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대UAE 상반기 수출품 어떤 것이 변했나
  • 경제·무역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주재원
  • 2009-07-31
  • 출처 : KOTRA

 

올 상반기 대 UAE 수출품 어떤 것이 변했나

- 전체적인 수출액 소폭 증가한 가운데 일부 품목 변동 눈에 띄어 –

- 수급상황 및 시장상황에 따른 품목별 상황 변화 커, 시장동향 관찰 필요 -

 

 

 

□ 2009년 상반기 대 UAE 수출동향

 

 ㅇ 우리나라는 UAE에 2008년 기준으로 57억 달러를 수출해 한국의 대 중동 수출국 1위를 차지했으며, 우리나라의 대 중동 수출액 중 21.4%를 점유할 정도로 UAE는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시장임.

  - 2008년 우리나라의 대 중동 수출은 266억 달러로 전년 대비 35.1% 증가한 바 있으며, 2008년 대UAE 수출은 57억 달러로 전년 대비 55.2% 증가했음.

 

2008년 우리나라의 대 UAE 수출·입 실적

      (단위 : 억 달러, %)

구분

중동 전체

UAE

금액(전년대비증가율)

중동에서 점유율

교역량

수출(증가율)

266(35.1)

57(55.2)

21.4

수입(증가율)

1,016(50.5)

192(52.1)

18.8

무역수지

-750(56.9)

-135(50.0)

18.0

자료원 : KOTIS

 

우리나라의 중동지역 주요 수출국 상위 5위(2008)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국명

2007

2008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1

아랍에미리트

3,705

27.9

5,749

55.2

2

사우디아라비아

4,026

35.2

5,253

30.5

3

이란

3,266

27.6

4,342

33.0

4

카타르

1,163

53.1

1,902

63.4

5

이집트

1,167

36.7

1,548

32.7

자료원 : KOTIS

 

 ㅇ 2009년 들어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경기침체의 여파로 대 UAE 수출 또한 5월까지는 전년 대비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상반기 전체를 집계한 결과, 28억7300만 달러를 수출, 전년 동기 27억3800만 달러 대비 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2009년 들어 수요감소, 달러화 가치 회복, 중국과 UAE를 비롯한 GCC 국가들의 무역관계 강화 등이 연초 대 UAE 수출하락의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이나 6월 들어 일부 품목에서의 수출이 급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한국의 2009년 상반기 수출금액 변동추이

     (단위 : 천 달러, %)

월별

2008

2009(1~5)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1

326,191

25.7

284,302

-12.8

2

788,009

55.2

541,806

-31.2

3

1,179,916

46.2

858,751

-27.2

4

1,754,735

59

1,515,984

-13.6

5

2,204,636

57.4

1,825,901

-17.2

6

2,738,458

59.3

2,873,810

4.9

7

3,384,552

64.2

-

-

8

3,850,815

61.3

-

-

9

4,343,087

61.6

-

-

10

4,823,055

60.1

-

-

11

5,285,151

57.3

-

-

12

5,748,540

55.2

-

-

자료원 : KOTIS

 

□ 2009년 상반기 대 UAE 수출 관련 특징적인 품목

 

 ㅇ 2009년 상반기 대 UAE 수출 주요품목은 철구조물, 무선전화기, 자동차부품 등이며, 수출금액 기준으로 2009년 상반기 들어 크게 변화한 품목은 철구조물, 승용차 등임.

 

 ㅇ 전년 동기 대비 3851.4% 증가, 가장 큰 증가세를 보인 철구조물

  - 과거 6개월 동안 건설경기 하락에 따른 수요감소 등으로 수입이 거의 없었으나 최근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재고물량이 소진되면서 바이어들이 오더를 늘리고, 일부는 현재 가격이 거의 저점이라는 인식을 해 미리 구입하고 있는 등 수요 회복조짐이 보이고 있기 때문

  - 철구조물의 경우 UAE가 가격에 민감한 시장특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저렴한 중국산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현지 철강수입 에이전트에 따르면 한국산 제품은 중국산 저가제품 대비 품질면에서 월등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인정받고 있음.

  - 참고로 철강 관련 건자재 중 UAE 시장에서 주로 선호하는 한국제품은 철구조물(H빔 포함), 압연강판 등임.

