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루, 비즈니스 여건 향상
- 투자진출
- 페루
- 리마무역관 박강욱
- 2009-09-10
- 출처 : KOTRA
-
페루, 비즈니스 여건 향상
- 韓-페루 교역 회복 기대 -
□ 비즈니스 및 투자 환경 꾸준히 향상
ㅇ 페루는 세계은행(World Bank) 2010년 183개국 “비즈니스지표(Doing Business)”에서 순위가 2009년 65위보다 올라간 56위를 차지하였음(미국 4위, 일본 15위, 한국 19위).
ㅇ 2008년 후반부터 세계경제가 크게 어려워졌고 경쟁국 칠레의 순위는 내려간 가운데 페루의 성적이 유독 좋아진 것이어서 페루 정부 및 기업계 관계자들은 만족하는 분위기임.
ㅇ 한편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페루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78위(미국 2위, 일본 8위, 한국 19위)로 2008년의 83위보다 역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전반적인 페루의 비즈니스, 투자 환경이 꾸준히 좋아지고 있음을 보여 줌.
□ 외국인투자업체 再投資 증가
ㅇ 페루 비즈니스여건이 좋아지면서 외국 투자업체들의 再投資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음.
ㅇ 페루중앙은행(BCR)에 의하면 페루에서 조업 중인 외국업체들은 2009년 2/4분기 중 13억2천4백만 달러의 재투자를 한 바, 이는 2009년 1/4분기 대비18% 증가한 것임.
ㅇ 이렇게2009년 2/4분기에 이루어진 재투자는 2008년 분기별 평균 재투자보다 월등히 큰 규모로서 그 주요 대상 분야는 광업, 석유, 금융서비스 등임.
□ 광업, 에너지 분야 위주로 再投資
ㅇ 2008년 말 국제경제 위기가 시작되면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분야는 광업으로 대부분의 투자계획이 잠정 보류 상태로 들어갔음.
ㅇ 그러나2009년 1/4분기부터 국제 원자재가격이 안정세로 돌아서면서 이제는 광업 분야 전망도 그렇게 悲觀的이지만는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15개의 대형 광업프로젝트(총 투자예상 금액 1백35억2천만불 정도)도 다시 추진할 것으로 보임.
ㅇ 광업보다 더 매력 있는 분야는 에너지 개발로서 알란가르시아(Alan García) 페루 大統領도 2011년 페루에 대규모 석유화학단지가 들어설 것이라고 발표하는 등 앞으로 에너지 분야에 대한 민간기업 투자는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임.
ㅇ 그러나 非但 민간투자뿐 아니라 공공분야 투자도 역시 적극성을 보여 發電 분야에 4억6천만불 정도의 투자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 외국인투자업체 再投資 증가
ㅇ 페루중앙은행에 의하면 2009년 2/4분기 외국인투자업체의 재투자 금액은 同期 對페루 외국인투자 금액(14억7천5백만불)의 90%에 해당하는 규모임.
ㅇ “루이스카란사(Luis Carranza)” 경제장관은 특히 Siderperu가 1억4천만불, Miski Mayo가 6천5백만불을 투자하는 등 3억1천9백만불의 외국인직접 투자도 함께 이루어져 페루에 대한 외국인투자는 꾸준히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
ㅇ 對페루 외국인투자는 2008년 4/4분기 5억불 감소하였으나 2009년1/4분기에는 12억불, 2/4분기에는 15억불의 신규 외국인투자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외국인투자가 다시 활발해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투자도 촉진시키는 효과를 보이고 있음.
□ 韓-페루 교역 회복 기대
ㅇ 아래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국의 對페루 수출은 이미2008년 4/4분기 이후 감소하기 시작해 2009년 1월 이후에는 본격적인 감소세를 보여 월별 累積額이2008년 同期 대비 40-50% 이상씩 크게 감소해 왔음.
ㅇ 그러나 이렇게 페루의 투자가 다시 활기를 보이는 등 국내생산 및 수요를 비롯한 경제 전반이 계속 좋아질 경우 한국의 對페루 수출도 전년 수준을 조금씩 회복해 나아갈 것으로 기대됨.
