, 리구리아주가 1억9200만 유로의 매출액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전년 대비 토스카나주의 수출 상승은 149.5%, 라지오주는 68.7%, 캄파니아주는 65.4%로 전체적인 군사장비 생산 및 수출이 경제위기에도 호황을 맞고 있음.

 

□ 이탈리아 군수장비 생산업체

 

  Mbda Italia

  - 핀메카니카 그룹의 미사일 제조 수출기업으로 2007년 파키스탄에 약 4억4200만 유로 상당의 대공포 미사일 수출계약에 성공한 바 있음.

 

  Oto Melara

  - 핀메카니카 그룹 산하 세계적 수준의 중소형 구경 함선포 제조업체로 2008년 한해 1억8500만 유로의 해외 매출액을 올렸음.

 

오토 멜라라사 75㎜ 군함포

 

  Simmel Difesa

  - 대포 및 박격포 총탄 제조기업이며 2008년 한해 1억6100만 유로 규모의 수출을 이룸.

 

  IVECO

  - 피아트그룹 Iveco사의 멀티 전술 차량인 'Lince'는 아프가니스탄에 파병 중인 이탈리아 군대가 1200대를 구입해 실제 적용한 바 있으며 영국, 벨기에, 스페인, 체코, 크로아티아, 오스트리아 등의 해외수출을 통해 1억1600만 유로의 수입을 거뒀음.

     

이베코사의 Lince

 

  Finmeccanica

  - 이탈리아 최대의 군수업체인 핀메카니카는 2008년 한해 99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세계 10대 방위산업체에 듦.

  - 이러한 상승세를 타는 핀메카니카는 특히 미국시장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지는데, 대표적인 예로 최근 미국 자회사인 DRS 테크놀로지의 19억 달러 규모의 적외선을 이용한 첨단기술 공급계약 입찰에 성공함.

  - 핀메카니카의 또 다른 자회사인 아구스타 웨스트랜드 역시 미국의 록히드 마틴과 함께 2004년 미국 대통령 전용헬기인 VH-71 수주를 따낸 바 있음.

     

세계 10대 방위산업체

        (단위 : 십억 달러)

순위

기업

국가

매출액

1

보잉

미국

30.5

2

BAE 시스템즈

영국

29.9

3

록히드 마틴

미국

29.4

4

노스롭 그루먼

미국

24.6

5

제너럴 다이나믹스

미국

21.5

6

레이시온

미국

19.5

7

아스트리움

프랑스

13.1

8

L-3 커뮤니케이션즈

미국

11.2

9

핀메카니카

이탈리아

9.9

10

탈레스

호주

9.4

자료원 :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이탈리아 10대 무기 수출업체(2007년 기준)

       (단위 : 백만 유로)

순위

기업

매출액

1

Mbda Italia

442.9

2

Intermarine

244.8

3

Fincantieri

191.6

4

Agusta Westland

190.0

5

Oto Melara

167.6

6

Galileo Avionica

160.9

7

Avio

143.1

8

Iveco

107.3

9

Aermacchi

95.3

10

Orizzonte Sistemi Navali

59.4

자료원 : 이탈리아 의회 보고서

 

□ 시사점

 

  세계 경제위기의 여파로 모든 산업부문의 수출이 위축된 가운데 유일하게 성장을 거듭하는 이탈리아 군수장비업체의 해외수출 증가는 여러가지를 시사해주고 있음.

 

  특히 군장비 시장규모가 매우 큰 미국 및 영국시장 선점을 위해 오래 전부터 노력해왔던 사실과 전통적으로 강한 정밀기계 제조기술을 활용, 최신 군장비 개발에 심혈을 기울인 점도 해외수출의 증가에 한 몫한 것으로 알려짐.

 

  이탈리아는 현재 군사대국으로 거듭나고 있는 중국과 인도 진출을 위해 공을 들이며, 민감한 정치현안 및 정부 간 관계가 감안되는 복잡한 방위산업구조로 볼 때 한국 군사장비부품 업체들과 현지 주요 제조업체 간의 연결을 위해 기업체뿐만 아니라 정부의 노력과 그 커넥션이 필요함.

 

 

자료원 : Il Sole 24 Ore, Corriere della Sera, www.finmeccanica.it, www.sipri.org,, www.difesa.it, KOTRA 밀라노KBC 자체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탈리아, 군수산업 수출호황에 우리의 기회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