 

2008~09년 6월 한국의 대 UAE 철구조물(MTI Code 6152) 수출현황

(단위 : 천 달러, %)

월별

2008

2009(1~6)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1

2,727

1,298.1

4,190

53.7

2

4,620

175.9

8,290

79.4

3

9,181

217.3

20,873

127.3

4

17,214

241.7

334,513

1,843.3

5

25,100

355.8

339,846

1,254.0

6

26,906

362.5

1,063,172

2,851.4

7

33,507

417.9

-

-

8

38,235

427.6

-

-

9

44,755

491.7

-

-

10

51,486

529.3

-

-

11

53,632

506.2

-

-

12

63,400

429.9

-

-

자료원 : KOTIS

 

 ㅇ 승용차(MTI Code 7411) 수출 전년 동기 대비 감소

  - 2008년 수출금액 기준으로 1위를 차지해 우리나라의 주요 UAE 수출품목 중 하나로 자리잡은 승용차의 경우 2009년 들어 수출이 크게 줄었으며, 이는 글로벌 경제위기의 여파로 UAE의 신차판매가 급감한 것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임.

  - 2009년 상반기의 경우 2700만 달러 수출에 그쳐 전년 동기 2억3500만 달러 대비 88.1% 감소세를 나타냄.

  - 2009년 UAE 신차 판매동향에 대한 업계 관계자의 의견에 따르면 2008년 대비 전반적으로 50% 이상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 전년도의 경우 두바이도로국(RTA)에 한국산 택시를 처음으로 납품하는 등의 호재가 있고 경기가 좋아 차량 판매 및 수입도 늘어난 것으로 보임. 하지만 2009년의 경우 전반적인 경제 사정이 나빠지면서 신차 판매가 줄어든 것에 더해 대부분 은행대출을 통해 신차를 구입하는 UAE 소비자들이 신용경색의 여파로 은행대출이 어려워지면서 재원조달에 어려움을 겪은 것이 신차 판매부진 및 수입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보임.

 

 ㅇ 참고로 UAE 소비자들의 신차 구입이 줄면서 기존 자동차 수리에 필요한 부품 수요가 늘어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자동차부품(MTI Code 7420)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9.4% 수출 증가세를 보인 바 있음.

 

□ 시사점 : 현지시장 수급상황에 따라 상황변동 심해 향후 동향 예의주시 필요

 

 ㅇ 2008년 하반기부터 전 세계적으로 경기침체현상을 보이는 가운데 UAE 역시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의 대 UAE 수출이 5월까지는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6월 들어 일부 품목을 중심으로 급격히 수출이 늘어나 결과적으로는 2008년 상반기 대비 증가세를 보임.

  - 하지만 이는 특정품목의 일시적인 수요증가에 기인하는 것일 가능성도 있으며, 기본적으로 UAE는 내수시장뿐 아니라 주변 중동 및 아프리카 국가로 수출하는 물량이 많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대 UAE 수출이 6월을 제외하고 감소추이를 보인 것은 이들 인근 국가들의 경제상황이 전년과 비교해 악화된 것이 함께 반영된 것으로 보임.

 

 ㅇ 품목별로 보면 2009년 들어 가장 영향을 받은 부분 중 하나인 건설시장과 관련된 철구조물의 수출 증가세가 눈에 띄며, 이는 그동안 건설경기 하락에 따른 수요감소 등으로 현지 바이어들이 수입을 멈추었다가 최근 재고감소 등의 영향으로 수입을 재개한 것이 주요원인으로 보임.

  - 그 외 일시적으로 수출이 급증한 품목들이 있지만 전년도에 이어 전반적으로 증가세에 있고 금액상으로도 상위에 있는 품목은 철구조물임.

  - 전반적인 건설경기가 예전에 비해 안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관련 기자재의 수급상황이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임.

  - 승용차의 경우 현지 수요감소가 수출부진의 주요원인이지만 UAE 은행들의 대출제한 등의 문제도 함께 연관돼 있으며, 현재 UAE 은행들의 유동성 문제가 점점 좋아지고 각 딜러들이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어 향후 상황이 나아질 가능성이 있음. 또한 신차판매가 줄면서 수리용 자동차부품의 수요가 늘어나는 것은 우리 관련 업계에 오히려 좋은 소식이 될 수 있음.

 

 ㅇ 2009년 들어 기본적인 대 UAE 수출품목에 큰 변화는 없으나 수급상황에 따른 변동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한국기업들은 진출품목의 시장상황 및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요인에 대해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시장변동에 대한 정보를 예의주시해 긴밀하게 대처하는 것이 필요함.

 

 

자료원 : KOTIS, 현지 바이어 및 업계 관계자 인터뷰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대UAE 상반기 수출품 어떤 것이 변했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