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 ITS 관련 시장 2011년 이후 급속성장 예상
- 경제·무역
- 일본
- 나고야무역관 이경석
- 2009-04-29
- 출처 : KOTRA
-
日, ITS 관련시장 2011년 이후 급속성장 예상
- 디지털TV 방송 전환시점에 맞춰 본격적인 보급 촉진 활동 -
- 차량 기본탑재를 통한 보급활성화 기대, 관련 세제 인센티브도 예정 -
□ 2017년에는 10조엔 규모로
○ 총무성은 무선기술을 활용해 자동차의 안전운전을 지원하는 고속도로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이 2012년을 기준으로 운용개시부터 10년간 누계 약 5조 엔, 2017년에는 10조 엔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함.
○ 대상은 차량에 장착될 차재기(車載機, 차량 간 혹은 차량과 도로설치기기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기)와 도로 측에 설치될 도로설비기기임.
ITS 관련 시장 규모 추이
자료원 : 일본 총무성
○ 보급확대 방법으로는 자동차 간의 통신과 자동차와 도로기기 간의 통신을 하나의 차량탑재기기로 가능하게 하는 공통시스템을 구축하며, 내비게이션에 표준 탑재하는 형식을 기대하고 있음.
○ 총무성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보고안을 24일에 공표했으며, 일반 의견을 수렴해 6월경에 최종 보고서를 제출, 공표할 계획임.
○ 보고안은 도요타자동차, 닛산자동차, 혼다, 마츠다를 시작으로 OKI, NEC, 히다치제작소, 후지츠, 스미토모전기공업, 덴소 등이 참가했으며, 총무성이 2008년 10월에 설치한 ‘ITS 무선시스템 고도화에 관한 연구회’가 정리함.
○ ITS 무선시스템의 이용에 의해 자동차 간에 위치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고 시야가 제한된 교차로 등에서의 사고 억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2011년 7월, TV방송의 완전 디지털화로 주파수대역에 여분이 생기며, 이 가운데 700㎒ 대역의 일부가 ITS 무선시스템으로 할당돼 2012년부터 안전운전지원의 목적으로 운용 개시됨.
○ 이번 보고서에서는 ITS 무선시스템의 차량 장착기기는 고급차종에서부터 도입이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으나 판매대수가 많은 소형차의 조기 보급이나 사고삭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오토바이나 대형차에 도입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있음.
○ 도로설치기기에 대해 우선은 사고다발지점에 집중설치가 예상되며, 고령자를 배려한 기술개발 등의 도입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책이나, 정체예측 등의 부가서비스의 제공이 유효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 2017년 전체 차량 70% 정도 탑재
ITS 무선시스템의 보급률
자료원 : 일본 총무성
○ ITS 무선시스템의 보급률은 2012년에 약 30%, 2017년에 약 70%로 예상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사업, 서비스를 상정한 시장규모를 나타낸 이번 보고서에 의해 ITS 무선시스템은 자동차와 통신 양 산업에서 성장분야로서의 존재감이 높아질 것으로 보임.
○ 보급 촉진을 위한 추진 방책으로 일본의 고속도로 자동요금지불시스템인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의 보급 가격 인하, 고속도로 이용료 인하 등이 고려되고 있으며, 관련 세금 우대도 검토대상임.
□ 시사점
○ 총무성에서 4월 24일 발표한 보고서 내용은 기본적인 추진방향에 초점을 맞춘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향후 유럽, 미국 등 세계시장 표준을 참조해 추진될 예정
○ 일본에서는 내비게이션이 일반적으로 차량 내재화(内在化)돼 있으며, 이와 같이 ITS 관련 기기가 차량 순정품화될 경우 차량개발 단계에서부터 긴밀한 민관 합동작업으로 관련 표준이 설정돼 갈 것으로 보임.
○ ITS는 미국, 유럽 등 세계 주요국가에서 활발하게 추진되며, 2010년에는 관련 최대 국제회의인 ITS World Congress가 부산에서 개최 예정인 등 국내에서도 활발한 활동이 진행 중임.
○ 차량 간, 차량–도로기기와의 무선통신이 주가 되는 ITS 시스템의 특성상 국내의 우수한 IT인프라를 활용한 관련 기술 개발과 추진현황에 주의를 기울이며, 장기적 계획 하에 향후 대규모로 성장할 일본 ITS시장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이 점차 높아짐.
자료원 : 일간공업신문, 일본 총무성, 인터넷 검색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日, ITS 관련 시장 2011년 이후 급속성장 예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정책] 남아공, 기후변화 대비 그린산업 정책동향
남아프리카공화국 2009-04-29
-
2
필리핀 수빅자유구역, 한중일 기업 투자기지로 각광
미국 2008-11-13
-
3
2025년 인도네시아 의료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5-03-04
-
4
[수출직결정보] 네덜란드 신발시장 공략법(2)
네덜란드 2012-08-26
-
5
책벌레를 유혹하라, 네덜란드 전자책 단말기 시장
네덜란드 2012-01-19
-
6
스리랑카 에어컨 전량 수입 의존
스리랑카 2009-06-26
-
1
2025년 일본 농산물 산업 정보
일본 2025-07-03
-
2
2024년 일본 에너지산업 정보
일본 2024-11-19
-
3
2024 일본 리튬이온 전지 산업 정보
일본 2024-11-18
-
4
2021년 일본 석유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5
2021년 일본 의료기기 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6
2021년 일본의 산업 개관
일본 2021-12-29