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가포르 동부 지방에 대규모 발전소 설립 예정
- 투자진출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유선아
- 2009-09-03
- 출처 : KOTRA
-
싱가포르 동부 지방에 대규모 발전소 설립 예정
- 추후 보다 자세한 내용 발표 예정 -
□ 싱가포르 동부 지방에 대규모 발전소 건설 계획
○ 싱가포르 동부 지방에 대규모 발전소가 건설될 예정으로, 건설 후보지가 결정되면 그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이 몇 달 내로 개발업체 및 투자자들에게 공표될 것으로 전망됨.
- EMA(Energy market Authority) CEO Lawrence Wong은 북쪽에 위치한 Senoko 외에 대부분의 싱가포르 내 발전소들이 서부 지방에 있어 동부 지역 발전소 건설이 갖는 이로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발표
- 동부 지역에 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은 에너지 안보나 전략적 이유에서뿐만 아니라, 동부 지역에 늘어나는 새로운 산업단지 및 클러스터로 인해 전력 수요가 늘어남을 고려할 때, 전력 수요처 근처에 발전소를 지어 전력의 전송 손실을 줄이고자 하는 배경에서도 이로울 것으로 보임.
- EMA에서는 동부의 발전소 건설 후보지를 물색해 왔으며, 준비가 완료되면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개발업체 및 투자자들이 프로젝트 추진을 검토할 수 있도록 후보지에 대한 정보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함.
- EMA에 따르면 후보지에 대한 정보가 준비되는 시점에 따라 2009년 10월 또는 11월이나, 2010년에 EMA의 연례 보고서 ‘Statement of Opportunities'를 통해 후보지에 대한 정보를 공표하는 것을 검토 중임.
○ 현재 싱가포르에서 규모 기준 3대 발전소 중 2개인 3100MW PowerSeraya와 2670MW Tuas Power가 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815MW Sembcorp Cogen과 498MW Keppel Merlimau Cogen 역시 싱가포르 서남부 Jurong Island에 위치하고 있음.
- 유일하게 3300MW Senoko Power만이 북부에 위치하고 있음.
○ 발전소 건설 부지 부족으로 동부로 눈돌려
- 서부 지역의 부지 부족, 특히 Jurong Island의 공간 부족을 고려할 때 아직 대규모 발전소 건설에 사용 가능한 큰 토지 구획들이 남아 있는 동부에 발전소 건설을 검토하는 것이 합당함.
- EMA(Energy market Authority) CEO Lawrence Wong에 따르면 결국 발전소 건설 관련 모든 결정은 개발업체 및 투자자들이 검토하는 발전소의 종류와 사용 가능한 토지 존재 여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 예를 들어 전력과 함께 산업에 사용될 증기도 발생시키는 열병합 발전소 건설은 건설에 필요한 토지 조건, 사용 가능한 남은 부지 등이 독립형 발전소 플랜트 건설의 경우와 다름.
- Jurong Island에는 발전소 시설을 건설할 수 있는 부지가 많지 않아 적합한 부지 존재 여부가 발전소 건설에 있어 제한 요소가 되고 있음.
□ 지하 발전소 가능성 검토
○ 전반적인 투지 부족 상황에 따라 JTC Corporation에서는 지하 발전소를 잠재적 대안으로 보고 싱가포르 국가 차원의 지하 발전소 건설 가능성 조사에 착수했음.
- EMA(Energy market Authority) CEO Lawrence Wong은 지하 발전소 건설 관련 MTI(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내 부처 및 기관 간 검토를 수행하고 있으며, 아직 세부적인 사항은 언급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밝힘.
○ 지하 발전소 건설은 현재 가능한 방법이며, 다른 나라에서 이미 추진된 바 있음.
- 일례로 뉴질랜드 마나포우리에는 850MW의 전력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지하 수력발전소가 있음.
○ EMA(Energy market Authority) CEO Lawrence Wong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지질학적 조건과 환경에 지하 발전소 건설이 적합한지는 아직 계속 검토해보아야 한다고 함.
□ 시사점 및 참고사항
○ 싱가포르 동부에 건설될 발전소 관련 보다 세부적인 사항들이 2009년 말 또는 2010년 발표될 것으로 전망되는 바, 전력 및 건설 분야 관련 기업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발전소 건설에 적합한 부지가 부족한 싱가포르에서는 지하 발전소 건설을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는 바, 관련 기업들은 향후 싱가포르의 행보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 The Business Times 8.31자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동부 지방에 대규모 발전소 설립 예정)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쿡스토브 배포현장에서 살펴본 친환경 상생협력의 길
미얀마 2022-03-18
-
2
[경영마케팅] 美 중고차 보상판매, 외국메이커에 더 이익인가
미국 2009-08-25
-
3
[경영마케팅] 美, 주력 수출품목의 그린화전략은 이렇게
미국 2009-08-21
-
4
타타 Nano, 이렇게 무너질 수 없다!!
인도 2010-12-21
-
5
싱가포르 지역 발전의 원동력, MRT(지하철) 노선 확대
싱가포르 2019-01-30
-
6
[산업기술] 불가리아, 주목받는 태양에너지산업
불가리아 2009-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