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장 전성기 맞아
- 트렌드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09-07-28
- 출처 : KOTRA
-
中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장 전성기 맞아
- 높은 기술력으로 수입제품 점유율 증가 예상 -
- 저렴한 가격, 향상된 기술력으로 경쟁력 강화 필수 -
국가 전력망 건설 확대와 함께 전력 보조설비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기술향상과 더불어 관련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임.
□ 전력 보조설비, 지속적인 수요 확대추세
ㅇ 중국 내 전동기 보호계전기 중 기존 열계전기는 오차가 크고 기능이 단순해 시장에서 점차 도태되고 있는 반면, 성능과 기술력이 뛰어난 디지털 지능형 전동기 보호계전기는 중국 전력분야에서 점차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음.
- 시장수요가 가장 컸던 전자식 전동기 보호계전기와 시뮬레이션 라인 전동기 보호계전기도 점차 더 뛰어난 기술력을 가진 차세대 제품들로 대체되고 있음.
- 디지털 전자식 전동기 보호계전기는 기능면에서 이전 제품들에 비해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으며, 이에 따라 관련 시장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됨.
ㅇ 전동기 보호계전기의 수요는 국가의 전력망 확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
- 국가 전력망 건설이 확대됨에 따라 전력 보조설비시장은 전성기를 맞았으며, 주로 설비 보호자동화제품과 변전소 자동화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속히 늘고 있음.
- 특히 전력 보조설비시장 수요에서 모터 보호계전기 수요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
□ 기술력 앞세운 외국브랜드 수요 증가
ㅇ 수입제품은 전체시장의 약 30%를 점유하고 있으나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측
- 대표적인 중국브랜드는 '南瑞', '許繼', '德力西', '安德利', '華通', '泰華' 등 중·저급제품 위주임.
- 수입 보호계전기 중에서는 스위스의 ABB, 프랑스의 AREVA, 미국의 SEL, GE, 일본 미쓰비시 등과 한국 삼화 EOCR가 중국시장에서 상당한 시장점유율을 보임.
- 한국 삼화 EOCR 전동기 보호계전기는 현재 중국 대리상을 통해 상품을 유통하며, 인지도가 꽤 높은 편임.
□ 직접판매와 대리판매가 주요 유통채널
ㅇ 제품 특성상 공장 직접 판매빈도가 가장 높으며, 전문 대리상을 통한 중개판매가 뒤를 이음.
- 온라인을 통한 판매도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나 전통적인 오프라인 판매방식이 주요 거래방식으로 사용됨.
중국 전동기 계전보호기의 주요 유통방식
자료원 : 北京華商纵横信息諮詢中心 조사자료
ㅇ 수입 전동기의 경우 대부분 해외업체가 중국 현지에 대표처를 설립하거나 중국 대리판매상을 통해 제품을 각 성·시에서 판매함.
- 일부 업체의 경우 중국 현지에 공장을 설립, 제품을 생산함.(예 : 스위스 ABB, 프랑스 AREVA 등)
□ 유통경로 확보와 저렴한 가격대의 향상된 기술력이 관건
ㅇ 중국시장 진출 유통경로 확보방법
- 기업의 규모가 크고 지명도가 높은 브랜드 업체의 경우 직접판매방식을 택해도 무방함.
- 중소기업의 경우 전문 판매대리상을 통한 판매방식을 선택해 기존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유리함.
ㅇ 전동기 보호계전기 제품 특성에 따라 소비자들은 기술 및 기능적 측면을 매우 중시함.
- 중국 생산 전동기 보호계전기의 저가제품은 수입제품보다 월등히 저렴한 가격으로 가격경쟁력면에서 절대적 우위를 점하고 있음.
- 저렴한 가격대의 중국제품과 경쟁하려면 생산원가를 낮춰 가격을 낮추고 기능은 향상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관건임.
- 경영능력이 우수한 기업은 ABB 및 AREVA와 동일한 방식으로 중국 현지에 제조공장을 설립해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직접판매방식과 대리판매를 적절히 이용, 시장에서 제품 지명도를 높이는 것이 적절한 전략임.
자료원 : 机电商情网, 2008년 중국통계연감(中國統計年監), 2008년 中國統計摘要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中 전동기 보호계전기, 시장 전성기 맞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말레이시아, 에너지절약형 전구 유망
말레이시아 2009-07-28
-
2
중국, 지역별 지적재산권 현황조사
중국 2009-07-28
-
3
베트남, 상반기 섬유시장(2)-섬유원단 수입동향
베트남 2009-05-29
-
4
中, 최초로 ‘수입장려기술 및 제품목록’ 발표
중국 2007-12-06
-
5
아프리카, 우라늄 자원개발 현황
남아프리카공화국 2008-04-16
-
6
칭찬받는 중국 10대 기업은 어디인가?
중국 2008-06-30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