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녹색시대 패권은 배터리 기술에 달려있다?
  • 트렌드
  • 홍콩
  • 홍콩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9-09-16
  • 출처 : KOTRA

 

녹색시대 패권은 배터리 기술에 달려있다?

- 고유가, 환경규제 강화로 나라마다 2차 전지 열풍 -

- 중국은 2차 전지 원료 확보 위해 볼리비아에 학교 지어주기도 -

 

 

 

☐ 2차 전지 산업

 

 ㅇ 2차 전지는 충전해 재사용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함유물질에 따라 납축전지(Lead-acid), 니켈카드뮴전지(Ni-Cd), 니켈수소전지(Ni-MH), 리튬이온·폴리머 전지(LiB·LiPB)로 나뉨. 요즘 시장 대세는 리튬이온전지임.

 

 ㅇ 2차 전지는 현재 개발이 가속화되는 전기자동차의 핵심부품임. JP모건 등의 시장조사기관은 전기자동차시장이 2020년, 연간 1128만 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음.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전지시장도 앞으로 약 10년 후면 연간 1015억 달러 규모가 될 전망

 

2차 전지의 발전

자료원 : 정보통신연구원, 매일경제

 

 ㅇ 2차 전지 시장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계속 나오면서 나라마다 2차 전지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중국은 리튬전지의 주원료인 리튬 확보를 위해 세계 최대 리튬 매장국 볼리비아에 학교 건설자금과 배 2척을 포함한 군용차량 50대를 제공하는 자원외교에 나섰고 미국, 일본도 2차 전지 개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음.

 

☐ 홍콩, 2차 전지 수출·입 현황

 

 ㅇ 2008년, 홍콩의 2차 전지 수출규모는 19억6530만 달러로 세계 3위를 차지함. 이는 2007년, 16억 달러에서 18.4% 증가한 규모임.

 

2008년 국가별 2차 전지 수출액

자료원 : UN comtrade

 

 ㅇ 2009년 7월 기준, 홍콩 리튬이온전지 수입규모(2008년 8월~2009년 7월)는 약 47억 원임. 홍콩 리튬이온전지 수입시장 점유율을 보면, 중국이 56%로 전체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한국산 점유율도 17%를 차지함.

 

홍콩 리튬전지 수입국 현황(2009.7)

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 주요 제품현황

 

 ㅇ 2차 전지를 사용한 각종 IT제품

 

사진

품명

View Sonic

VNB101

PB20X

Samsung

ION Netbook

MUVI MICRO \DV CAMERA

종류

넷북*

IT기기 만능 충전기

넷북

캠코더

배터리 종류

리튬폴리머

리튬폴리머

리튬이온

리튬이온

주 : *넷북은 노트북 경량화에 초점을 맞춘 제품으로 무게가 가벼운 리튬폴리머전지를 동력원으로 주로 채택

 

 ㅇ 2차 전지로 가는 전기자동차

  - 홍콩 이공대와 홍콩 자동차업체 EuAuto Technology Ltd.가 공동개발해 올해 말에 영국과 프랑스 시장에서 출시되는 전기자동차 'My Car'는 납축전지를 사용한 것임. 참고로 My Car는 작년에 EU의 안전인증을 획득했음.

 

My Car 기본사양

가격

10만 원(약 11만3,500홍콩달러)

전지

연산(lead-acid)전지 사용

성능

64km/h(고속도로에는 부적합), 6시간 충전, 100km 주행 가능

자료원 : EuAuto Technology 웹사이트

 

  - 홍콩 정부는 일본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순찰용 전기자동차를 올해부터 사용하겠다고 발표. 차종은 일본 미쓰비시사의 iMiEV로 결정(리튬이온전지사용). 올해 말 또는 내년 초까지 총 10대를 들여올 계획

 

iMiEV(Mitsubishi Innovative Electric Vehicle) 기본사양

가격

459만9,000엔(약 HK$ 39만1,800)

전지

리튬이온전지 사용

성능

8시간 충전으로 130km/h의 속도로 160km 주행 가능

자료원 : 홍콩 언론 종합

 

☐ 시장전망

 

 ㅇ 2차 전지산업에서 중국 약진이 본격화될 전망. 그동안 중국정부는 2차 전지 기술개발과 인력양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임. 특히 국영기업에서 출발한 2차 전지업체의 경우,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음. 그 결과 2000년 이후 굵직굵직한 성과들이 나오기 시작했고 현재 BYD를 필두로 40여 개 업체가 2차 전지를 생산·개발하고 있음. 특히 BYD사의 경우 한국, 일본과 달리 리튬인산철전지를 생산해 최초로 상용화하는 데 성공함에 따라 세계 전기자동차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ㅇ 전기차 상용화가 가시화되면서 자동차 제조업체와 전지 생산업체의 전략적 제휴가 활발해지고 있음. 이 움직임은 앞으로 계속 가속화될 전망. 참고로 일본 도시바의 경우 소니에 이어 두 번째로 리튬이온전지 상용화에 성공했으나 협력업체를 찾지 못해 2004년, 2차 전지 시장에서 철수한 바 있음.

