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UAE, 올해 물가 상승폭 뚝 떨어질 듯
  • 경제·무역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주재원
  • 2009-04-30
  • 출처 : KOTRA

 

UAE, 올해 물가 상승폭 뚝 떨어질 듯

- 최근 몇 년간 높은 물가 상승 기록, 2008년의 경우 14%에 이르러 -

- 올해 수요 감소 등으로 6%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 -

 

 

 

 최근 몇 년간 높은 물가상승 보여

 

  2006년 이후 9% 이상의 물가상승 기록, GCC 국가 중 카타르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증가세 나타내

  - 국제 유가 폭등에 의한 유동성 증가, 지속적인 정부 지출 증가,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낮은 이자율, 수요 급증, 대규모 프로젝트 등을 통한 인구 유입 증가 등으로 인해 2006년 이후 9% 이상의 높은 증가세를 보이며, GCC 국가 중에서는 카타르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인플레이션 증가를 기록한 바 있음.

  - UAE의 경우 환율을 미 달러화에 고정시키는 ‘달러 페그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소비재를 수입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상 근래 들어 미 달러화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수입상품의 가격이 자연스럽게 올라간 것도 물가상승을 부채질했음.

  - 특히 무엇보다도 최근 몇 년 간 폭등한 부동산 가격이 물가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UAE 인구, 명목GDP, 정부지출 변동추이(2004~08년)

구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인구(백만 명)

4.3

4.6

4.9

5.3

5.6

명목GDP(백만 달러)

105,251

132,202

170,081

198,702

253,036

정부지출(명목GDP 대비 %)

24.9

21.5

20.5

20.1

19.1

주1 : EIU 추정치임.

주2 : 정부 지출의 경우 늘어나는 GDP 대비 매년 20%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금액 자체를 놓고 볼 때 매년 증가세를 보임을 알 수 있음.

자료원 : EIU Country Report 2009.4

 

GCC 국가들의 인플레이션 변동추이(2006~08년)

             (단위 : %)

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

카타르

11.8

13.8

15.0

UAE

9.3

11.1

14.0

사우디

2.3

4.1

10.0

쿠웨이트

3.1

5.5

10.0

오만

3.4

5.8

12.0

바레인

2.2

3.3

3.5

자료원 : Emirate Business 24-7(2009.4.21, 원출처 : GIH, NBK)

 

 2009년도 UAE 물가상승률 6%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

 

  기관마다 예상치 차이는 있으나 물가상승률 6% 밑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것이 공통적인 의견

  - NBK의 경우 6%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나 EIU의 경우 4.5%(Country Profile 2009.4), IMF(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2009.4)는 2%로 전망하는 등 기관마다 차이는 있음. 하지만 전체적으로 6% 이하의 물가상승을 기록할 것이라는 데에 의견을 같이하며, 만일 2% 정도의 물가상승률을 기록한다면 지난 1990년 1% 수준을 기록한 이래 가장 낮은 물가상승률을 나타내는 것임.

  - 그동안 UAE 정부는 물가상승의 주요원인 중 하나였던 치솟는 부동산 가격을 통제하기 위해 임차료 인상 상한선을 두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투기자본 등이 몰리고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큰 실효를 보지 못함. 하지만 올해에는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로 자연히 부동산 가격도 하락해 물가상승 억제를 도와줄 것으로 보임.

  - 또한 최근 신용 경색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침체로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감소해 유가 및 원자재 값이 하락한 것과 몇 년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던 인구 유입 및 정부 지출 감소로 인해 물가 상승폭은 크게 꺾일 것으로 기대

 

□ 시사점

 

  그동안 급속한 발전으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아온 UAE는 특정 산업을 제외하고는 법인세 및 소득세가 없고 물류가 발달해 여러 기업들의 중동아프리카 진출의 교두보가 돼 왔으나 천정부지로 오르는 부동산과 상대적으로 높은 물가상승률은 이들 기업이 활동하는 데에 큰 제약이 돼 왔음.

 

  하지만 올해 들어 유가 및 원자재 가격 하락이라는 대외 변수와 수요 감소, 정부 지출 감소 등의 대내 변수로 인해 물가상승률이 큰 폭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돼 기업 환경에는 좋은 점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물가 하락이 수요 감소에서 비롯됐다는 점은 현지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우리나라 기업에게는 좋지 않은 소식이 될 수 있음.

 

  UAE는 최근 몇 년간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뤘으며, 높은 물가상승률 역시 이 같은 성장의 여파로 보이기 때문에 올해 들어 나타나는 물가 및 GDP 성장률 하락 등 경제지표의 변화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UAE로서는 숨 고르기를 통해 체질 개선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EIU Country Report 2009.4, Emirate Business 24-7(2009.4.21, 2009.4.27)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올해 물가 상승폭 뚝 떨어질 듯)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