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 산업부지 판매, 경기침체로 급감
- 투자진출
- 태국
- 방콕무역관 박영선
- 2009-09-22
- 출처 : KOTRA
-
태국 산업부지 판매, 경기침체로 급감
방콕 KBC
박영선( yspark@kotra.or.kr )
□ 최근 경기침체로 인한 태국 산업단지 업계 동향
태국은 동남아 자동차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생산의 중심지로서 각종 제조업으로 선호되는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경기침체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
비록 중국이 시장 및 노동력 규모로 인하여 다수의 외국 제조업 투자를 유치하고 있으나 많은 기업들이 모든 제조 생산을 한 국가에 집중시키길 원하지 않기 때문에 중국+1 정책이 등장하였는데 그 혜택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국가가 베트남과 태국이었음.
베트남은 주로 낮은 노동비용으로 인하여 제조업 수요가 발생하는 반면 태국은 발달된 인프라, 투자유치 정책 및 절차가 외국인 직접투자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여왔음.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산업단지 업계는 합병이 이루어져 현재는 Hemaraj, Amata, Rojanna 세개 업체만이 Industrial Estates Authority of Thailand 와 함께 존재하고 있음.
이들 업체들은 2008년 한해 동안 4,170 라이/ 1,688 에이커의 부지 판매를 기록하였음. 그러나 2009년 1분기의 판매는 59 라이/24 에이커에 그쳤으며 2분기 잠정 수치 역시 비슷한 추세로 판매 약세를 보이고 있음.
< 연도별 산업단지 부지 판매 현황 >
연도
산업단지 내 토지 판매량(라이)
성장률(%)
2006
2,865
-28.52
2007
4,812
67.96
2007_Q1
665
-14.60
2007_Q2
960
63.30
2007_Q3
996
98.80
2007_Q4
2,201
118.00
2008_Q1
1,192
79.25
2008_Q2
969
0.94
2008_Q3
1,323
32.83
2008_Q4F
900
-59.12
* 자료원 : CB Richard Ellis, Kasikorn Research Center
* 1라이는 1,600 평방미터임
한편 Ticon Industrical Connection Pcl의 자료에 의하면2009년 3월 현재 산업단지 공장의 임대기업들을 산업별로 볼 때 전기전자가 49.8%로서 가장 크며 그 다음이 자동차 부품, 물류, 식품, 포장 등의 순위이며 국가별로는 일본이 61.2%로서 압도적으로 많으며 그 뒤를 유럽, 케나다, 싱가포르, 미국 업체들이 차지하고 있음.
그리고 창고시설의 임대기업들은 일반 물류가38.3%, 소매 34%, 소비재 19.8%, 기타 7.9% 로 나타나고 있으며 국가별로는 유럽이 42.2%로 가장 많으며 그 뒤를 일본, 태국, 한국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음.
공장 임대현황(2009.3월 기준)
창고 임대현황(2009.3월 기준)
산업분류
산업분류
전기전자
49.80%
일반 물류
38.30%
자동차 부품
21.70%
소매
34.00%
물류
10.40%
소비재
19.80%
식품
3.20%
기타
7.90%
포장
2.90%
합계
100%
기타
12.00%
합계
100%
국가분류
국가분류
일본
61.20%
유럽
42.20%
유럽
7.20%
일본
31.30%
캐나다
6.20%
태국
19.90%
싱가포르
5.00%
한국
6.60%
미국
4.60%
합계
100%
기타
15.80%
합계
100%
자료원 : Ticon Industrial Connection Pcl
□ 주변국과의 입지 장단점 비교
1) 베트남
태국의 지역적 경쟁자들 가운데 베트남은 이미 태국의 우수한 인프라를 빠른 속도로 따라잡고 있는 도전자로, 베트남의 성장과 외국인직접투자(FDI)는 계속해서 태국을 능가할 것으로 예상함.
베트남의 외국인직접투자(FDI)는 2009년USD60-65bn으로 예상되며, 이는 태국의 것과 비교했을 때 8-9배에 달하는 수치임.
베트남은 저임금인력에 대한 수요를 적극 이용하고 있음.
신흥시장으로서의 베트남은 미래 에너지 확보에 전도유망한 기반을 제공하는 석유, 가스, 석탄을 비롯한 에너지 자원이 풍부함. 이에 반해 태국은 여전히 국내 에너지 필요량의 85%를 수입하고 있음.
2)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세계경제침체의 고비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넘겼으며, 견고한 국내 시장을 바탕으로 한층 고무된 경제적 상황과 평화적인 총선거로 인해 투자자들의 관심대상이 되고 있음.
3) 태국
태국의 우수한 인프라와 제품 라인, 민간토지의 질, 각종 서비스, 임대가능 설비보유, IEAT(Industrial Estate Authority of Thailand)와 BOI(The Board of Investment of Thailand)에 의한 다양한 인센티브와 적극적인 지원은 국내외 투자자들을 사로잡는 강력한 요인으로, 이는 주변국과 비교했을 때 매우 경쟁적인 이점이 됨.
앞으로도 태국은 산업단지 업계에서 이 같은 경쟁적인 위치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보이나, 주변국과의 경쟁 또한 가속화될 것임.
□ 태국 산업단지 업계 전망
Kasikorn Research Center는 2009년 산업단지 내 토지 판매량은 전년도 대비 13-20% 감소한 3400-3700 라이가 될 것이라 예상함.
그러나 최근 보고된 세계적 수요의 상승지표와 여러 산업분야에서의 경기회복신호는 하반기 산업단지 업계가 상반기 대비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기대를 뒷받침함.
태국 산업단지 업계는 경기침체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소비재 공업의 성장을 기대하며, 경기회복신호를 보이는 전자 부문을 통한 기회를 엿보고 있음.
정부는 산업단지 업계 활성화를 위해 정부금융기구로 하여금 신용 대부를 더욱 확대케 하여 업계 관계자의 사업상 유연함을 꾀하고 있으며, 남부 해안가와 Southern Seaboard 개발계획에 관심을 가짐.
한편 외국인투자자의 신뢰회복을 위해 정부는 투자촉진, 신규세금정책, 원가절감, 신규사업으로의 확장통로 모색,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제공 등을 꾀하고 있음.
자료원 :The Brief(BRITISH CHAMBER OF COMMERCE THAILAND), Kasikorn Research Center, Thunhoon(July 21,2009)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산업부지 판매, 경기침체로 급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말레이시아, 중국의 동남아 철도시장 진출 전초기지로 부상
말레이시아 2016-11-16
-
2
싱가포르 동부 지방에 대규모 발전소 설립 예정
싱가포르 2009-09-03
-
3
[기고] 화장품, 식음료, 건강기능식품 진출 전 필독! 식약청(BPOM) 인증 총정리
인도네시아 2021-11-24
-
4
필리핀 BBM 프로그램을 통해 본 그린 인프라 사업 참여 기회
필리핀 2023-09-27
-
5
2012년도 인도네시아 외국인투자의 긍정요인 및 위협요인
인도네시아 2012-01-30
-
6
[금융위기] 금융위기 여파로 시베리아 건설산업 등 타격
러시아연방 2008-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