[ 표 1 ] 한국의 對페루 수출실적
(단위 : 백만불, %)
품 목
2008
2009(1월~07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720
54.5
247
-40.7
수송기계
241
85
91
-39.8
철강제품
82
85.9
25
-41.2
석유화학제품
112
48.3
23
-58.3
정밀화학제품
52
73.9
21
-42.5
산업용전자제품
42
-34.2
16
-47.6
산업기계
41
56.6
15
-48.2
가정용전자제품
17
-18.2
14
23.6
고무제품
20
35
9
-22.3
직물
21
14.5
7
-43
제지원료및종이제품
9
5.5
4
-13.4
기초산업기계
6
146.2
4
16.9
플라스틱제품
9
4.7
4
-33.7
섬유사
8
16
2
-72
섬유원료
3
-19.6
2
6.5
기계요소공구및금형
3
12.2
1
-35.4
重電기기
1
92.4
1
55
전자부품
2
0.5
1
10.1
섬유제품
3
23.7
1
-48.3
식탁용구
1
111.4
1
-27.2
정밀기계
1
-13
0
-26.2
안경및콘택트렌즈
0
28.9
0
522.3
가구
1
41.8
0
-51.7
기타기계류
2
193.2
0
-71.4
인쇄물
0
-4.3
0
179.9
전선
0
739.4
0
82.8
비철금속제품
0
80.9
0
37.9
농산물
0
-10.2
0
261.2
신변잡화
0
-48.8
0
243.1
기타철강금속제품
0
52.6
0
-34.8
의료위생용품
0
17.5
0
-10.9
공예품
0
-22.1
0
-61.2
운동및취미오락기구
0
5.5
0
-51.4
수산물
0
389.5
0
590.9
문구
0
41.4
0
-51.6
기타잡제품
0
-4.6
0
9.7
기타생활용품
0
119.9
0
-62.7
마찰및연마제품
0
-82.1
0
5,799.70
광물성연료
38
207,348.40
0
-79.5
임산물
0
-
0
-66.9
악기
0
-33.5
0
93.4
요업제품
0
158.1
0
-89.2
기타화학공업제품
0
77
0
-95.4
완구
0
-11.4
0
13.9
가발및가눈썹
0
-20
0
-25
자료원 : 韓國貿易協會(KITA, http://www.kita.net/
ㅇ 한편 한국의 페루로부터의 수입도 역시 아래의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큰 감소세를 보였으나 역시 한국과 페루 양국 경제가 계속 회복세를 보일 경우 수입 규모도 조금씩 증가할 것으로 보임.
[ 표 2 ] 한국의 페루로부터의 수입 현황
(단위 : 백만불, %)
품 목
2008
2009(1월~07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904
-13.1
418
-32.9
금속광물
790
-16.4
327
-40.9
광물성연료
25
51
41
65.8
수산물
46
23.8
26
-7.6
비철금속제품
3
-56.5
9
1,537.10
농산물
25
42.1
8
8.6
섬유제품
7
76.8
6
22
정밀화학제품
1
8.4
1
28.8
섬유사
2
-69.1
1
-58
임산물
0
260.1
0
-3.6
축산물
1
30.6
0
-53
직물
1
-44.4
0
57.1
산업기계
0
986.8
0
-
가죽및모피제품
0
-
0
-20.5
비료
0
28.4
0
19.4
완구
0
-59.8
0
-46.5
신변잡화
0
-38.9
0
101
산업용전자제품
0
202.3
0
-40.8
수송기계
0
785.4
0
-96.6
문구
0
-
0
-67.5
악기
0
-59.7
0
-2.2
중전(heavy electri
0
-
0
262.3
c) 기기
기초산업기계
0
-34.5
0
12,418.20
기타잡제품
0
-
0
-
인쇄물
0
-6.3
0
187.1
기타화학공업제품
0
-
0
-
기타기계류
0
47.3
0
-
전자부품
0
-99.1
0
-69.8
석유화학제품
0
-
0
-
운동및취미오락기구
0
-
0
-
보석및귀금속제품
0
1.4
0
-98.2
기계요소공구및금형
0
-
0
-
가정용전자제품
0
2,123.80
0
8.6
요업제품
0
-62
0
-92.1
플라스틱제품
0
-85.4
0
-84.8
철강제품
2
206.1
0
-100
기타철강금속제품
0
-
0
-
자료원 : 韓國貿易協會(KITA, http://www.kita.net/
l 정보원 : 페루중앙은행 Mr. Peter Paz, 언론보도(El Comercio, Gestion) 요약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페루, 비즈니스 여건 향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브라질, 남부지역 홍수로 섬유・양계산업에 큰 타격
2008-11-28
-
2
美 주정부 재정적자, 경기회복 걸림돌 우려
미국 2010-07-08
-
3
[中 Post 60주년<下>] 100년 후 중국을 예측하라
중국 2009-10-05
-
4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그리스 통신시장①
그리스 2009-05-11
-
5
[신성장상품]부상하는 독일 전기자전거시장, 지금이 진출적기
독일 2010-07-08
-
6
[산업기술] 인도네시아, 뜨는 CDM-지열(1)
인도네시아 2009-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