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 군대 현대화 작업 지속 추진
  • 경제·무역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유병우
  • 2009-07-21
  • 출처 : KOTRA

 

이집트, 군대 현대화 작업 지속 추진

- 군비지출 연 약 38억 달러, 매년 4% 확대 전망 -

- 미국 군사원조 13억 달러, 탄약·자주포  한국산 수입도 추진 중 -

 

 

 

 이집트 군대 구성

 

  2008년 기준 이집트 군대 총 인원은  46만 명이고, 이 중  29만 명이 징집된 인원임. 육군이 34만 명으로 가장 많고 해군 1만8500명, 공군이 3만 명임.  군사조직에 포함된  40만 명을 합하면 전체 병력은  86만 명에 달함.

 

  이집트 군대의 근대화 작업이 지속 추진 중으로  소련제 무기들이 미국제 무기들로 교체되는 과정임. 예를 들어, T-54, T-55 등의 소련제 탱크가 M1AI Abrams 등과 같은 미국 장비로 교체되고 있음.

 

이집트 군대 구성

구분

육군

해군

공군

기타

현역군인

준군사조직원

합계

인원(천 명)

340

18.5

30

80

468.5

397

865.5

자료원 : BMI, IISS

 

자료원 : BMI, IISS

 

 이집트 군비 지출 규모  전망

 

  이집트  반대파에 대한 강경진압 원칙이 지속되고 이집트 군대의 현대화 작업이 계속되고 있어 이집트 군비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009년 기준 이집트 군비지출 총액은  38억 달러이며, 정부 연간예산의 7.48%, GDP의 2.3% 수준임. 이집트의 군비 지출은 2013년까지 연간 4~5%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이집트 군비 지출 전망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지출(US$ 십억)

3.55

3.78

4.04

4.42

5.00

5.54

성장률(%)

7.75

6.71

4.76

4.55

4.35

6.25

정부예산 중 비율(%)

7.36

7.48

7.46

7.43

7.38

7.47

GDP 대비 비율(%)

2.48

2.30

2.16

2.07

2.00

1.98

자료원 : SIPRI, IISS, BICC, DCRA, BMI

 

자료원 : SIPRI, IISS, BICC, DCRA, BMI

 

 이집트 군수산업 개요

 

  이집트는 아랍국가 중 군수산업의 생산량이 가장  국가로 2차 대전 이후 연합군이 남긴 제조설비를 기반으로 군수산업을 발전시킴. 1967년, 1973년 이스라엘과의 전쟁을 계기로 공군력 확충의 필요성이 제기됐음.

 

  이집트에서 자체 생산되는 군수장비는 훈련용 비행기, 장갑차량(armoured fighting vehicle), 대포 부품, 지대공 미사일(SAMs), M1A1 Abrams 탱크 등임. 이집트는 미국의 군사원조 규모에서 이스라엘에 이은 2위 국가이며, 대부분의 수입을 미국에 의존하고 있음. 이집트의 군수산업 생산기지는 대부분 미국 다국적 기업들과 합작형태임.

 

  이집트 군수산업은 국영 기업체인 Arab Organization for Industrialization(AOI)가 대부분 장악하고 있음. AOI는 1975년 이집트,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의 국가들이 공동으로 아랍권 군수산업 육성을 위해 설립했다가 이집트-이스라엘 평화협정 체결을 계기로 주변국이 이 기업에서 철수하면서 1993년 이집트 독자기업으로 남게 됐음. AOI사는 이집트 내 7개 공장을 운영하고 있고 다른 2개 공장에 대한 부분적인 경영권을 보유하고 있음. AOI에서 생산하는 품목은 훈련용 비행기, 장갑차, 탱크, 대포 등임. AOI 외에  16개 군수공장이 가동되며, 이곳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군복, 기계부품, 탄약, 소총 등임.

 

 ○ 다국적 군수기업들은 대부분 미국-이집트 합작형태임. General Dynamics사는 Abrams 탱크를 생산하고 있고 United Defence사는 M88A2 recovery vehicle을 생산하고 있음. 핀란드 기업인 Patria Vammas사는 이집트 Abu Zaabal Engineering Industries Company와 합작으로 155mm towed Howitzer를 생산하고 있음. Raytheon, Lockheed Martin, Honeywell, BAE Systems 등도 이집트에 이미 진출해 있음.

 

 수입동향

 

  미국의 군사원조 프로그램에 따른 수입이 전체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 이집트는 이스라엘에 이어 2번째로 많은 규모의 군사원조를 미국에서 받고 있음. 대미 군사원조 규모는 연간  13억 달러임.

 

  이집트 정부 물품조달은 Law 85/1998에 따라 이뤄짐. 이 법률에 따르면 조달은 특정 공급업체의 선정이 필수적 상황이 아니면 공개입찰에 따라 이뤄짐. 입찰 시 현지업체에 대한 특혜조항이 있음. 현지기업의 입찰가가 외국기업 최저입찰가보다 15% 이상 높지 않으면 현지기업이 낙찰됨.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입찰은 미국 기업들이 수주하고 있음.

 

 최근 군수물자 구매동향

 

  군수산업 특성상 최근의 군수장비 도입의 상세내역은 파악이 어려움. 입수 가능한 최신내역은 아래와 같음.

 

 ○ 2005년 이집트는 단거리 대공방어망 업그레이드를 위해 약 1억2600만 달러 규모의 구매계약을 체결. 구매품목은 Stinger air defence system, Airborne Radio System 등이었음. 2006년 Boeing Intergrated Defence Systems사는 상기 구매계약의 일환으로 Avenger Air Defence Unit을 이집트에 공급

 

 ○ 2006년 Raytheon Missiles Systems사는 약 24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통해 Guided Missile Launcher Systems(GMLS)을 이집트에 공급

 

   독일로부터 206A 클래스 디젤 잠수함 도입을 검토하고 있음. 세부계획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이집트는 독일로부터 4대 잠수함 도입을 포함해 잠수함 전력 업그레이드를 시도하고 있음. 현재 이집트가 보유한 잠수함은 1980년대 중국에서 구매한 로미오급 4척임.

 

 군수물품 현지 유통업체

 

  이집트 내에서 군수물품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에이전트는 10개 내외임. 이 중 대표적인 ARTOC사, Ashmand International사의 개요는 다음과 같음.

 

- 회사명 : Ashmand International

- 홈페이지 : www.ashmand.com

- AM General사의 현지 에이전트임. 다목적 차량인 Humvee  이 제품의 민간모델인 Hummer를 이집트에 공급하고 있으며, 기타 산업용 보안장비, 폭동진압용 방패, 헬멧 등도 취급

 

- 회사명 : ARTOC Suez for Technical Services

- 홈페이지 : www.artoc.com

- 군수물품 외에도 Project Investment, Real Estate, Engineering&Technical Services, Consumer Products, Publications, International Operations  6개 분야에 걸쳐 영업을 하고 있으며, 분야별 자회사 수는  17개임.

- ARTOC사에 따르면 군수품 조달은 외국 주재 이집트 공관의 군수무관을 통해 해당국에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데 한국의 경우 주중국 이집트 대사관의 군수무관이 관할하고 있어 조달정보의 전달이 원활치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음. 중국의 무기체계는 동유럽 방식이나 한국의 무기체계는 미국 방식이므로 중국을 통해 한국으로 전파되는 조달정보에 한계가 있다는 설명임.

- 한국산 군수물품  K9 자주포, 탄약 등의 수출상담이 진행되고 있음.

 

 

자료원 : BMI, 현지 언론 종합(Daily News, Egyptian Gazette)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군대 현대화 작업 지속 추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