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영마케팅] 中 자동차 리듐전지 시장이 열린다
- 트렌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09-06-28
- 출처 : KOTRA
-
中 자동차 리듐전지 시장이 열린다
- 신에너지 자동차에 정부 재정지원 -
- 수명, 안전성 확보가 과제 -
□ 신에너지 자동차개발 원년
ㅇ 세계 석유자원 고갈 추세에 따라 거의 유일한 자동차 동력원인 석유의 단일화 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해 신에너지 차량 개발노력이 가속화함.
- 이는 새로운 자동차 혁명을 예고하며, 이중에서 혼합동력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와 순수전력동력자동차(EV; Electric Vehicle)가 주를 이루고 있음.
- 전지기술의 발전 방향으로 보면 향후 5~10년의 미래에는 중국에서도 혼합동력자동차 특히 리듐전지 자동차시장 전망이 매우 밝음.
ㅇ 2009년 1월에 중국 재정부와 과학기술부가 공동으로 ‘에너지절약 및 신에너지 자동차시범시행프로젝트에 대한 통지’를 하달해 신에너지 자동차의 보급에 정부재정지원을 하기로 했음.
- 정부 지원정책에 규정된 신에너지 자동차는 혼합동력 자동차를 비롯해 순수전력동력자동차 및 연료전지자동차 등이 있음.
- 이는 동력용 리듐전지의 발전에 더 없이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임.
ㅇ 동력용 리듐전지는 앞으로 정부의 관련 지원정책이 실행되면 곧바로 고속성장기에 들어갈 전망임.
리듐전지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자료원 : 中國新聞網
□ 안정성 요구 높아
ㅇ 자동차용 리듐전지의 사용수명은 소형일반 전지보다 수배이상 길어야 함.
- 자동차 동력계통의 복잡성으로 인해 리듐전지가 화재, 폭발 등의 위험이 노출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동력용 리듐전지에 대한 안전성 요구는 일반 휴대폰과 노트북보다 훨씬 까다로움.
ㅇ 최근 신형 재료 개발로 리듐전지의 안전성이 많이 제고됐다는 평가임.
- 앞으로도 신재료와 신기술이 속속 개발될 것으로 예상돼 현재 지적되는 안정성 극복문제는 시간문제로 보임.
□ 현지 생산현황
ㅇ 중국 내 자동차 동력전지 생산기업은 동북지방, 베이징-톈진지역, 장강삼각주지역, 화중지역 및 주강삼각주지역에 집중돼 있음.
ㅇ 동북지역은 지린(吉林)성 장춘(長春)시, 랴오위앤(遼源)시 및 랴오닝성 다롄(大連)시 등지에 인산제일철리륨 전기업체가 많이 분포돼 있음.
ㅇ 베이징-톈진 지역의 中信國安盟固利公司는 중국 최대의 리듐전지 양극재료 생산 기업으로 주로 대용량 제품을 생산함.
ㅇ 장강삼각주 지역에서는 상하이, 쑤저우(蘇州), 항저우(杭州) 등이 중요 생산기지이며 창안(長安), 이치(一汽), 둥펑(東風) 등 여러 자동차 기업의 혼합동력, 순수전력동력 전지의 공급상으로 활동함.
ㅇ 주강삼각주의 선쩐에서는 휴대폰, 노트북 및 전동자전거 생산 기업들이 자동차 동력용 리듐전지 생산에 뛰어들었음.
자동차용 리듐전지
자료원 : 汽車探索
□ 시사점
ㅇ 앞선 기술력으로 안전성 제고해야
- 중국 현지기업들은 대부분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낮은 휴대폰, 노트북용 전지 생산에서 동력용 리듐전지 분야로 발전해왔으나 안전성 문제가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음.
- 한국 기업이 이 분야 진출하려면 먼저 우수한 기술력으로 중국 제품보다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점을 집중 홍보해야 함.
ㅇ 상류산업도 기회
- 동력용 리듐전지의 발전에 따라 상류 산업인 전지재료 산업도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음.
- 이 분야에 경쟁력을 갖춘 한국기업이라면 관련 상류산업분야 진출도 적극 고려해볼 수 있음.
자료원 ; 中國電子信息産業網, 電池網, 中國電動車網, 汽車網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경영마케팅] 中 자동차 리듐전지 시장이 열린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경영마케팅] 中 엘리베이터시장도 에너지절약 바람
중국 2009-06-28
-
2
호주인의 소비특성에 따른 마케팅 전략(1편)
호주 2009-10-28
-
3
태국, 모바일 콘텐츠시장 연간 25~30% 성장 전망
태국 2010-04-28
-
4
도미니카(공), 광섬유 케이블 구축에 투자 확대
도미니카공화국 2010-05-31
-
5
중국-홍콩 CEPA 서비스무역협정 2차 개정안 발효
홍콩 2025-02-28
-
6
폴란드, 2007년 FDI 120억 유로, 투적투자액 1000억 달러 돌파
폴란드 2008-05-31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