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한-호주 FTA 체결시 수출유망 상품은
  • 통상·규제
  • 호주
  • 멜버른무역관 강신학
  • 2009-08-27
  • 출처 : KOTRA

 

한-호주 FTA 체결시 수출유망 상품은

- 자동차, 자동차 부품, 전선, 종이류, 가전제품 등이 FTA 수혜 품목 될 듯 -

 

 

 

□ 한-호주 FTA 현황

 

  한국과 호주 정부는 2009년 5월 호주 캔버라에서 제 1차 한·호 FTA 협상을 개최해 상품, 서비스, 투자, 정부조달, 기타 무역규범, 법적∙제도적 이슈 등 6개 분야에 대한 상호 기본 입장을 전달함으로써 본격적인 한·호 FTA 협상 모드에 돌입했음.

 

 ○ 제 2차 한∙호 FTA 협상은 오는 9월 한국에서 개최될 예정인데, 우리 측에 민감한 농∙축산업 분야 에서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한∙호 FTA 협상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됨.

 

 ○ 호주는 주로 한국에 석탄, 철광석, 원유 등 광물자원을 수출하고 한국은 자동차, 핸드폰, 가전제품 등 공산품을 수출함에 따라 양국간 교역구조가 상호 보완적이어서 한∙호 FTA 협상이 빠르면 2010년 중에 마무리 될 수 있을 것으로 현지 전문가들은 기대함.

 

 ○ 호주는 주요 교역대상국이 미국과 유럽국가에서 점차 아시아 국가로 이동함에 따라, 아시아지역에서의 경제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와의 FTA 체결에 매우 적극적으로 대응함.

 

 ○ 호주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최대 경쟁국인 중국과 일본은 각각 2005년, 2007년 호주와의 FTA 협상을 개시했으나 중국은 정부조달과 원산지 규정 등에서, 일본은 주로 농산물 부문 협상에서 난항을 겪는 반면, 한국은 미국, 유럽과의 FTA 협상 타결로 인해 호주 농∙축산물에 대한 시장개방 효과가 반감돼 한국이 오히려 중국, 일본보다 먼저 호주와 FTA를 체결할 가능성도 부각됨.

 

 ○ 한∙호 FTA 체결시 관세 인하, 정부조달 시장 개방, 한국 인지도 상승, 인적교류 확대 등에 따라 한국제품의 호주시장 진출이 크게 확대될 것이며, 특히, 중국, 일본보다 먼저 호주와 FTA를 체결할 경우 그 효과는 배가 될 것으로 기대됨.

 

□ 호주와의FTA 체결시 수출 유망상품

 

 ○ 호주와의 FTA 체결로 양국간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전반적으로 대호주 수출이 더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되며, 관세 인하가 예상되는 자동차, 자동차 부품, 전선, 종이류, 에틸렌, 냉장고, 세탁기 등이 직접적인 FTA 수혜품목으로 지목됨.

 

 ○ 특히, 자동차는 호주와 FTA를 체결한 미국, 태국과의 경쟁이 치열하며, 자동차 부품은 호주와 FTA 협상 중인 일본, 중국과의 경쟁이 치열해 이 두 품목이 한∙호 FTA의 최대 수혜 품목이 될 것으로 예상됨.

 

대호 주요 수출품목의 호주 관세율

        (단위 : U$ 백만, %)

HS code

품목명

2008년 수출액

현행 관세율

8703

자동차

909

10

2710

석유제품

873

U$ 0.38/리터

4810

종이류

117

5

8708

자동차부품

114

10

8528

타이어

101

5

8544

전선

86

5

8507

축전지

63

10

8418

냉장고

48

5

8704

화물자동차

51

5

3901

에틸렌

22

5

8450

세탁기

16

5

자료원 : 호주통계청, 호주관세청

 

 ○ 한∙호 FTA로 관세인하효과 외에도 조달시장 개방확대가 예상되면서 호주 정부의 주요 조달품목인 자주포, 헬기, 군함 부품 등 군수품 및 PC, 케이블, 소프트웨어 등 IT 제품의 수출도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됨.

 

 ○ 또한 호주에서 한국의 인지도 향상이 기대되면서 브랜드 인지도에 민감한 소형가전제품, 화장품, 의류, 패션액세서리 등 소비재 품목의 수출에도 긍적적으로 작용할 것임.

 

 ○ 이외에 한∙호 FTA로 양국 간의 인적교류도 활발해질 것이며, 이에 따라 한국의 영화, 드라마, 음악 등 문화 콘텐츠와 한국 식료품의 대호주 수출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자료원 : 호주 통계청, 호주 관세청,  KBC 자체 분석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한-호주 FTA 체결시 수출유망 상품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