 

2차 전지 생산업체와 자동차 생산업체 협력사례

협력사

내용

BYD(比迪) : 전지

폭스바겐 : 자동차

리튬이온전지를 장착한 하이브리드카 공동개발

Detroit Electric : 전지

Dongfeng(东风有限公司) : 자동차

2차 전지 자동차 중국내륙 판매 위해 협력

Lishen(力神) : 전지

Miles electric vehicles : 자동차

2010년 가을 출시를 목표로 coda 세단 생산

자료원 : 홍콩 언론 종합

 

 ㅇ 전기자동차가 일반화되면 자동차 관련 업종들은 큰 전환기를 맞게 될 것임. 가령 북미지역과 달리 차고가 없는 중국, 홍콩 등의 아시아 국가들은 전지충전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

 

 ㅇ 자전거 왕국인 중국의 경우 전동자전거 및 오토바이 시장도 유망. 중국의 자동차 판매율이 상승추세이기는 하나 여전히 전체인구의 약 1.85%만이 자가용을 보유하고 있고 자동차를 구매할 여력이 되더라도 비싼 휘발유, 극심한 교통체증 등의 이유로 자동차보다는 전동자전거나 오토바이를 선호함.(중국 전동자전거 및 오토바이 생산량은 2001년 20만 대에서 2009년 2200만 대로 지난 8년간 110배 상승) 최근 중국 BYD사와 중국 체리자동차가 전동오토바이 공동개발에 나섰으며, 여기에는 리튬인산철전지가 탑재될 예정

 

 ㅇ 그린산업을 6대 산업으로 선정한 홍콩정부도 경찰 순찰차량으로 전기자동차를 사용키로 하는 등 다양한 친환경정책들을 속속 발표하고 있어 특히 2차 전지, 대체연료분야 환경산업기업들에 사업기회가 많아질 전망

 

□ 참고 : 중국 및 홍콩 주요 2차 전지 생산기업

 

BYD(比迪)

- 1995년에 전지 생산업체로 출발해 산시성 투자그룹과 합작, 20억 위앤 투자  전기자동차를 개발. 현재 개발한 F3DM은 세계 최초 시판되는 전기차로 도요타와 GM보다 1~2년 빠른 기술수준을 보여 주목을 받음.

- 전지 생산업체로 출발해 자동차 제조업체로 성장했기 때문에 탄탄한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됨.

- 2009년 상반기 순이익 98% 증가율을 보임(5억9600만 위앤→11억8000만 위앤).

- 특히 BYD는 리튬인산철(LiFePO4)전지를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확보해 전기차(E6, F3DM)에 탑재함.

- 리튬인산철(LiFePO4)전지 생산 투자비용은  50억 위앤 가량

- 사이트 : www.byd.com.cn

Chengdu Jianzhong Lithium Battery Co. Ltd.(成都建中電有限公司)

- 중국의 유명 전지제조회사로 미국의 유인우주선 선저우 5호에 리튬전지 공급

- 전자, 통신, 항공 산업  여러 분야의 전지 제작

- 제조전지로는 군수용 전지, 리튬 1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전지, 열전지

- 1998년 설립, 작년 수출액 60만 위앤, 종업원  232명

- 사이트 :www.china-li-battery.com

Tianjin Lishen(天津力神有限公司)

- 중국의 리튬이온 개발 선발업체  하나로 현재 해외시장에 점점 비중을 두고 있음.(북미, 유럽, 한국, 홍콩에 해외지사를 세워 판매망 확대)

- 현재 애플, 모토로라, 삼성에 전지를 공급하고 있으며, 리튬이온전지 생산으로 2011년까지 20억 위앤의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세계적인 이온전지 연구, 개발업체 Valence와 오랜 파트너 관계임.

- 북경올림픽 당시 50대의 하이브리드 버스를 천진에서 생산

- 사각전지, 원통형 전지, 폴리머전지, 동력전지 생산

- 사이트 : www.lishen.com.cn

CNB(CHENER BATTERY WORKS LTD)

- 1980년에 설립돼 2차 전지 버튼 타입, 리튬폴리머전지  생산

- 홍콩과 심천에  사무소가 있고 본부는 홍콩에 있음.

- 연간 매출액 US$ 5,000,000~9,999,999

- 주요 수출지역 : 중남미, 중국, 유럽, 홍콩, 중동, 북미, 동아시아, 대만

- 사이트 : www.chener.com

LeoPro Battery

- 2005년에 설립돼 연매출 규모 US$ 100만~4,999,999의 리튬폴리머, 니켈 카드뮴(NiCd), 니켈 메탈 하이브라이드(NiMH) 전지 생산업체

-  전지의 단점을 보완하는 고열전용 및 고농축 에너지용 전지 출시

- 사이트 : http://www.leopro-tech.com/

Micro Tech

- 2001년도 설립, LCD모듈 생산, 전지생산업체

- 파나소닉, 삼성, 도시바, 모토로라  세계적인 IT제품 생산업체에 제품 납품

- 연간 매출액 : US$ 100,000~249,999

- 사이트 : http://www.microtech-lcd.com/

Newsun

- 1998년에 설립돼 리튬이온전지, 리튬 이산화망간 전지, 폴리머하이드레인 등의  2차 전지와 1차 폴리머전지 판매

- 매년 4억5000개의 리튬 버튼 전지 판매, 2000만 개의 리튬 폴리머 전지 판매

- 사이트 : www.shunwo.com.hk

 

 

자료원 : 홍콩언론종합, 매일경제, 동아일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정보통신연구원, LG경제연구소, 삼성경제연구소, 한국전지연구조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시대 패권은 배터리 기술에 달려있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